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1구 논어 365편

弟子入則孝 出則弟

甘冥堂 2023. 1. 7. 08:45

................................................................................................................... 17

 

7. 弟子入則孝 出則弟

    제자(弟子)가 들어가서는 효()하고 나와서는 공손(恭遜)하며,

 

子曰 弟子入則孝하고 出則弟하며 謹而信하며 汎愛衆하되 而親仁이니

行有餘力이어든 則以學文이니라

(제자입즉효 출즉제 근이신 범애중이친인 행유여력즉이학문)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제자(弟子)가 들어가서는 효()하고 나와서는 공손(恭遜)하며,

<행실을> 삼가고 <말을> 성실하게 하며, 널리 사람들을 사랑하되 인()한 이를 친히 해야 하니,

이것을 행하고 여력(餘力)[여가(餘暇)] 이 있으면 글을 배워야 한다.” (學而 6)

 

()이란 행실에 떳떳함이 있는 것이요, ()이란 말에 성실(誠實)함이 있는 것이다.

()은 넓음이요, ()은 중인(衆人)[여러 사람] 을 이른다. ()은 가까이 하는 것이다.

()은 인자(仁者)를 이른다. 여력(餘力)은 가일(暇日)이란 말과 같다. ()는 씀이다.

()은 시서(詩書)와 육예(六藝)의 문()을 이른다.

 

정자(程子)가 말씀하였다. “제자(弟子)의 직분(職分)을 하고 힘이 남음이 있으면 글을 배우는 것이니,

그 직분을 닦지 않고 문()을 먼저 함은 위기(爲己)의 학문(學問)이 아니다.”

 

윤씨(尹氏)가 말하였다. “덕행(德行)은 근본(根本)이요 문예(文藝)는 지엽(枝葉)이니,

그 본말(本末)을 궁구(窮究)하여 먼저 하고 뒤에 할 것을 알면 덕()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홍씨(洪氏)가 말하였다. “여력(餘力)이 있지 못한데 문()을 배운다면 문()이 그 질()을 멸하게 될 것이요,

여력(餘力)이 있는데도 문()을 배우지 않는다면 질()이 치우쳐서 비루(鄙陋)해질 것이다.”

 

내가 생각건대, 역행(力行)만 하고 문()을 배우지 않는다면, 성현(聖賢)이 만들어 놓은 법()을 상고하고

사리(事理)의 당연함을 알 수가 없어서, 행하는 바가 혹 사사로운 뜻에서 나오기도 할 것이요,

단지 비루함에 잘못될 뿐만이 아닐 것이다.

 

'1일1구 논어 365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無友不如己者오 過則勿憚改니라.  (1) 2023.01.09
賢賢易色  (0) 2023.01.08
吾 日三省吾身  (1) 2023.01.06
巧言令色 鮮矣仁  (0) 2023.01.05
君子務本  (1) 202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