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9. 尋南溪常道士 / 劉長卿
남쪽 계곡의 상도사를 방문하다
一路經行處, 한 줄기 오솔길을 따라가 보니,
莓苔見履痕. 이끼 위에 나막신 발자국 보인다.
白雲依静渚, 흰 구름은 고요한 모래톱에 걸쳐있고,
春草閉閒門. 봄풀은 한가로운 사립문을 막았다.
過雨看松色, 비 지난 후 소나무 경치를 바라보며,
隨山到水源. 산을 따라 수원지에 다다랐다.
溪花與禪意, 계곡에 핀 꽃과 참선하는 이의 마음,
相對亦忘言. 서로 대하니 그만 할 말을 잊었다.
常道士: 상산도인의 잘못으로 실제 성씨는 常씨가 아니다.
履: 나막신.
痕: 발자국.
渚: 물 가운데 조그만 모래톱.
相對亦忘言: 이 구절은 도연명의<飮酒> 詩意인 “此中有眞意, 欲辯已忘言" 이중에 진정한 뜻이 있으나, 말하고자 하나 이미 할 말을 잊었다.
이 시는 은자를 방문하였으나 만나지 못하고, 별도의 정취를 얻어, 선의 묘한 뜻을 깨달았다.
시의 제목에 찾을 “尋"으로 발제하여, 첫째 둘째 구는 계속 尋으로 계속하여. 함연에서는 멀리 바라보고 또 가까이 바라본다. 尋은 은사의 거처에 도착하였다. 경련에서는 은자가 부재하여, 소나무를 바라보고 수원지를 찾게 된 별도의 정취를 썼다. 마지막 연은 계곡에 꽃이 제멋대로 피어 부처님 도리의 無爲함을 “悟" 깨닫는다.
비록 작자로 하여금 상도사를 찾게 하였으나, 이러한 경물을 마주 대하니 할 말을 잊어버릴 수밖에 없다.
233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送僧歸日本 / 錢起 (0) | 2013.01.31 |
---|---|
新年作 / 劉長卿 (0) | 2013.01.30 |
餞别王十一南遊 / 劉長卿 (0) | 2013.01.30 |
送李中丞歸漢陽別業 / 劉長卿 (0) | 2013.01.29 |
秋日登吳公臺上寺逺眺 / 劉長卿 (0) | 2013.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