唐詩 300首 飜譯

江南逄李龜年 /杜甫

甘冥堂 2013. 4. 16. 09:10

263. 江南逄李龜年 / 杜甫

     강남에서 이귀년을 만나

 

岐王宅裏尋常見, 기왕 댁에서 평상시 늘 만났었고,

崔九堂前幾度聞. 최구의 집에서도 몇 번 그대 노래 들었었지.

正是江南好風景, 지금 강남은 좋은 풍경인데,

落花時節又逄君. 꽃 지는 시절에 다시 그대를 만났구려.

 

 

江南: 장강과 상수 일대를 가리킨다.

李龜年(이귀년) : 당나라 때 저명한 음악가. 노래를 잘했으며, 개원 천보 년간 자못 이름을 얻었으며 현종이 특별히 대우했다. 안사의 난 이후, 강남으로 떠돌며, 매번 좋은 경치를 만나면 사람들을 위해 노래를 부르고, 좌중에서 술에 취해 눈물이 흐르는 것도 감추지 않았다.

이 시는 대력 5(770) , 두보가 젊었을 적에 이귀년의 노래를 몇 번 들었는데, 이때 潭州(지금의 호남 장사)에서 다시 만나, 이 시를 지어 그에게 증정했다.

 

岐王(기왕): 李范. 예종의 아들이자 현종의 동생. 문학을 좋아했으며 문사들과 사귀기를 좋아했다. 岐王宅: 낙양 尙善坊에 있다.

尋常(심상): 평상. .

崔九: 崔涤(최척). 현종의 총신으로 궁중에 항상 출입했다.

崔九堂: 최척의 집은 낙양 遵化里에 있다. 두보가 젊어서 넓은 문인사회에 나가서 놀았을' , 항시 기왕과 최구의 댁에 출입하여, 이귀년을 만났다.

落花時節: 꽃 지는 시절. 표면적으로는 늦봄을 가리키면서 이면적으로는 사람의 만년을 가리킨다.

 

淸 何焯(하작): 四句가 순박한 말로 쓰였으나, 그러나 세상 盛衰와 화려함도 황혼에 이르러, 두 사람이 영락하여 타향을 떠돎이(流落)이 모두 말속에 표현되어 있다.

 

 

403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楓橋夜泊 / 張繼  (0) 2013.04.17
滁州西澗 / 韋應物  (0) 2013.04.17
逢入京使 / 岑參   (0) 2013.04.16
下江陵 / 李白   (0) 2013.04.15
送孟浩然之廣陵 / 李白   (0) 2013.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