唐詩 300首 飜譯

谷口書齋寄楊補闕 / 錢起

甘冥堂 2013. 1. 31. 09:59

132. 谷口書齋寄楊補闕 / 錢起

곡구의 서재에서 양보궐에게

 

泉壑帶茅茨, 샘물과 골짜기는 초가집을 두르고,

雲霞生薜帷. 구름 노을은 줄사철나무 밭에서 피어난다.

竹憐新雨後, 대나무는 막 비를 맞은 후에 싱그럽고,

山愛夕陽時. 산은 저녁노을 질 때 사랑스럽다.

閒鷺棲常早, 한가한 해오라기는 언제나 일찌감치 깃들고,

秋花落更遲. 가을꽃은 더욱 늦게 떨어진다.

家童掃蘿逕, 아이놈에게 여라 길을 쓸게 한 것은,

昨與故人期. 예전에 친구와 약속을 했기 때문이라네.

 

 

谷口: 지금의 섬서성 경양현 서북.

補闕: 간관. 楊補闕: 불상.

茅茨(띠 모, 가시나무 자): 초가집. 제목 중의 서재를 말함.

: 줄사철나무. 상록 만목. 茅茨와 마찬가지로 은거지의 대명사로 쓰인다.

: 사랑하다. 어여삐 여기다.

: 해오라기 로.

: 여라 라, 무 라.

: 좁은 길 경.

故人: 친한 친구. 양보궐을 말한다.

: 약정.

 

이 시는 초대 약속의 시다. 양보궐과 예전에 서재에서 이야기한 약속이다.

시는 서재의 경물이 그윽하고 조용하고 청신함을 썼다.

 

비온 후에 대나무가 생기발랄하며, 저녁 산에 석양이 비쳐, 그 빛이 사람을 감동시킨다.

가을꽃이 낙엽 졌으나, 여전히 꽃봉오리가 남아 있다.

이러한 경치가 양보궐로 하여금 이전의 약속을 이행하는 데 어찌 부족함이 있겠는가?

 

竹憐新雨後, 山愛夕陽時: 경치를 묘사하는 妙句라 하기에 부끄럽지 않다.

 

 

237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賦得暮雨送李胄 / 韋應物  (0) 2013.02.01
淮上喜會梁川故人 / 韋應物  (0) 2013.01.31
送僧歸日本 / 錢起  (0) 2013.01.31
新年作 / 劉長卿  (0) 2013.01.30
尋南溪常道士 / 劉長卿  (0) 2013.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