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장1~10) 주역 (장1~10) 上經 第一章 乾坤 1、 乾 元,亨,利,貞。 初九 潛龍勿用。 九二 見龍在田,利見大人。 九三 君子終日乾乾,夕惕若,厲無咎。 九四 或躍在淵,無咎。 九五 飛龍在天,利見大人。 上九 亢龍有悔。 用九 見群龍無首,吉。 彖曰 大哉乾元,萬物資始,乃統天。雲行.. 三經 2016.07.09
시경-빈풍(豳風) 제1편 칠월8장(七月八章)] 빈풍(豳風) 제1편 칠월8장(七月八章)] (1장) 七月流火ㅣ어든 九月授衣하나니라 一之日觱發하고 二之日栗烈하나니 無衣無褐이면 何以卒歲리오 三之日于耜ㅣ오 四之日擧趾어든 同我婦子하야 饁彼南畝커든 田畯至喜하나니라 칠월에 큰 화기인 심성이 (서쪽으로) 흘러내려가.. 三經 2016.07.08
서경 전문 ≪ 尙 書 ≫ <第一篇 虞書> <堯典第一> 昔在帝堯, 聰明文思, 光宅天下, 將遜于位, 讓于虞舜, 作堯典. 曰若稽古帝堯, 曰放勳, 欽明文思安安, 允恭克讓, 光被四表, 格于上下. 克明俊德, 以親九族, 九族旣睦, 平章百姓, 百姓昭明, 協和萬邦, 黎民於變時雍. 乃命羲和, 欽若昊天, 厤象.. 三經 2016.06.14
書經 - 요전 순전 본문 외우기 書經 第一篇 堯典 <제1장> 曰若稽古帝堯한대 曰放勳이시니 欽明文思 安安하시며 允恭克讓하사 光被四表하시며 格于上下하시니라 <제2장> 克明俊德하사 以親九族하신대 九族이 旣睦이어늘 平章百姓하신대 百姓이 昭明하며 恊和萬邦하신대 黎民이 於變時雍하니라 <제3장>.. 三經 2016.04.01
주역-易의 원리 易의 원리 太極에서 분화된 것이 兩儀인바, 兩儀를 단적으로 말한다면 陰과 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陽을 표시하는 陽爻와 陰을 표시하는 陰爻가 생기게 되었다. 陽을 대표하는 것은 하늘이요, 陰을 대표하는 것은 땅이다. 천지창조의 과정은 하늘로 부터 비롯되었기 때문에 陽爻.. 三經 2016.03.25
시경-周南 召南 간단요약 1.關雎: 관저는 자웅이 서로 응하는 화한 소리로서, 부부간에 서로 더불어 화락하고 공경함이 저구새가 정이 두터우면서도 분별이 있음과 같음을 읊은 시다. 毛序에 관저는 후비의 덕을 읊은 것이요 풍화의 시초라고 했다. 2. 葛覃 : 갈담으로 갈포를 만들어 입음에 싫증을 내지 않고 마침.. 三經 2015.10.27
詩經-國風 詩三百 (詩經) 1. [주남 제1편. 관저3장(關雎三章)] 關關雎鳩ㅣ 在河之洲ㅣ로다 窈窕淑女ㅣ 君子好逑ㅣ로다 (관관저구ㅣ 재하지주ㅣ로다 요조숙녀ㅣ 군자호구ㅣ로다 興也ㅣ라) 끼룩끼룩하는 저 물오리여, 하수의 물가에 있도다. 요조숙녀여, 군자의 좋은 짝이도다 參差荇菜를 左右流之로.. 三經 2015.09.18
시경-원문 詩 經 原 文 1. 國風 2. 雅 3. 頌 毛詩 1. 國風 2. 小雅 3. 大雅 4. 周頌 5. 魯頌 6. 商頌 风 周南 召南 邶风 鄘风 卫风 王风 郑风 齐风 魏风 唐风 秦风 陈风 桧风 曹风 豳风 雅 鹿鸣之什 南有.. 三經 2015.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