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6. 秋日登吳公臺上寺逺眺 / 劉長卿
가을날 오공대 위의 절에 올라 멀리 바라보며
古臺摇落後, 옛날 누대는 영락한지 오랜데,
秋入望鄉心. 고향 그리는 마음에 가을이 스며든다.
野寺來人少, 변두리 절에는 찾아오는 사람 드물고,
雲峯隔水深. 구름 덮인 봉우리는 강 건너에 높다.
夕陽依舊壘, 석양은 옛 성루에 기대 있고,
寒磬滿空林. 차가운 경쇠소리 텅 빈 숲에 가득하다.
惆悵南朝事, 슬프다 남조시대에 일들
長江獨自今. 장강만이 홀로 지금까지 흐른다.
吳公臺: 강소성 강도현에 있다. 이 臺는 본래 南朝 대장 宋沈慶이 지은 것인데, 후에 陳朝 대장 吳明撤이 또 증축했다. 그래서 오공대로 불린다.
摇落(흔들릴 요, 떨어질 락): 영락.
舊壘: 오공대를 말한다.
磬(경쇠 경): 절에서 사용하는 銅 주물로 만든 악기.
寒磬: 맑고 시원한 경쇠소리
南朝: 동진 후에 남방의 宋.齊.梁.陳. 4개 왕조를 일러 남조라 한다. 이 구절은 오공대가 남조의 역사적 사실을 회상시켜, 사람으로 하여금 슬퍼하게 한다.
이 시는 옛날을 생각하는 시다. 전 왕조 고적지의 영락한 모습을 감상하고, 감개무량함을 금할 수 없다.
수련은 남조의 고적인 오공대를 보고 감개가 일어, 경치를 대하니 감정이 인다. 중간의 두 구절은 옛날 유적지의 영락과 놀러 오는 이 드물어 슬프고 처량하다. 미련에서는 강산은 의구한데 인물은 같지 않다. 마지막 두 구절에는 “장강은 동으로 흐르고, 물결은 일어 끝이 없는, 천고의 풍류 인물"의 기품이 있다고 한다.
[작자] 유장경(?~약790), 자 文房. 안휘성 宜城사람. 천보 년간에 진사에 합격하여 지덕 년간에 장주위, 해염령을 지냈으나 폄적되어 남파위를 지냈다. 광덕 년간에 감찰어사. 대력 년간에 전운사판관 등을 지냈으나 다시 폄적되어 睦州司馬가 되었다. 덕종 때 隨州刺史가 되었다.
유장경은 숙종, 대종 기간에 詩名이 자못 높아 이름을 날렸고, 특히 오언시를 잘해 자칭
“五言長城"이라 했다.
230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餞别王十一南遊 / 劉長卿 (0) | 2013.01.30 |
---|---|
送李中丞歸漢陽別業 / 劉長卿 (0) | 2013.01.29 |
早寒江上有懷 / 孟浩然 (0) | 2013.01.28 |
留别王維 / 孟浩然 (0) | 2013.01.28 |
宿桐廬江寄廣陵舊遊 / 孟浩然 (0) | 201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