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16

논어 365

논어를 생활화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으로 논어 365를 편집하고 있다. 하루 한 구씩 1년 365일. 매일같이 하루 한 줄씩만 읽거나 외우면 된다. 생활에 활력도 되고 스스로 내공이 쌓일 수도 있겠다. 내 나름대로 마음에 드는 문구들을 선택하였으니 선호는 개인의 몫이다. 1.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2.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樂乎아, 3. 人不知而不慍이면 不亦君子乎아. 4. 君子務本 5. 巧言令色이 鮮矣仁이니라. 6. 吾 日三省吾身 7. 弟子入則孝 出則弟 8. 賢賢易色 9. 無友不如己者오 過則勿憚改니라. 10. 曾子曰 愼終追遠이면 民德이 歸厚矣리라 11. 父在觀其志 父沒觀其行 12. 食無求飽 居無求安 13. 告諸往而知來者온여 14. 子曰 不患人之不己知오 患不知人也니라. 15. 譬如北辰 居其所 16..

논어 2022.06.28

논어 소개

전반부에서 소개했던 다음 내용을 다시 한 번 인용한다. 송나라 300 년의 기반을 닦은 승상 조보는 2대 황제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臣有 論語一部 以 半部 佐太祖 定天下 以半部 佐 陛下 致太平 (신유 논어일부 이 반부 좌태조 정천하 이반부 좌 폐하 치태평) "저는 논어 한 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반 권으로 태조를 도와 천하를 평정했으며, 나머지 반 권으로 폐하를 도와 천하를 안정시켰습니다. 천하를 안정시킬 수 있는 나머지 半部의 논어를 소개한다. 유교이상의 구현체인 〈논어〉. 유교전통에서 가장 성스러운 문헌으로 존경받는 〈논어〉는 공자의 제자들 가운데 제2세대가 편집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구전(口傳)과 문서로 보존된 공자의 말씀을 바탕으로 하여 편찬된 이 책은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공자의 정신을..

논어 2022.06.07

논어 365 자료

논어 365 1.인이득인(求仁而得仁) (제7술이편 14장) 仁을 구하여 仁을 얻는다. “백이(伯夷)·숙제(叔齊)는 어떤 사람입니까?”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옛날의 현인(賢人)이다. “후회가 있었습니까?” “仁을 구하여 仁을 얻었는데, 어찌 후회가 있겠느냐?” 2.發憤忘食, 樂以忘憂 (述而) 열중하여 끼니를 챙겨 밥을 먹는 것조차 잊고, 이를 즐거워하여 근심을 잊어버린다 「초(楚)나라 섭현(葉縣)의 심제량(沈諸梁)이 자로(子路)에게 공자가 어떤 인물인가를 물었다. 자로는 대답을 하지 못했다. 이 사실을 들은 공자가 자로에게 말했다. “너는 어찌 ‘그 사람됨이 어떤 일에 열중하면 끼니를 챙겨 밥을 먹는 것조차 잊고, 이를 즐거워하여 근심을 잊어버려 늙어 가는 것도 모른다.’고 말하지 않았느냐.” (葉公問..

논어 2022.06.06

3분 논어 50

3분 논어 1.공욕선기사 필선리기기 (工欲善其事, 必先利其器) 장인이 자신의 일을 잘하려면 반드시 먼저 연장을 날카롭게 해야 하는 법이다. 한 나라에 살면서 어진 관리를 섬기며, 그 나라의 어진 사람을 벗으로 삼아야 한다. 2.지자불실인 역불실언 (知者不失人, 亦不失言) 해석:공자가 말했다. "더불어 말할 만한데 더불어 말하지 않는 것은 인재를 잃는 것이요, 더불어 말할 만하지 않은데도 더불어 말한다면 말을 낭비하는 것이다. 지혜로운 사람은 인재를 잃지도 않고 말을 낭비하지도 않는다." 3.정직여시 (正直如矢) 해석:공자가 말했다. "올곧도다. 사어(史魚)여! 나라의 정치가 적절할 때도 화살과 같이 올곧으며, 나라의 정치가 적절하지 못할 때도 화살과 같이 올곧구나. 군자로다, 거백옥이여! 나라의 정치가 ..

논어 2021.01.26

論語 名句 300-下

[先進 第十一] 151. 德行顔淵 덕행에는 안연, (言語엔 재아. 자공. 政事엔 염유. 문장에는 자유 자하) 152. 才不才 亦各言其子也 (안연이 죽자) 재주가 있거나 없거나 간에 또한 자기의 아들을 말한다. 153. 未知生 言知死 아직 삶도 알지 못하는데 어떻게 죽음을 알겠는가? 154. 言必有中 말을 하면 반드시 도리에 맞음이 있다. 155. 過猶不及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 156. 不踐迹 亦不入於室 (성인의) 자취를 밟지 아니하며 또한 그 방에 들어가지 않는다. 157. 子在 回何敢死 (선생님이) 살아계신데 제가 어찌 감히 죽겠습니까? [顔淵 第十二] 158. 克己復禮 爲仁 자기를 극복하여 예로 돌아가는 것이 仁이 되는 것이다. 159. 箴言 공자가 말한 극기복례의 4조목에 대하여 ..

논어 2021.01.04

論語 名句 300 - 上

[學而 第一] 1.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배우고 제때에 익히니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2. 君子務本 군자는 근본에 힘쓴다. 3. 巧言令色 鮮矣仁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곱게 꾸미는 것은 드물도다. 仁함이여! 4. 吾 日三省吾身 나는 날마다 세 가지로 내 몸을 살핀다. 5. 弟子入則孝 出則弟 제자는 돌아와서 효도하고 나가서는 공경한다, 6. 賢賢易色 어진이를 어질게 여기되 色을 좋아하는 마음과 바꾼다. 7.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자기만 못한 자를 벗 삼지 말며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아야 한다. 8. 愼終追遠 民德歸厚矣 초상을 신중히 치르고 (돌아가신 분을)멀리까지 추모하면 백성의 덕이 후한 데로 돌아간다. 9. 父在觀其志 父沒觀其行 아버지가 살아계실 경우에는 그 뜻을 관찰하고 돌아가신 후에..

논어 2021.01.02

論語名句 300

[學而] 第一 1.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2. 君子務本 3. 巧言令色 鮮矣仁 4. 吾 日三省吾身 5. 弟子入則孝 出則弟 6. 賢賢易色 7.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8. 曾子曰 愼終追遠 民德歸厚矣 9. 父在觀其志 父沒觀其行 10. 食無求飽 居無求安 11. 告諸往而知來者 12.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 [爲政 第二] 13. 譬如北辰 居其所 14. 詩三百 思無邪 15. 道之以政 16. 從心所欲 不踰矩 17. 孟懿子問孝 子曰 無違 18. 父母 唯其疾之憂 19. 不敬 何以別乎 20. 色難 21. 溫故而知新 22. 君子不器 23. 先行其言 以後從之 24. 周而不比 25. 學而不思則罔 26.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 27. 何爲則民服 28. 人而無信 不知其可也 29. 子曰 見義不爲 無勇也 [八佾 第三] 30. 人而..

논어 2020.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