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사는 이야기

白碑

甘冥堂 2024. 4. 21. 22:11


백비(白碑)가 보여주는 청렴한 삶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속담처럼
사람은 세상에 남기는 명예를 매우
중요시합니다.

그런데 전남 장성 소나무 숲
한 묘지 앞을 지키는 낯선 비석이 있는데
이름뿐만 아니라 아무런 글도 쓰여 있지 않은 '백비(白碑)'가 있습니다.

이곳에 묻힌 이는 조선 중기 청백리로 이름난 박수량(1491~1554)의 묘지였습니다.
그는 예조참판, 형조판서, 호조판서 등
높은 관직들을 역임했습니다.

조정에 출사 한 시기가 38년이나 되고
재상에 이르는 직위에까지 올랐지만,
집 한 칸 마련하지 못할 정도로 청빈한 삶을 살았다고 합니다.

'그가 죽었을 때 집에 돈이 없어 가족이 상여를 메고 고향도 가지 못하니 신하들이 임금께 청하여 겨우 장사를 치렀다.'
- 명종실록 -

이에 명종이 크게 감동하여 암석을 골라 하사하면서
'박수량의 청백을 알면서 빗돌에다 새삼스럽게
그가 청백했던 생활상을 쓴다는 것은
오히려 그의 청렴을 잘못 아는 결과가 될지 모르니
비문 없이 그대로 세우라'고 명하여
백비가 세워졌다 합니다.

이 세상엔 탐욕스럽게 허명(虛名)에 사로잡혀
청렴해지고 겸손해지려는 사람보다는,
오히려 뽐내고 자랑하기 위해서 높은 자리에 오르려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진실한 명예는 자신이 잡아
자신의 안에 담을 수 있는 것이
절대로 아닙니다.

# 오늘의 명언
청렴은 백성을 이끄는 자의 본질적 임무요,
모든 선행의 원천이요, 모든 덕행의 근본이다.
– 다산 정약용 –



이와는  정반대 이야기가 있다.

중국 당나라의 측전무후는
아들을 황제의 자리에서 내쫓고
대신 황제에 올랐다.

밀고와 공포정치로 권력을 쥐어 잡고,
평생을 살 것인양 도교의 양생술에 빠져
수많은 젊은이들과 성관계를 맺는 등
모진 짓을 하다가
80세의 나이에 반란군에 의해 권력을 잃고 사망했다.

그녀의 묘지에는 8m의 큰 비석이 세워져 있는데,
거기에는 한 글자도 쓰여있지 않다.
바로 白碑다.


원철스님 저서에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측천무후가 白碑를 남긴 까닭은

名高不用鐫頑石 (명고불용전완석)
路上行人口是碑 (노상행인구시비)

이름이 높으면 돌덩이에 새길 필요가 없다
오가는 사람들의 입이 바로 비석이다.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권 읽기  (0) 2024.04.22
人口是碑  (1) 2024.04.21
길...  (1) 2024.04.21
마음이 청춘이면  (0) 2024.04.21
기억력을 유지하는 방법  (0) 2024.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