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 그리고 늦깍기 공부

佛日庵 贈因雲釋

甘冥堂 2025. 3. 28. 06:55

<불일암에서 인운 스님에게 주며(佛日庵 贈因雲釋/불일암 증인운석)>
/ 이달(李達 1539-1612)

寺在白雲中(사재백운중) 절집이 흰 구름 속 덮여 있어도
白雲僧不掃(백운승불소) 흰 구름을 스님은 쓸지 않다가
客來門始開(객래문시개) 손이 오자 문이란 걸 비로소 여니
萬壑松花老(만학송화로) 온 골짝엔 솔꽃들만 한물 졌구나.


절집은 흰 구름 가운데 있고
흰 구름을 스님네는 쓸지를 않네.
손님 와야 비로소 門이 열리니
골짝마다 松花가 늙어가누나.


朝鮮時代 李達의 作品이다.

절집 뜰엔 구름이 落葉처럼 쌓였다.
흰 눈썹의 스님은 푸른 눈으로 門을 열어준다.
열린 門으로 구름을 쓸자 드러나는 골짜기 稜線마다에 송홧가루 날린다.

俗世에서 짊어지고 온 나그네의 근심도 흰 구름 속에 파묻히고 없다.

◇[註解]◇
李達 : 朝鮮 先祖 때의 漢詩의 大家(1539~1612). 字는 益之.號는 蓀谷, 西潭, 東里.
崔慶昌, 白光勳과 함께 唐詩에 能하여 '三唐'이라 불렸다.

'한문 그리고 늦깍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한시 칠언절구  (0) 2025.04.12
問梅閣(문매각)  (0) 2025.03.17
소동파의 봄맞이 노래  (0) 2025.03.11
프로그램 개발 논문 예  (0) 2025.03.02
휴버먼의 자본론  (0) 2025.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