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0. 次北固山下 / 王灣
북고산 아래 머물며.
客路青山外, 나그네 가는 길 청산 밖인데,
行舟緑水前. 떠나는 배 푸른 물 앞에 있네.
潮平兩岸濶, 조수 밀려와 평평하고 양안은 드넓은데,
風正一帆懸. 순풍에 외로운 배 돛을 높이 걸었다.
海日生殘夜, 바다에 해 떠올라도 주변은 아직 어둡고,
江春入舊年. 강에는 봄이 왔어도 묵은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네.
鄉書何處達, 집안 소식 어느 곳에 닿을까,
歸雁洛陽邉. 기러기 낙양으로 돌아가는데.
次: 停宿. 여행 도중에 잠시 머물다.
北固山: 지금의 강소 진강 남안. 金山, 焦山과 함께 京口三山이라 칭한다.
客路: 멀리 가는 길.
潮平: 조수가 밀물이 되어 넓게 양안이 평평하게 되는 것.
濶: 一作. “失"
風正: 순풍. 一帆: 외로운 배.
鄉書: 집안 소식.
歸雁: 옛날에는 기러기가 편지를 전할 수 있다고 전해진다. 기러기는 겨울이 되면 따뜻한 곳을 찾아 남쪽으로 날아가고 봄이 되면 너무 덥지 않은 북쪽으로 날아간다. 漢 蘇武는 사신으로 흉노의 나라에 갔다가 억류되었다. 나중에 한나라와 흉노가 화친을 맺었으나 흉노의 왕이 소무가 죽었다고 속이므로 한나라 사신이 자기 천자가 사냥을 하다가 기러기를 한 마리를 잡았는데 그 기러기의 발에 소무가 살아있다는 편지가 묶여 있었다고 재치를 부림으로써 소무가 무사히 한나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그로부터 기러기는 편지를 전해주는 매개자 또는 편지나 소식 자체를 가리키게 되었다.
이 시는 겨울이 끝나가고 초봄에 강가를 여행하며, 경치를 보며, 그리운 마음에 향수가 일어난 것을 읊었다. ‘海日生殘夜, 江春入舊年'. ‘밤이 다 새기 전에 바다 밑의 해가 뜨고, 한 해가 다 가기 전에 강가의 봄이 찾아온다.'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천추에 남을 구절이다.
[작자] 王灣(왕만: 생졸년 불상) 낙양사람. 太極 원년(712) 진사에 급제하여 개원 초 영양주부를 지냈고. 후에 낙양위를 지냈다.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寄左省杜拾遺 / 岑參 (0) | 2013.01.14 |
---|---|
破山寺後禪院 / 常建 (0) | 2013.01.12 |
題大庾嶺北驛 / 宋之問 (0) | 2013.01.12 |
雜詩 / 沈佺期 (0) | 2013.01.11 |
和晉陵陸丞相早春遊望 / 杜審言 (0) | 201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