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조(羽調)와 계면조(界面調)
판소리 및 산조에서는 가곡이나 풍류와 비슷한 선율에 대한 명칭이 ‘호령제’·‘시조목’ 등 여러 말로 불리다가, 조선 말기에 가곡의 조이름인 우조와 계면조(界面調)를 빌려 쓰면서 가곡·풍류와 비슷한 선율을 우조(羽調)라 부르고, 육자배기·남도무가(南道巫歌)·시나위와 비슷한 선율을 계면조라 불렀다. 그 뒤에 정가(正歌)에 쓰이는 평조(平調)의 용어를 빌려오면서 판소리와 산조에서 우조는 다시 우조대목과 평조대목으로 구분되었다. 판소리와 산조에서 우조와 평조의 음악적 특징은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있다. 흔히 진양대목에서는 처음에 우조대목이 주로 나오고, 이어서 평조대목이 따라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에 반해 중모리와 중중모리에서는 평조대목이 주가 되고, 자진모리에서는 우조대목이 주가 된다. 우조대목의 선율구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