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 積雨輞川荘作 / 王維
장맛비 내리는 망천장에서
積雨空林煙火遲, 장맛비 내린 빈숲에서 연기 천천히 피우며,
蒸棃炊黍餉東菑. 명아주 찌고 기장밥 지어 동쪽 밭으로 내온다.
漠漠水田飛白鷺, 드넓은 논 위에 해오라기 날고,
隂隂夏木囀黄鸝. 울창한 나무숲에 꾀꼬리 운다.
山中習静觀朝槿, 산중에서 고요함을 익히며 무궁화 바라보고,
松下清齋折露葵. 소나무 아래에서 아욱과 명아주 꺾어 素食을 한다.
野老與人争席罷, 촌 늙은이 사람들과 자리를 다투지 않으려는데,
海鷗何事更相疑. 갈매기는 어찌하여 다시 나를 의심하는가?
積雨(적우): 오래 내리는 비. 荘: 별장.
煙火遲(연화지): 비가 오래 와서, 연기와 불이 천천히 타는 것.
棃(려): 일종의 야채.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여린 잎은 먹을 수 있다.
黍(서): 황미. 기장.
餉東菑(향동치): 밥을 동쪽에 새로 개간한 밭으로 내오다.
夏木: 큰 나무.
習静(습정): 도가에서 조용히 앉아 하나를 지키는 방법.
朝槿(조근): 무궁화가 아침에 피었다가 오후에 시든다, 그러므로 조근이라 칭한다.
觀朝槿: 조용히 무궁화를 본다. 인생이 짧고 잠시이며, 榮枯無常한 것을 체득할 수 있다.
清齋(청재): 간단한 식사의 뜻. 素食하다. <舊唐書. 王維傳>에 “왕유의 형제가 모두 불교를 받들어 항상 소식하며 육식을 하지 않고, 만년에는 항상 재계하며, 무늬 있는 옷을 입지 않았다."
露葵(노규): 아욱. “百菜의 主"이라 칭한다. 여기서는 신선한 소채를 가리킨다.
野老: 왕유 자칭. 争席: <莊子. 寓言>에 楊朱가 거만하고 교만하였으나, 자신이 노자의 謙恭禮敬을 배워, 인간들과 더불어 자리를 다투지 않는다고 했다.
争席罷(쟁석파): 이는 자기가 이미 거만하게 남을 헐뜯는 마음이 없으므로, 더불어 세상과 다투지 않는다.
海鷗(해구): <列子. 黃帝>에 出典. 해변에 갈매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매일 갈매기와 서로 친했다. 후에 그의 아버지가 갈매기를 잡아오라고 하였다. 다음날, 갈매기는 결코 그의 곁으로 오려하지 않았다. 이 구절이 말하는 것은, 내가 이미 남에게 손해를 끼치려는 마음이 있는데, 갈매기인들 어찌 또 나를 의심하지 않겠나?
이 시는 오랫동안 내리던 비가 그친 후의 풍경을 묘사하고, 은거후의 한가한 생활을 서술했다. 수련에서는 전원생활을 그렸는데, 시인이 산중에서 조용히 본 바. 비 내리는 시절에, 하늘은 흐리고 땅은 습한데 연기는 천천히 오른다. 농가에서 이른 밥 지어 들판으로 내 와 식사하는 怡然自樂하는 농촌의 생활을 묘사했다.
함련에서는 자연경치를 썼는데, 넓고 평평한 둔덕에 백로가 날고 깊은 산 빽빽한 숲속엔 꾀꼬리가 화답한다. 비 내린 후의 망천은 그림의 의미가 온화하다.
경련은 시인이 空山之中에 홀로 거처하며 소나무 아래 머물며, 무궁화를 바라보고 아욱을 먹으며 먼지 나는 세상을 피하여 은거하는 생활을 썼다. 미련에서는 두 편의 전고를 연달아 인용했는데, <장자 우언>과 <열자. 황제편>을 전고했다. 두 권의 전거를 정반결합하여 시인의 담박한 뜻을 토로했다.
292.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蜀相 / 杜甫 (0) | 2013.02.27 |
---|---|
贈郭給事 / 王維 (0) | 2013.02.26 |
奉和聖製從蓬萊向興慶閣道中留春雨中春望之作應制 / 王維 (0) | 2013.02.25 |
和賈至舍人<早朝大明宮>之作 / 王維 (0) | 2013.02.24 |
和賈至舍人<早朝大明宮>之作 / 岑參 (0) | 2013.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