142. 賊平後送人北歸 /司空曙
적이 평정된 후에 북쪽으로 돌아가는 사람을 송별함
世亂同南去, 세상에 난리가 나 함께 남쪽으로 떠났는데,
時清獨北還. 시절이 안정되자 홀로 북으로 돌아가네.
他鄉生白髪, 타향에선 흰머리 생겼다만,
舊國見青山. 고향에선 청산만 보이겠지.
曉月過殘壘, 새벽 달 아래 폐허된 영루를 지나고,
繁星宿故闗. 뭇 별 보며 옛 관문에서 묵겠네.
寒禽與衰草, 곤궁한 날짐승과 시든 풀이,
處處伴愁顔. 곳곳에서 근심스런 얼굴로 짝이 되겠네.
賊平: 안사의 난이 평정되었음을 말한다.
時清: 지금 안정되었음.
舊國: 고향. 이 구절은 고향이 도적에게 짓밟혀 산천만 의구할 것이라는 뜻이다.
過: 지나가다. 나그네가 북쪽으로 돌아가는 도중에 지나게 될 곳을 미리 상상해본 것이다.
殘壘: 폐기된 영루.
繁星(번성): 뭇별.
故闗: 옛적 关口. 반드시 거치는 要道. 이 두 구절은 친구가 북쪽으로 돌아가는 도중의 간난신고의 고생스런 것을 상상한 것이다.
寒禽(한금): 싸늘한 때의 새. 즉 가을철의 새를 가리킨다.
伴(반): 벗하다. 짝하다.
詩意는 친구는 고향으로 돌아가는데, 부상당한 자신은 그와 함께 돌아가지 못한다.
시는 난리로 이별함을 주제로 잡았으며 난리가 남쪽에서 일어나 북쪽에 이르러 평정되었다. 그러나 재난 뒤에 남은 것은 황량함 뿐 이다.
3.4구는 1.2구와 호응하면서 피난생활의 고생스러움과 山川만이 의구할 고향의 을씨년스러움에 대해 말하고 있으며, 5.6구는 친구의 여정에 대한 상상 속에 함께 돌아가고 싶은 시인의 부러움이 깃들어 있다.
250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没蕃故人 / 張籍 (0) | 2013.02.04 |
---|---|
蜀先主廟 / 劉禹錫 (0) | 2013.02.04 |
喜外第盧綸見宿 / 司空曙 (0) | 2013.02.03 |
雲陽館與韓申卿宿别 / 司空曙 (0) | 2013.02.03 |
喜見外弟又言别 / 李益 (0) | 2013.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