唐詩 300首 飜譯

在獄詠蟬 / 駱賔王

甘冥堂 2013. 1. 11. 06:39

086. 在獄詠蟬 / 駱賔王

감옥에서 매미를 노래하다

 

西陸蟬聲唱, 가을 날 매미 우는 소리,

南冠客思侵. 옥중의 나그네 가슴으로 스며든다.

不堪玄鬢影, 견딜 수 없네, 머리 검은 저 매미가,

来對白頭吟. 날아와서 백발을 향해 우는 것을.

露重飛難進, 이슬이 무거워 날아가기 어렵고,

風多響易沈. 바람이 심해 울음소리 쉽게 가라앉네.

無人信髙潔, 고결함을 믿어 주는 이 없는데,

誰為表予心. 누구에게 내 마음을 보여주나.

 

 

이 시 竝書소리가 사람을 감동시키고 덕이 현인을 닮았기에 자기 몸을 깨끗이 하여 군자와 달인의 고상한 덕행을 받들고, 자기 껍질을 벗어 선계에서 羽化하는 신령스러운 자태를 지니고 있다.

때를 기다렸다가 음양의 이치를 따르고 계절에 맞춰 변하여 물러서고 나아갈 때를 잘 살핀다. 눈을 이렇게 뜨고 세상의 도가 혼미하다고 하여 감아버리지 않고, 얇은 두 날개가 있는바 時俗이 두꺼워도 그 진실함을 바꾸지 않는다.

높은 나무에 부는 산들바람을 노래하며 하늘이 내린 자태를 읊고, 깊은 가을날 하늘에서 떨어지는 이슬을 마시니 다른 사람이 알까봐 두려워할 정도로 맑다.”고 매미를 묘사했다.

 

在獄: 당 고종 의봉 3(678), 낙빈왕이 시어사일 때, 상소로 간하다가 무고에 의해 투옥 되었다. 이 시는 옥중에서 지은 것이다.

 

西陸: 가을 하늘. 司馬彪<續漢書>日行西陸謂之秋" 해가 이곳 서쪽을 지나면 가을이 된다. 南冠:<左傳>에 원래 남방에 있는 초나라 사람들이 쓰는 관이라는 뜻인데, 후에 남관은 죄수로 지칭되었다.

玄鬢(현빈): 매미. 고대에 부녀자들이 귀밑머리를 매미 날개 모양으로 만들어 蟬鬢이라고 했다. 반대로 선빈을 매미라고 칭했다.

 

白頭吟: 옛날 악부이름. 전설에 의하면 漢代의 탁문군이 사마상여가 再娶(장가들 취)하였기 때문에, 이를 노래한 것으로 곡조가 哀怨하다. 이 두 구절은 이슬이 내려 매미가 날기에 불편하며, 바람이 크게 부니 매미 울음소리가 바람소리에 가린다. 이를 세상길 험난함에 비유했다. : .

 

[작자] 駱賔王(627~684?)은 지금의 절강 사람으로 고종 때 변방에 종군하였다. 후에 장안주부, 시어사 등을 지냈다. 光宅원년(684) 徐敬業을 따라 측전무후 토벌에 참여하였으니 패하여 피살 되었다. 일설에는 강에 투신하였다고도 하고, 일설에는 도망가서 후에 삭발하고 중이 되었다고도 한다.

초당사걸로 "王楊盧駱" 이라 불렸다.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雜詩 / 沈佺期   (0) 2013.01.11
和晉陵陸丞相早春遊望 / 杜審言  (0) 2013.01.11
杜少府之任蜀州 / 王勃   (0) 2013.01.10
望月懷遠(扶胥海) /張九齡   (0) 2013.01.10
經魯祭孔子而歎之 / 唐玄宗  (0) 201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