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無題二首(其二) / 李商隱
무제 2
其二
重幃深下莫愁堂, 겹 휘장 깊게 내린 막수의 집,
卧後清宵細細長. 잠에서 깨니 맑고 고요한 밤 가늘고도 길구나.
神女生涯元是夢, 무산신녀 생애는 원래 꿈이었고 ,
小姑居處本無郎. 아가씨 거처하는 곳엔 본래 낭군이 없었다네.
風波不信菱枝弱, 바람과 파도는 마름가지 약한 줄 모르고,
月露誰教桂葉香. 밤이슬은 계수나무 잎이 향기를 풍기게 안 놓아두네.
直道相思了無益, 설령 그리워해도 전혀 도움이 안 되겠지만,
未妨惆悵是清狂. 슬퍼하는 게 미친 짓이라 해도 상관없다네.
重幃(중위): 휘장이 깊고 그윽하다. 莫愁(막수): 고대 악부중의 전설적 여자. 여기서는 젊은 여자를 가리킨다. 卧後: 잠이 깬 후. 이 구와 윗 구는 여자가 깊은 장막의 규중에서 잠에서 깨어, 긴 밤을 잠 못 이루었음을 말한다.
神女: 무산 신녀와 초왕이 꿈속에서 환락하였음을 가리킨다. 宋玉<神女賦>가 出典. 小姑: 古樂府<靑溪小姑曲>에 “小姑所居, 獨處無郞" 아가씨 사는 곳엔, 혼자 살아 낭군이 없다네. 이 구와 윗 구는 사랑하는 이와 서로 만나는 것은 오직 꿈속에서 뿐, 자기는 단지 고독한 사람일 뿐이라는 말이다. 菱枝:(한해살이, 마름 릉) 한해살이 풀 가지.
風波不信菱枝弱, 月露誰教桂葉香: 자기는 유약한 마름가지 같아, 비바람도 업신여기고, 또 향기로운 계수나무 잎도 오히려 달빛 아래 이슬을 맞아 향기를 낼 수 없다. 直道: 설령~하더라도.
清狂: 어지러이 넘어지다. 이 구와 윗 구는 이런 相思가 결코 이로움이 없더라도, 나는 이 낙담과 슬픈 정을 한 조각 痴情으로 만든다 해도 상관없다.
이 시는 여주인공이 불우한 신세에 마음 상한 것을 읊은 것이다. 시작은 먼저 환경과 분위기가 그윽하고 고요한 것을 썼고, 긴 밤의 고적함을 나타냈으며, 이어서 楚王이 꿈에서 巫山 神女와 만난 것과 악부<청계소고곡>의 “小姑所巨, 獨處無郞"을 전고하여, 자기가 겪은 환상과 추구하는 것을 그렸으나, 단지 일장춘몽일 뿐이며 여전히 홀로 살고 있다는 것을 썼다.
다시 풍파가 흉악하여 풀 나무 가지가 유약한데 반항할 힘도 없고, 계수나무 잎이 절로 푸르고 향기가 나도 달빛 이슬에 젖어 향기가 나지 않는다. 마지막에 설령 이와 같더라도, 또 집착하여 추구할 것이다. 의지가 깊고 넓으며, 어휘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구성지고 침통하며, 감정이 굳고 곧은 것이 매우 좋은 애정시다.
이 두 수에 대해 역대이래로 어떤 사람들은 기탁한 바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기탁이 있든 없던, 애정시로 읽는다면 예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이다.
342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蘇武廟 / 温庭筠 (0) | 2013.03.23 |
---|---|
利州南渡 / 温庭筠 (0) | 2013.03.23 |
無題二首 其一 / 李商隱 (0) | 2013.03.21 |
春雨 / 李商隱 (0) | 2013.03.20 |
無題 /李商隱 (0) | 201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