書經
第一篇 堯典
<제1장>
曰若稽古帝堯한대 曰放勳이시니 欽明文思 安安하시며 允恭克讓하사 光被四表하시며 格于上下하시니라
<제2장>
克明俊德하사 以親九族하신대 九族이 旣睦이어늘 平章百姓하신대 百姓이 昭明하며 恊和萬邦하신대 黎民이 於變時雍하니라
<제3장>
乃命羲和하사 欽若昊天하여 曆象日月星辰하여 敬授人時하시다
<제4장>
分命羲仲하사 宅嵎夷하시니 曰暘谷이니 寅賓出日하여 平秩東作이니 日中이오 星鳥라 以殷仲春이면 厥民은 析이오 鳥獸는 孶尾니라
<제5장>
申命羲叔하사 宅南交하시니 (曰明都니) 平秩南訛하여 敬致니 日永이오 星火라 以正仲夏면 厥民은 因이오 鳥獸는 希革이니라
<제6장>
分命和仲하사 宅西하시니 曰昧谷이니 寅餞納日하여 平秩西成이니 宵中이오 星虛라 以殷仲秋면 厥民은 夷요 鳥獸는 毛毨이니라
<제7장>
申命和叔하사 宅朔方하시니 曰幽都니 平在朔易이니 日短이오 星昴 라 以正仲冬이면 厥民은 隩요 鳥獸는 氄毛니라
<제8장>
帝曰咨汝羲曁和아 朞는 三百有六旬有六日이니 以閏月이라사 定四時成歲하여 允釐百工하여 庶績이 咸熙하리라
<제9장>
帝曰疇咨若時하여 登庸고 放齊曰胤子朱 啓明하니이다 帝曰吁라 嚚訟이어니 可乎아
<제10장>
帝曰疇咨若予采오 驩兜 曰都라 共工이 方鳩僝功하나니이다 帝曰吁라 靜言庸違하고 象恭滔天하니라
<제11장>
帝曰咨四岳아 湯湯洪水 方割하여 蕩蕩懷山襄陵하여 浩浩滔天일새 下民其咨하나니 有能이어든 俾乂하리라 僉曰於라 鯀哉니이다 帝曰吁라 咈哉라 方命하며 圮族하나니라 岳曰异哉나 試可요 乃已니이다 帝曰往欽哉하라하시니 九載에 績用이 弗成하니라
<제12장>
帝曰咨四岳아 朕在位七十載니 汝能庸命하나니 巽朕位인저 岳曰否德이라 忝帝位하리이다 曰明明하며 揚側陋하라 師錫帝曰有鰥이 在下하니 曰虞舜이니이다 帝曰兪라 予聞호니 如何오 岳曰瞽子니 父頑하며 母嚚하며 象傲어늘 克諧以孝하여 烝烝乂하여 不格姦하니이다 帝曰我其試哉인저 女于時하여 觀厥刑于二女하리라하시고 釐降二女于嬀汭하여 嬪于虞하시고 帝曰欽哉하라하시다
第二篇 舜典
<제1장>
曰若稽古帝舜한대 曰重華 恊于帝하시니 濬哲文明하시며 溫恭允塞하사 玄德이 升聞하신대 乃命以位하시다
<제2장>
愼徽五典하신대 五典이 克從하며 納于百揆하신대 百揆 時敍하며 賓于四門하신대 四門이 穆穆하며 納于大麓하신대 烈風雷雨에 弗迷하시다
<제3장>
帝曰格하라 汝舜아 詢事考言한대 乃言이 底可績이언 三載니 汝陟帝位하라 舜이 讓于德하사 弗嗣하시다
<제4장>
正月上日에 受終于文祖하시다
<제5장>
在璿璣玉衡하사 以齊七政하시다
<제6장>
肆類于上帝하시며 禋于六宗하시며 望于山川하시며 徧于羣神하시다
<제7장>
輯五瑞하시니 旣月이어늘 乃日覲四岳羣牧하시고 班瑞于羣后하시다
<제8장>
歲二月에 東巡守하사 至于岱宗하사 柴하시며 望秩于山川하시며 肆覲東后하시니 恊時月하사 正日하시며 同律度量衡하시며 脩五禮하시니 五玉과 三帛과 二生과 一死贄러라 如五器하시고 卒乃復하시다 五月에 南巡守하사 至于南岳하사 如岱禮하시며 八月에 西巡守하사 至于西岳하사 如初하시며 十有一月에 朔巡守하사 至于北岳하사 如西禮하시고 歸格于藝祖하사 用特하시다
<제9장>
五載에 一巡守어시든 羣后는 四朝하나니 敷奏以言하시며 明試以功하시며 車服以庸하시다
<제10장>
肇十有二州하시고 封十有二山하시며 濬川하시다
<제11장>
象以典刑하시되 流宥五刑하시며 鞭作官刑하시고 扑作敎刑하시되 金作贖刑하시며 眚灾란 肆赦하시고 怙終은 賊刑하시되 欽哉欽哉하사 惟刑之恤哉하시다
<제12장>
流共工于幽洲하시며 放驩兜于崇山하시며 竄三苗于三危하시며 殛鯀于羽山하사 四罪하시니 而天下 咸服하니라
<제13장>
二十有八載에 帝乃殂落하시거늘 百姓은 如喪考妣를 三載하고 四海는 遏密八音하니라
<제14장>
月正元日에 舜이 格于文祖하시다
<제15장>
詢于四岳하사 闢四門하시며 明四目하시며 達四聰하시다
<제16장>
咨十有二牧하사 曰食哉惟時니 柔遠能邇하며 惇德允元하고 而難任人이면 蠻夷도 率服하리라
<제17장>
舜曰咨四岳아 有能奮庸하여 熙帝之載어든 使宅百揆하여 亮采惠疇하리라 僉曰伯禹 作司空하니이다 帝曰兪라 咨禹아 汝平水土하니 惟時懋哉인저 禹拜稽首하여 讓于稷契과 曁皐陶한대 帝曰兪라 汝往哉하라
<제18장>
帝曰棄아 黎民이 阻飢하니 汝 后稷이니 播時百穀하라
<제19장>
帝曰契아 百姓이 不親하며 五品不遜일새 汝作司徒니 敬敷五敎하되 在寬하라
<제20장>
帝曰皐陶아 蠻夷猾夏하며 寇賊姦宄일새 汝作士니 五刑에 有服하되 五服을 三就하며 五流에 有宅하되 五宅에 三居니 惟明이라사 克允하리라
<제21장>
帝曰疇若予工고 僉曰垂哉니이다 帝曰兪라 咨垂아 汝共工이어다 垂拜稽首하여 讓于殳斨과 曁伯與한대 帝曰兪라 往哉汝諧하라
<제22장>
帝曰疇若予上下草木鳥獸오 僉曰益哉니이다 帝曰兪라 咨益아 汝作朕虞하라 益이 拜稽首하여 讓于朱虎熊羆한대 帝曰兪라 往哉汝諧하라
<제23장>
帝曰咨四岳아 有能典朕의 三禮아 僉曰伯夷니이다 帝曰兪라 咨伯아 汝作秩宗이니 夙夜에 惟寅하여 直哉라사 惟淸하리라 伯이 拜稽首하여 讓于夔龍한대 帝曰兪라 往欽哉하라
<제24장>
帝曰夔아 命汝하여 典樂하노니 敎冑子하되 直而溫하며 寬而栗하며 剛而無虐하며 簡而無傲케하리니 詩는 言志요 歌는 永言이오 聲은 依永이오 律은 和聲하나니 八音이 克諧하여 無相奪倫이라사 神人以和하리라 (夔曰於라 予擊石拊石하니 百獸率舞니이다)
<제25장>
帝曰龍아 朕은 堲讒說이 殄行이라 震驚朕師하여 命汝하여 作納言하노니 夙夜에 出納朕命하되 惟允하라
<제26장>
帝曰咨汝二十有二人아 欽哉하여 惟時로 亮天功하라
<제27장>
三載에 考績하시고 三考에 黜陟幽明하신대 庶績이 咸熙하더니 分北三苗하시다
<제28장>
舜生三十이라 徵庸하시고 三十이라 在位하사 五十載에 陟方乃死하시니라
'三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경-빈풍(豳風) 제1편 칠월8장(七月八章)] (0) | 2016.07.08 |
---|---|
서경 전문 (0) | 2016.06.14 |
주역-易의 원리 (0) | 2016.03.25 |
시경-周南 召南 간단요약 (0) | 2015.10.27 |
詩經-國風 (0) | 2015.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