君子와 小人
○中庸에 이르기를
仲尼曰 君子中庸 小人反中庸
君子之中庸也 君子而時中.
小人之<反>中庸也 小人而無忌憚也.
중니께서 말씀하시기를, 군자는 중용을 하고 소인은 중용에 반대로 한다.
군자가 중용을 함은 군자이면서 때에 맞게 하기 때문이요,
소인이 중용에 반대로 함은 소인이면서 기탄(거리낌)이 없기 때문이다.
程子가 중용에 대해 설명했다. 편벽되지 않음을 中이라 이르고, 변치 않음을 庸이라 이르니,
중은 천하의 正道요 용은 천하의 定理이다.
○論語에서 군자와 소인을 논한 구절이다.
◦子曰 君子 周而不比 小人 比而不周 (爲政14)
군자는 두루 사랑하고 편당하지 않으며, 소인은 편당하고 두루 사랑하지 않는다.
◦子曰 君子懷德 小人懷土 君子懷刑 小人懷惠 (里仁11)
군자는 덕을 생각하고 소인은 처하는 곳의 편안함을 생각하며,
군자는 법을 생각하고 소인은 은혜를 생각한다.
◦子曰 君子 喩於義 小人喩於利 (里仁16)
군자는 의에 깨닫고 소인은 이익에 깨닫는다.
◦子曰 坦蕩蕩 小人 長戚戚 (述而36)
군자는 평탄하여 여유가 있고, 소인은 늘 근심한다.
◦子曰 君子成人之美 不成人之惡 小人反是 (顔淵16)
군자는 남의 아름다움을 이루어주고 남의 악함을 이루어주지 않으니,
소인은 이와 반대이다.
◦君子之德風 小人之德草 草上之風必偃 (顔淵19)
군자의 덕은 바람이요 소인의 덕은 풀이다. 풀에 바람이 가해지면 풀은 반드시 쓰러진다.
◦子曰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子路23)
군자는 화하고 동하지 않으며, 소인은 동하고 화하지 않는다.
◦子曰 泰而不驕 小人驕而不泰 (子路26)
군자는 태연하되 교만하지 않고, 소인은 교만하되 태연하지 못하다.
◦子曰 君子而不仁者有矣夫 未有小人而仁者也 (憲問7)
군자로서 인하지 못한 자는 있어도, 소인으로서 인한 자는 있지 않다.
◦子曰 君子上達 小人下達 (憲問24)
군자는 위로 통달하고, 소인은 아래로 통한다.
◦子曰 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 (衛靈公20)
군자는 자신에게서 찾고, 소인은 남에게서 찾는다.
◦子曰 君子 不可小知而可大受也 小人 不可大受而可小知也 (衛靈公33)
군자는 작은 것으로 알 수는 없으나 큰 것을 받을 수 있고,
소인은 큰 것을 받을 수는 없으나 작은 것으로 알 수 있다.
◦孔子曰 君子有三畏 畏天命 畏大人 畏聖人之言
小人不知天命而不畏也 狎大人侮聖人之言 (季氏8)
군자는 세 가지 두려워함이 있으니, 천명과 대인과 성인의 말씀을 두려워한다.
소인은 천명을 알지 못하여 두려워하지 않는다. 대인을 함부로 대하며 성인의 말씀을 업신여긴다.
◦子曰 君子義以爲上 君子 有勇而無義爲亂 小人 有勇而無爲盜 (陽貨23)
군자는 의로써 上을 삼는다. 군자가 勇만 있고 義가 없으면 난을 일으키고
소인이 용만 있고 의가 없으면 도둑질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