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구구반(洗垢求瘢) - 때를 씻어가며 흉터를 찾다, 남의 결점을 들추다.
성인을 제외하고 세상에 무결한 사람은 드물다.
그러면서 자기의 허물은 깨닫지 못하고 남의 잘못은 쉽게 이야기한다.
제 눈의 들보는 보지 못하고 남의 눈에 있는 티는 잘도 들춘다.
그 뿐인가. 없는 약점도 쌍심지 켜고서 찾는 데는 이력이 났다.
털에 가려져 있는 허물을 불어 가며 찾는다는 吹毛覓疵(취모멱자, 覓은 찾을 멱)란 말이
이럴 때 들어맞는 성어다.
어려운 한자로 되어 있는 爬羅剔抉(파라척결, 爬는 긁을 파, 剔은 뼈바를 척)도 남의 결점을 후벼 판다는 뜻이다.
여기에 한 가지 더 때를 씻어(洗垢) 남의 흉터를 찾아내는(求瘢) 이 말도 더해진다.
고의로 남의 결점이나 과실을 찾아내는 고약한 행동이다.
중국 後漢(후한) 초기 문장가로 이름난 趙壹(조일)이란 학자는
성격이 너무 곧아 주위의 배척을 받았지만 고결한 삶을 살았다.
당시 권문세가의 횡포로 정치가 크게 부패한 것을 보고
‘刺世疾邪賦(자세질사부)‘란 문장을 지어 울분을 토로했다.
어리석은 이들의 행위는 ’좋아하는 사람들은 단단한 껍질에서라도 깃털이 나올 수 있다고 하고,
싫어하면 때를 씻어 내면서까지 흠을 찾는
(所好則鑽皮出其毛羽 所惡則洗垢求其瘢痕/ 소호즉찬피출기모우 소오즉세구구기반흔)‘ 격이라 비유했다.
范曄(범엽)이 지은 ’後漢書(후한서)‘ 文苑(문원)열전에 나온다.
唐太宗(당태종)때 나온 제왕의 필독서 ‘貞觀政要(정관정요)’에는
魏徵(위징)이 형벌과 포상을 엄정히 해야 한다며 이 말을 사용했다.
‘자기가 좋아하면 짐승의 가죽을 벗겨 모피를 찾고,
미워하면 먼지까지 떨어가며 결점을 찾습니다.
(所好則鉆皮出其毛羽 所惡則洗垢求其瘢痕/ 소호즉첩피출기모우 소오즉세구구기반흔).’ 鉆은 족집게 첩.
우리나라의 문집에선 같은 뜻으로 洗垢索瘢(세구색반)을 많이 쓰고 있다.
한 예로 조선 후기 실학자 安鼎福(안정복,1712~1791)의 ‘順菴集(순암집)’에는
독서를 할 때 주의할 점을 든다.
자신이 깨우친 뜻이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으면
‘선대 학자의 교훈에 일부러 하자만을 찾으려는 병폐가 있다.
(弊恐於先儒之訓 有洗垢索瘢之嫌/ 폐공어선유지훈 유세구색반지혐)’고 지적한다.
서로 상대방을 칭찬한다면 훨씬 밝은 사회가 되겠지만 더욱 혼탁해지기만 한다.
말이 직업인 국회서의 정쟁은 당연하다 해도
작은 꼬투리를 針小棒大 (침소봉대)하거나 없는 사실을 먼저 내지르면 이긴다고 생각하는 것이 문제다.
또한 명망 있는 인사가 청문회에서 비위가 하나하나 드러날 때
앞서 했던 발언과 어긋나 곤욕을 치르는 일이 너무 잦다.
온전한 사람이 드문 만큼 자신을 먼저 둘러보고 남을 대할 일이다.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세 英雄 (0) | 2024.07.28 |
---|---|
트루먼 대통령과 한국 (1) | 2024.07.28 |
희극배우 "밥 호프"와 삶 (0) | 2024.07.28 |
다산의 하피첩 (霞帔帖) (0) | 2024.07.27 |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0) | 2024.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