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음운대치
평폐쇄음화 -> 모든 장애음은 음절 종성위치에서 평폐쇄음 ㄱ ㅂ ㄷ 로 바뀐다.
ㄲ ㅋ -> ㄱ 밖-박. 부엌-부억
ㅍ ->ㅂ 앞-압
ㅅ ㅆ ㅈ ㅊ ㅌ ㅎ -> ㄷ. 옷-옫. 있다-읻다(읻따). 젖-젇. 쫒고-쫃고(쫃꼬). 솥-솓 놓습니다. 녿습니다(녿씁니다)
경음화
.평퍠쇄음 ㄱ ㄷ ㅂ 뒤의 경음화 국밥-국빱. 믿고->믿꼬. 밥상->밥쌍
.동사나 형용사 어간의 말음 ㄴ ㅁ 뒤의 경음화 신다-신따. 검지-검찌. 안다-안따. 감다-감따.
.관형어미 -을/를 뒤의 경음화 먹을 것을-머글 꺼슬. 할 바를- 할 빠를. 할 수 있다-할 쑤있다.
.한자어'ㄹ'뒤의 ㄷ ㅅ ㅈ 의 경음화 八道-팔또. 八歲-팔쎄. 八點-팔쩜. 發展-발쩐
(발 바닥. 발병 등은 주의)
치조음화
유음 'ㄹ' 은 'ㄹ'을 제외한 자음 뒤에서 치조비음 'ㄴ' 으로 바뀐다.
.결단력-(결딴력)-결딴녁. 십리-십니(심니)
2. 음운대치(2)
.유음화 -> 유음 ㄹ 뒤에서 ㄴ 은 유음 ㄹ 로 바뀐다.
칼날-칼랄, 핥는-할는-할른. 실내-실래. 헤이즐 넛-헤이즐럿(헤이즐럳)
.비음화 -> 비음 앞에서 장애음 ㄱ ㄷ ㅂ 는 비음 ㅇ ㄴ ㅁ 으로 바뀐다.
밥만-밤만. 잡는다-잠는다.
3.음운대치(3)
.양순음화 -> 양순음 앞에서 ㄴ ㄷ 은 각각 양순음 ㅁ ㅂ 으로 바뀐다(수의적)
기분만-기붐만, 곧바로-곱빠로, 면발-몀빨, 눈물은-눔물은.
.연구개음화 -> 연개구음 앞에서 ㄴ ㅁ 은 연구개음 'ㅇ'으로
ㄷ ㅂ 은 연구개음 'ㄱ '으로 바뀐다(수의적)
ㄴ ㅁ ->ㅇ 신고-싱꼬. 감고-강꼬
ㄷㅂ -> ㄱ 믿고-믹꼬, 집고-직꼬
.구개음화 -> 용언 또는 체언 어간의 말음 ㄷ ㅌ 가 전설고모음 '이'로 시작하는 문법형태소앞에서 각각 경구개음 ㅈ ㅊ 로 바뀐다.
짐받이-짐바지, 밭이-바치, 낱낱이-난나치
3.음운대치(4)
.움라우트 -> 뒤에오는 전설모음 '이'나 활음 'j'의 영향을 받아 후설모음이 전설모음으로 바뀌는 현상.
어미-에미. 학교-핵교(핵꾜)
(예) 덤비다>뎀비다 -> 동화음 '이', 피동화음 덤의 '어'
.움라우트 개재자음
한국어 움라우트는 동화음과 피동화음 사이에 연구개음이나 양순음이 개재될 경우에 일어난다.
아기>애기 아 와 이 사이에 자음 'ㄱ'
어미-에미 어와 이 사이에 'ㅁ'
(방언) 법이-벱이. 바람이라고-바램이라고 주기 싫다-뒤기 싫다.
.모음조화
동사나 형용사 어간에 아/어 로 시작하는 어미가 연결 될때 어간의 말음절 모음이 '아. 오' 면 '-아' 가 연결되고
그 외는 '-어'가 연결됨.
-아 : 잡아-자바. 좁아-조바
-어 : 집어-지버, 떼어-떼어, 뱉어-배터. 뛰어-뛰어. 되어-되어. 늦어-느저. 접어-저버, 굽어-구버.
.'j'활음화
동사나 형용사 어간의 말음 '이'가 어미 '-어' 앞에서 수의적으로 'j'로 바뀐다.
기어-겨: 비어-벼: 이기어-이겨. 비비어-비벼.(다음절은 필수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보상적 장모음화가 안됨)
우겨 봐도.
(ㅈ ㅊ ㅉ 로 시작하는 단음절 어간의 경우는 필수적) 지어-져(-저), 찌어-쪄(저) 치어-쳐(처)
4. 'w' 활음화
.오/우 가 어미 아/어 앞에서 수의적으로 활음 'w'로 바뀐다.
보아- 봐: 두어- 둬:
돌보아-돌봐. 가두어-가둬
.음운탈락(1)
.자음군 단순화 -> 명사 어간 또는 동사 형용사 어간의 말음이 자음 둘로 이루어진 자음군일 때 음절말 위치에 오면 두 자음 중 하나가 탈락.
ㄵ ㄶ - ㄴ: 앉다-안따. 많네-만네
ㄳ-ㄱ :넋도-넉또
ㅄ -ㅂ : 값도-갑또. 없다-업따.
ㄼ - ㄹ : 여덟도-여덜도. 넓다-널따. (밟)은 제외
.'ㅎ' 탈락 -> 'ㅎ'는 공명음과 모음 사이에서 탈락 (ㅎ 첫소릴 때 수의적)
놓아-노아, 많아-마:나. 닳아-다라
예) 모음과 모음 사이 'ㅎ' 탈락 국어학. 좋아
유음과 모음사이 절하다. 꿇어
비음과 모음사이 국문학. 괜찮아
공부하다-공부아다. 피곤하다-피고나다. 실하다-시라다(수의적)
5. 음운탈락(2)
.'으' 탈락-> 동사나 형용사 어간 말음 '으'는 어미 '-아/어' 앞에서 탈락
쓰-어->써. 고프-아 ->고파 . (떳어, 치렀다. 기뻣다. 슬펏다)
.동모음 탈락 -> 동사나 형용사 어간 말음 '아/어'는 어미 '-아/어' 앞에서 탈락
가-아-> 가. 서어->서. 놀라아->놀라. (건넜다. 갔어. 섰어. 탔어)
.활음 'j' 탈락 -> 경구개음 ㅈ ㅉ ㅊ 뒤에서 탈락(필수)
저어(져)->저. 찌-어(쪄)->쩌, 치-어(쳐)->처.
.활음 'w' 탈락 -> 양순음 뒤에서 탈락 (수의)
보-아(-봐)->바: , (붓-어)->부-어. (-붜:)->버:
6. 音韻 첨가와 음운축약
.'ㄴ' 첨가 -> 자음으로 끝나는 형태소와 '이' 또는 'j'로 시작하는 어휘형태소가 연결되면 그 사이에 'ㄴ' 첨가.
솜 이불-솜 니불. 색연필-색년필(생년필), 솔잎-솔닢(솔립). 물약-물냑(물략)
.활음'j' 첨가 -> 전설모음 ㅣ ㅔ ㅐ ㅟ ㅚ 와 어미의 모음 사이에 활음 'j' 첨가(수의)
피어-피여, 되어- 되여.
떼여-떼여(떼어) 개어-개여(개어) 뛰어-뛰여(뛰어) 되어-되여(되어). 다만 허리를 '펴'의 펴는 (줄임말이 아니므로 x)
.활음 'w' 첨가 -> 후설원순모음 'ㅗ ㅜ'와 모음사이에 활음 'w' 첨가 (수의)
보아(보아)->보와, 두어(-두어)->두워
.'ㅎ' 축약 -> ㅎ 과 평음 ㄱ ㄷ ㅂ ㅈ 가 만나면 ㅋ ㅌ ㅍ ㅊ 가 된다.
놓고-노코. 않던-안턴. 닳지-달치.
떡하다-떠카다. 옷 한벌-오탄벌. 산업혁명-사너평명. 좋다-조타. /끝/
'학술.논문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희곡론 자료 1 (0) | 2014.09.19 |
---|---|
고전한문(文) (0) | 2014.08.24 |
시 창작론 (0) | 2014.06.13 |
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0) | 2014.06.12 |
고전의 가치와 잡지 『문장』파 근대예술가들의 지향점 (0) | 2014.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