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 酬張少府 / 王維
장소부에게 답하여
晚年惟好静, 만년에 오직 고요한 것만 좋아하여,
萬事不闗心. 만사에 관심이 없네.
自顧無長策, 스스로 돌아봐도 좋은 계책은 없고,
空知返舊林. 단지 아는 것은 옛 숲으로 돌아가는 것.
松風吹解帶, 솔바람 불면 의대를 풀고,
山月照彈琴. 산 위에 달이 뜨면 거문고를 탄다네.
君問窮通理, 그대는 사람 사는 이치를 묻는데,
漁歌入浦深. 어부가 노랫소리 포구 깊숙이 들어가네.
이 시는 왕유가 만년에 輞川에 은거하며 지은 시다.
少府: 현위. 張少府: 누구인지 모른다.
長策: 좋은 계책.
空知: 단지 아는 것.
舊林: 망천으로 歸居하는 것.
解帶(해대): 옛 사람들은 조정에 나갈 때 혹은 손님을 맞을 때는 반드시 束帶를 하였으나, 집안에 한가히 머물 때는 의대를 풀었다.
窮通理(궁통리): 득실의 도리. 즉 인생의 이치를 말한다.
이 시는 친구에게 증정한 시다. 시 전편에 “好靜"의 뜻이 있다.
앞의 4구는 情을 썼으나 위대한 포부를 실현할 수 없는 모순과 고민의 심정을 은근히 함축하고 있다. 그렇기에 만년에 이르러 단지 좋아하는 것은 “惟好靜"이 되었다.
마지막 구절은 눈앞에 경물을 대하고 情을 깨닫는데, 문답 형식으로 작품을 맺는다.
玄解하다.
213.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送梓州李使君 / 王維 (0) | 2013.01.23 |
---|---|
過香積寺 / 王維 (0) | 2013.01.22 |
終南山 / 王維 (0) | 2013.01.22 |
歸嵩山作 / 王維 (0) | 2013.01.21 |
山居秋暝/ 王維 (0) | 2013.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