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1구 논어 365편

三思而後行

甘冥堂 2023. 3. 24. 04:13

.................................................................................................................. 324

84. 三思而後行

     세 번 생각한 뒤에야 행하였다

 

季文子三思而後行하더니 子聞之하시고 曰 再斯可矣니라

(계문자삼사이후행 자문지 왈 재사가의)

계문자(季文子)가 세 번 생각한 뒤에야 행하였다. 공자(孔子)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말씀하셨다.

두 번이면 가하다.” (公冶長 19)

 

계문자(季文子)는 노()나라 대부(大夫)이니, 이름은 행보(行父)인데, 매사를 반드시 세 번 생각한 뒤에야 행하였다.

예를 들면 진()나라에 사신(使臣)으로 가면서 <()나라 임금이 병을 앓는다는 말을 듣고>

()을 당할 경우 사신(使臣)으로서 행해야 할 예()를 미리 찾아보고 간 것과 같은 것이 그 한 예()이다.

()는 어조사이다.

 

정자(程子)가 말씀하였다. “()한 짓을 하는 자는 애당초 생각함이 있음을 알지 못한다.

생각함이 있다면 선()을 할 것이다.

그러나 두 번 생각함에 이르면 이미 살핀 것이요, 세 번 하면 사사로운 뜻이 일어나 도리어 현혹된다.

그러므로 부자(夫子)께서 비판하신 것이다.

 

이 글은 신중하기로 소문난 노나라 계문자 이야기를 듣고 공자님이 하신 말씀으로,

결정을 내릴 때는 신중하되 결단력도 중요하다는 말이다.

장고(長考) 끝에 악수(惡手) 나온다는 말도 있듯, 과한 신중함은 일을 그르치게도 하고,

고민은 또 다른 고민을 낳아 때를 놓칠 수도 있다.

 

 

 

 

'1일1구 논어 365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有謂有 無謂無 曰直  (1) 2023.03.26
不念舊惡 怨是用希  (0) 2023.03.25
善與人交  (0) 2023.03.23
不恥下問  (1) 2023.03.22
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  (0) 2023.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