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 酬程近秋夜即事見贈 / 韓翃
정연의 <추야즉사>에 화답하다
長簟迎風早, 긴 대자리에 앉아 일찌감치 바람을 쐬고 있으려니,
空城澹月華. 빈 성에 달빛만 조용하다.
星河秋一鴈, 은하수에 가을 기러기 한 마리,
砧杵夜千家. 밤에 집집마다 다듬이질 하는 소리.
節候看應晩, 절후를 보니 마땅히 늦가을인데,
心期臥正賖. 마음이 통하기에 잠자리에도 늦게 든다.
向來吟秀句, 줄곧 그대의 아름다운 구절을 읊다 보니,
不覺已鳴鴉. 새벽 까마귀 우는 소리도 듣지 못했네.
程近: 그 사람이 누구인지 정확하지 않다. 일찍이<秋夜即事>시를 보냈다. 한굉이 시를 지어 화답한 것이다.
簟(점): 대자리 점. 澹(담): 조용할 담. 月華(월화): 달빛.
砧: 다듬이돌 침. 杵: 공이 저.
砧杵(침저): 다듬잇돌과 다듬이 방망이. 옷을 두드려 겨울옷을 준비하다.
心期: 친구 간에 서로 마음이 통하다. <南史.向柳傳>“我與士遜心期久矣, 豈可一旦以勢利處之?"
賖: 외상으로 살 사. 멀다. 느리다.
向來: 본래부터, 여태까지, 줄곧.
秀句: 좋은 구절. 程近의 시에 대하여 아름답게 칭함. 제목의 “酬" 자를 일일이 지적하여 밝히다.
鳴鴉: (울 명. 갈까마귀 아). 동틀 때의 까마귀 우는 소리.
이 시는 화답의 시로서 밤새 잠을 이루지 못한, 피차 마음을 허한 절친한 사이임을 볼 수 있다. 전반의 처음은 가을밤을 문학적 구색을 갖추어 썼다. 자연의 빼어남과 이어 밤이 더욱 깊어 서로 간에 마음이 통하여 잠을 이룰 수 없다. 마지막 련에서는 받은 시를 읊으며, 이미 까마귀가 울어 하늘이 밝는 것도 깨닫지 못함을 썼으며, 結構는 자못 엄밀하다.
“星河秋一鴈, 砧杵夜千家" 청신 활발하고, 실로 아름다운 對句에 속한다.
[작자] 韓翃(벌레 날릴 굉)(생졸년 불상) 자 君平. 남양사람. 천보13년(754) 진사에 등제하여 치청절도사와 변송절도사의 막료를 지냈다.
建中 초년 덕종으로부터 <寒食>시로 상을 받았으며, 중서사인으로 관직을 끝냈다.
한굉은 大歷十才子의 한 사람으로 특히 칠언 절구를 잘했다.
241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江鄕故人偶集客舍 / 戴叔倫 (0) | 2013.02.02 |
---|---|
闕題 / 劉眘虛 (0) | 2013.02.02 |
賦得暮雨送李胄 / 韋應物 (0) | 2013.02.01 |
淮上喜會梁川故人 / 韋應物 (0) | 2013.01.31 |
谷口書齋寄楊補闕 / 錢起 (0) | 2013.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