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 詠懷古跡五首(其四) / 杜甫
옛 유적을 읊다. 4
其四
蜀主窺吳幸三峽, 촉나라 임금 오나라를 치려고 삼협에 임했으나,
崩年亦在永安宫. 죽는 그해에도 영안궁에 있었네.
翠華想像空山裏, 텅 빈 산속에 휘날리던 황제의 의장을 상상해보지만,
玉殿虚無野寺中. 절터에 있던 궁전들도 허무하게 없어졌네.
古廟杉松巢水鶴, 옛 사당의 삼나무 소나무에는 학이 둥지를 짓는데,
歳時伏臘走村翁. 복날 섣달 세시에나 촌로들이 찾아온다.
武侯祠屋長鄰近, 제갈량 사당은 언제나 인근에 있어,
一體君臣祭祀同. 일체가 된 임금과 신하가 제사도 함께 받네.
이 시는 영안궁을 읊은 것이다.
蜀主(촉주): 유비. 窺吳(규오): 東吳에 대하여 침범할 기도가 있었다.
幸: 옛날에는 왕의 어가가 임한 것을 신이라 칭했다.
崩(붕): 왕이 사망한 것을 일러 붕이라 했다.
永安宫: 삼국시대 촉한 章武 2년(222) 유비가 촉군을 거느리고 삼협을 통과하여 동오를 침범했으나 陸遜에게 궤멸되어, 魚㚆(지금의 중경시 봉절) 백제성 까지 후퇴한 후, 어복을 영안으로 고치고, 영안궁으로 이름 지어 그곳에 거주하다가, 다음해 4월에 병사했다.
翠華(취하): 황제의 의장.
玉殿: 전은 지금 와룡사가 되었고 사당은 궁의 동쪽에 있다. 즉 당나라 때 영안궁은 이미 황량한 사당으로 변해 있었다.
巢: 둥지를 짓다. 水鶴: 학이 물새가 되어 그리 칭했다. 歳時: 일 년 중의 명절.
伏臘(복랍): 고대 두 종류 제사의 명칭. 복은 6월에 있고, 랍은 12월에 있다. 이상 4구절은 그때 유비가 이 궁에 머물던 정경은 상상하기 어렵고, 현재 옥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산간의 사당으로 변해 버렸다. 학새는 殿 근처의 숲에서 둥지를 틀고, 매년 절기에 村老들이 이곳에 와 제사를 지낸다.
武侯祠(무후사): 재갈량을 무향후로 봉해, 그 무후사와 유비의 사당이 가까이 있다.
一體君臣: 유비, 제갈량 군신이 서로 화합되어, 보기에 마치 일체인 것 같다. 후세인들의 제사도 같이 받는다.
이 시는 제갈량과 유비의 君臣 관계를 推崇하는 시다. 작자는 시골 노인네들이 제사 지내는 것을 빌어 그 유적이 유실되었음을 부각시켰다. 그러나 궁궐의 허무함과, 삼나무 솔나무에 물새가 서식하는 것에 대하여, 시인은 무한한 감개를 토로한다.
309.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江州重别薛六桞八二員外/ 劉長卿 (0) | 2013.03.08 |
---|---|
詠懷古跡五首其五 / 杜甫 (0) | 2013.03.06 |
詠懷古跡五首 其三 / 杜甫 (0) | 2013.03.05 |
詠懷古跡五首. 其二 / 杜甫 (0) | 2013.03.04 |
詠懷古跡五首 其一 / 杜甫 (0) | 201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