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 赤壁 / 杜牧
적벽
折戟沉沙鐵未銷, 모래에 묻힌 부러진 창은 쇠가 아직 삭지도 않아,
自將磨洗認前朝. 스스로 집어서 갈고 닦아보니 전 왕조의 것임을 알겠네.
東風不與周郎便, 동풍이 주랑을 돕지 않았더라면,
銅雀春深鎖二喬. 동작대에 봄 깊을 때 대교 소교는 이곳에 갇혔겠지.
이것은 咏史詩다.
赤壁: 지금의 호북 무창 赤磯山에 있으며 일설에는 지금의 호북 포기현 적벽산에 있다고도 한다. 건안 13년 (208). 손권, 유비 연합군이 조조를 대파하여 적벽대전이라고 칭한다.
折戟(절극): 활을 부러뜨린다. 전쟁에 패하다.
將: 손에 집어 들다. 이상 2구는 창이 부러져 모래에 묻히고, 아직 노가 썩지도 않았는데, 내가 방패를 깨끗이 씻어서 분별해 보니 전대의 유물이다.
東風: 적벽대전 때, 조조의 병사가 세력이 강하고 많아. 동오의 도독 주유가 黃蓋의 화공 책략을 써서 동남풍이 불 때 화선을 이용하여 조조군을 격파하여 크게 전승을 거두었다.
周郎: 주유를 가리킨다.
銅雀(동작): 臺의 이름. 曹操가 업성(지금의 하북 임창현)에 동작대를 세웠는데, 높이 10장으로 화려함이 극에 달했다. 樓의 꼭대기에 큰 동으로 만든 공작이 있어 이런 이름을 얻었다.
조조는 자기의 寵姬와 歌妓들을 이곳에 모아 놓고 오락하며 저녁 경치를 즐겼다.
二喬: 東吳의 미녀인 大喬와 小喬를 가리킨다. 대교는 孫策의 부인이고, 소교는 周瑜의 부인이다. 이 2구는 만약 동풍이 주유를 도와주지 않았더라면, 하늘이 내린 국색인 이교를 유폐된 동작대로 보내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
431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寄揚州韓綽判官 / 杜牧 (0) | 2013.04.25 |
---|---|
泊秦淮 / 杜牧 (0) | 2013.04.25 |
將赴吳興登樂游原 / 杜牧 (0) | 2013.04.24 |
近試上張水部 / 朱慶餘 (0) | 2013.04.23 |
宫詞 / 朱慶餘 (0) | 201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