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1. 下江陵 / 李白
강릉으로 내려가며
朝辭白帝彩雲間, 아침에 노을 속의 백제성을 작별하고,
千里江陵一日還. 천리 강릉을 하루 만에 돌아왔네.
兩岸猿聲啼不住, 양쪽 벼랑에 원숭이 울음소리 그치지 않는데 ,
輕舟巳過萬重山. 가벼운 배는 이미 첩첩산중을 지났다.
江陵(강릉): 지금의 호북 강릉현에 있다. 이 시는 제목이<早發白帝城>으로 된 판본도 있다.
백제성은 지금의 중경 봉절현에 있다. 시는 건원 2년(759), 이백이 永王 李璘의 일로 귀양 가는데, 백제성에 이르렀을 때 사면되어, 배를 타고 강릉으로 돌아갔다.
白帝: 백제성. 옛터가 지금의 사천성 봉절현 백제산 위에 있다.
彩雲(채운): 노을. 지세가 험준하여 항상 구름에 덮여 있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千里江陵一日還." 盛弘이<荊州記>에서 말하기를, 아침에 백제에서 출발하여 저녁에 강릉에 도착했다는 것은, 그 거리가 천이백 리이니, 비록 광풍을 조절한다 해도 빨리 갈 수가 없다"
啼不住(제부주): 원숭이 소리가 삼협 일대의 산 여기저기에서 끊임없이 들리는 것을 가리킨다.
輕舟(경주): 작은 배. 경은 배의 속도가 빠른 것을 형용한다. 또한 가벼움은 속도를 표현한 것이자 동시에 환희에 찬 마음을 표현했다.
萬重山: 첩첩이 이어진 산.
淸. 施補華: 太白七絶, 天才超逸한 神韻이 그를 따른다. “朝辭白帝彩雲間, 千里江陵一日還" 이같이 신속하고 빠른, 즉 가벼운 배가 만산을 통과했다 하니 말이 필요 없다.
말은 급하나 여전히 완만하다. 가히 用筆하는데 묘한 바가 있다.<峴佣說詩>
400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江南逄李龜年 /杜甫 (0) | 2013.04.16 |
---|---|
逢入京使 / 岑參 (0) | 2013.04.16 |
送孟浩然之廣陵 / 李白 (0) | 2013.04.14 |
涼州曲 / 王翰 (0) | 2013.04.14 |
春宫曲 / 王昌齡 (0) | 2013.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