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예술의 이해와 감상 1장~4장】
¶. 제1장 연극, 가상과 실재의 사이에서
【1】 서론: 연극은 제의(진지함)와 놀이(유희)에서 발전, 연극구성의 핵심적 요소는 실재와 가상
【2】 연극의 특징: 소통, 특별한 공간, 이중성 창조. 공감각적 코드를 지닌 종합예술
①살아있는 소통의 예술: 공연(무대·배우)과 관객의 상호소통을 통해 이루어진다(상황의 역동성)
②특별한 공간의 예술: 일정한 시간과 공간에서 다른 세계를 보는 공간예술
-theater(연극을 의미)은 theatron(보다)에서 유래
-그리스의 에피다우로스 극장(인간한계 인정+삶의 의미 발견+주체적으로 보는 특별한 공간)
③이중성을 창조하는 예술: 현실과 허구의 세계가 공존하는 예술
-실제 현실과 유사, 놀이성만 유효, 관객은 놀이성에 적극적 참여 =>간접 체험
④공감각적 코드의 종합예술: 인간의 감각영역이 갖고 있는 모든 통로를 활성화
-인간의 감각영역 활성화(언어·청각·시각), 가상·시공간적 예술 =>긴장관계가 연극적 상황의 기본
【3】 재현의 의미와 그 양식
1. 행위의 모방: 비극은 인간행위의 모방(시학-아리스토텔레스)
-시·노래·춤을 이용한 예술적 모방의 가치를 높이 평가(가시적인 세상은 물론 성격이나 감정 등 인간의 내적 세계의 모방까지 포함)
-인간은 본능적으로 모방하고, 모방된 대상을 즐기는 존재, 카타르시스(淨化) 효과 발생
2. 재현과 일루전의 생성: 연극의 역사는 문학적 연극이 주도, 문학적 무대로 공연
①예술형식보다는 모방을 통해 세계와 대상을 직접 재현, 희곡(대본)을 바탕으로 실현
-1890년대 이후 사실주의 연극 최고조 형성, 관객을 의식하지 않는 연기
-사회와 현실을 무대에서 재현, 재현의 원리 실행(무대장치와 연기술 동원)
-재현의 원리는 연기에서 완성, 체험의 연기를 통해 일루전, 환상의 공간으로 전이
▶1893년 하우프트만의 작품 <하넬레의 승천>: 집의 실내를 정교하게 재현
▶국내 사실주의 대표작 차범석 희곡 <산불>
②사실주의 연기술의 핵심 개념은 감정이입, 무대상황을 실제상황처럼 체험
③관객과 무대가 분리된 공간이 필요했지만 분리되지 않은 상태
-연기자는 객석을 어두운 동굴(스타니슬랍스키)로 인식(관객을 의식하지 않는 연기)
④프로시니엄(액자) 무대 =>연극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분리되는 가상의 벽=제4의 벽
3. 재현의 의미: 대상의 실체로 인해 드러나는 인간의 정체와 실존적 상황 =>연극의 가치
4. 연극적 상황의 연출: 재현에 의한 가상적 세계+관객과 긴장관계 형성 =연극 성립
-일루전(사실주의적 공연-재현과 감정이입에 집중), 실재(서사극적 공연-분산)
-연극은 놀이이면서 경험이므로 현실을 풍자하거나 극단적·사회적 스캔들 발생(체험)
*일루전: 가상적
공연이 일루전에 가까울수록 사실주의적 공연이 되고, 실재 쪽에 가까울수록 서사극적 공연이 된다.
사실주의 연극이 재현과 감정이입에 집중하는 반면, 서사극은 의도적으로 그런 것들을 깨뜨리는 전략을 구사한다.
【4】 비재현의 가능성으로 -연극사는 사실주의를 통해 가장 확실하게 발전
1. 전통적 연극사에서는 대상으로서의 현실과 외형의 모사, 문학적 텍스트인 희곡을 중요시
2.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대두로 대상의 외적 재현을 넘어서 그 내면에 주목하면서
①대상을 보는 주체의 감정·인상에 따라 자유롭게 표현
-희곡에 대한 자유로운 해석, 연극 요소(공간·동작·색·언어)를 이용한 연출, 관객을 중요시
전면에 부각되는 것은 희곡이 아니라 연출이며, 그 무대를 자신의 상상력으로 완성하는 관객이었다.
②표현방식이 재현에서 비재현의 모습으로 변화, 작품의 내적 가치를 표현하는 연출 시도
-상징과 양식화, 과장, 그로테스크, 서사극 등 표현방식 등장
【5】 실재의 대두: 관객의 참여와 판단으로 완성하는 연극으로 변화
1. 서사극의 등장: 일루전을 깨고 관객을 의도적으로 당황하게 만드는 기술을 이용
-아방가르드 연극의 실험에서 가상과 실재의 긴장관계 와해, 실제적 자료 사용(인쇄물, 영상)
-서사극을 발전시킨 브레히트는 사실주의적 감정이입과 카타르시스효과를 최면에 비유하여 비판하고,
대신 관객이 의식적으로 참여하고 판단해 가며 완성하는 연극을 주창했다.
2. 뉴 다큐멘터리 연극과 그 영향: 20세기 후반은 포스트드라마 시대
①실재하는 대상을 무대에 세우거나 다큐멘터리(실재 자료)를 바탕으로 공연하기 시작
-연극성 확대, 진실된 연기(스타니슬랍스키)의 확장하여 새로운 연극의 가능성 형성
②가상의 역할과 허구적 세계가 아닌 실재하는 '나'의 표현(자기 이야기), 누구나 할 수 있는 공연이 되어가고 있다.
-벨이 연출한 <장애극장>, 장애인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형식으로 공연
¶. 제2장 현대연극의 시작
【1】 서론: 20세기 초 현대연극 운동 시작
-현대연극의 특징: 인간과 세계의 내면적 표현, 객체(대상)에 대한 주체의 강조, 객체와 주체의 균형에 주목
-제4의 창조자로서의 관객에 대한 새로운 평가를 시도했으며, 예술의 기능·본질에 대한 이해 시도
【2】 상징주의로부터 출발한 현대연극 - 현대연극을 이끈 것은 상징주의
1. 반사실주의의 경향: 외형의 재현과 사실 모사를 거부하고, 표현 대상의 내면에 주목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니체의 미학(모범은 음악)으로 인하여 형성, 주체의 인상·느낌을 주도하는 작업으로 변모
-문학적 위치와 의미+사실주의·재현주의적 무대 쇠퇴, 내면의 표현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면서 무대는 (추상화)되기 시작했다.
2. 새로운 표현 원리의 등장: 문학외 요소들에 관심 증폭, 공연예술 연구와 실험 시작
-독자적인 예술형식으로 전환, 연극적 표현의 핵심은 동작과 공간
①동작: 연극의 원형을 극작가에서 무용수로 전환, 동작으로 내면을 표현
-양식화·원형적 표현으로서의 동작 등이 모범으로 등장, 연기술은 몸동작의 예술이 되었다.
-이상적인 모델로 양식화된 동작 선호, 이런 동작을 주도하는 것은 음악, 니체의 '음악의 정신으로부터 나온' 종합예술이 구체적으로 실현됨.
②공간: 추상적인 내면을 표현하기 위해 내적공간으로 변모, 조형적·인상주의적 무대 등장
-음악적 개념인 리드미컬한 공간 개념 사용(바그너 작품으로 실험)
-내적공간은 재현을 떠나 독자적 법칙을 가진 세계로서의 공간이 되었다, 무대디자인이 연출의 핵심으로 등장
3. 관객의 창조적 참여: 작가, 연출자, 배우에 이어 관객은 제4의 창조자
①현실의 모사와 그것이 목표하는 감정이입, 일루전주의 완성, 사실주의가 추구하는 미학적 원리는
내면의 표현을 시도하는 상징주의 무대작업에서 부정되어야 했다.
-내면의 표현을 시도하는 상징주의 무대(추상적 작업)에서는 사실주의 미학적 원리 부정
②무대의 추상적 표현은 관객의 참여에 의해 해석되고 육화되어 완성되어야 했다.
4. 축제로서의 공연예술: 상징주의 무대 작업은 미학적 운동이며 혁명
-물질문명에 대한 예술적 저항의식과 각성 포함, 삶의 미학화, 축제는 미학화의 상징
【3】 연극성의 재발견: 무대 고유의 특성을 의도적으로 드러내는 연극주의적 공연 확산
-연극의 매체성과 연극성, 관객과 만나는 지평이 극장에서 일상으로 확장
-코메디아 델라르테 등의 민중극·거리극이 이상적인 모델로 부각
-무대와 객석의 거리 제거- 관객과 무대 분리된 극장 건축하여 무대와 객석의 거리 제거(아레나 혹은 가변형 무대)
【4】 새로운 희곡의 등장: 상징주의, 표현주의, 서사극은 새로운 형식의 희곡을 선보였다.
예컨데 표현주위의 정거장식 희곡은 외적으로 관련이 없어 보이는 이야기들을 연결하면서도 내적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몽타주 텍스트에 의해 새로운 표현을 시도하여 현대연극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사극은 사건을 구현하며 관객을 일루전에 빠지게 하는 전통적인 희곡과는 달리, 사건을 객관적으로 설명하며,
관객을 관찰자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1. 표현주의 희곡과 공연: 1910년 이후 등장
-물질문명과 허위가 가득한 현실, 왜곡된 현대인의 내면을 표현, 현실과 개인의 비극적 관계표현
1)표현주의 희곡: 희곡의 주제는 현대인의 일그러진 내면, 고독·혼란, 저항·절망 등
▶표현주의 첫번째 본격적인 희곡으로 알려진 조르게의 <거지>(1912): 정거장식 드라마로 상황이 다른 막을 연결, 내면적으로 연결하는 희곡
-물질문명을 넘어 새로운 세계를 '구걸하는' 새로운 인간의 이야기로 연결지음
-해체된 구조와 인물, 현실을 연결하는 표현주의식 드라마는 우리시대 공연예술의 극작술에 큰 영향을 미침
▶카이저의 <아침부터 저녁까지>: 왜곡과 과장이 지배적 분위기, 강렬하게 메시지 전달
-은행원의 현금탈취+도주=도피의 정거장 표현
-도피는 일상+자유·본능에 대한 개인의 저항행위 ==>눈덮인 황야로 도주한 은행원의 긴 독백은 (불안과 각오를 동시에 표현)
2)표현주의의 연출: 과장되고 강렬하게 표현하고자 조명과 건축등의 무대기술을 활용하여 연출
-연출가의 해석이 공연의 성격을 주도, 공연의 전체적 실현을 책임지는 연출가 연극 유행
-왜곡되거나 일그러진 형체를 표현을 통해 전통적 예술의 미학을 뒤집는 현대예술의 실험
*전통적 미학은 이상적이고 아름다운 것
-연극과 무용의 형식, 춤 연극(탄츠테아터)의 효시가 되는 표현무용이 여기에서 나왔다.
2. 서사극: 관객이 무대의 사건과 거리를 두게 하여 상황을 관찰·비판하는 태도를 형성
①파스카토어와 브레히트의 서사극은 세계를 객관적·비판적으로 인식·판단하게 표현
-브레히트의 ‘낯설게 하기’ 기법은 연기, 무대장치 등으로 서사극적인 표현을 대표
-연극의 미학을 이화작용, ‘낯설게하기’라고 주장,그런 의미에서 반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 연극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통적 의미의 극적인 연극 | 서사극(교육극으로 응용되기도) |
무대는 하나의 사건을 구현 | 무대는 사건을 설명한다. |
관객을 사건 속으로 몰아넣는다. | 관객을 관찰자로 만든다. |
관객의 능동성이 필요 없다. | 관객의 능동성을 자극한다. |
관객에게 감정적으로 작용한다. | 관객에게 인식과 결단을 요구한다. |
관객에게 체험을 전달한다. | 관객에게 지식을 전달한다. |
관객은 줄거리에 감정이입이 된다. | 관객은 줄거리를 마주 대한다. |
극적 환상이 주요 도구이다. | 논증이 주요 도구이다. |
②이근삼의 <유랑극단>: 설명하는 연기자+환한 조명+관객의 배역 유도=>각성된 상태로 대상관찰
【5】 행위예술의 등장: 1950년대 후반 미국·유럽에서 행위미술, 해프닝, 플럭서스
(해프닝, 또는 이벤트등 행위를 표현형식으로 하는)등을 통해확산
-1920년대 미래파와 다다이즘에서 시작, 음악·무용·연극을 합친 종합적인 공연행위
-공공장소에서 도발적인 행위를 통해 반전통, 반예술의 기치를 전파했다.
1. 예술과 전통, 사회에 대한 저항을 표현하는 선동적인 행위
-미래파는 새로운 시대, 과학,문명에 대한 환호와 함께, 구습을 몰아내려는 감각의 혁명으로서
-다다이즘은 물질문명과 제국주의, 전체주의에 대항하려는 개인적 저항으로서, 선동이 과제로 부상했다.
▶보초니의 <미래파 소아레), 1911년 밀라노; 미래파의 저녁 공연을 스케치
2. 예술과 현실의 간극 제거: 다양한 이해를 통해 공연예술의 기능 확대
-현실 공간에서 벌인 선동적 행위예술로 현실과 분리되어 있는 전통적 예술 해체 시도
3. 행위예술의 가치: 행위 예술 자체로 연극의 지평 확대하는 등 시사하는 바가 크며,
그 미학적 특징에서 환기될 수 있는 아이디어는 무한하다고 본다.
-현실과 예술의 연결, 수행성의 실행, 멀티미디어의 활용 등은 그 작은 예에 불과하다.
¶. 제3장 우리 시대의 연극 1
역사적 아방가르드를 지난 우리 시대의 연극은 20세기 중반 어떻게 발전하고 있으며 특징이나 쟁점은 무엇인가?
【1】 고전의 새로운 해석-20세기 초 많은 연출가들이 시도한 고전의 재해석과 파격적인 무대는 2차 대전 이후에도 계속 발전했다.
1. 그리스의 비극, 세익스피어 등을 현대화하는 고전의 재해석과 파격적 무대작업
▶셀너 연출한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1952): 양식화된 무대연출+그리스 비극을 현대적 해석
2. 일본(스즈키 다타시나 니나가와 유키오), 한국(오태석·이윤택·김아라·한태숙·양정웅)
-자국의 문화의식을 바탕으로 작품해석+전통적 연극형식·언어를 활용한 독특한 연출로 인기형성
3. 국내에서는 원작의 시대와 장소를 떠나되 제3의공간·시간을 만들어 재창조하는 방식을 선호
-고전의 현대화는 전통연희의 현대화 문제로 연결, 극단 미추 등이 추진
▶사례 1: <엘렉트라>, 스즈키 다타시 연출: 현대적 비극, 부조리한 비극으로 완성
-양식화된 연기의 무대(제의 장면 연상), 휠체어 타고 움직이는 등장인물
-아버지 아가멤논을 살해한 어머니에게 복수하는 엘렉트라 이야기는 정신병원을 은유
-북과 징소리, 양식화된 대사와 동작 등 음악의 정신으로부터 나온(니체) 요소로만 표현
▶사례 2: <레이디 맥베스>, 한태숙 연출: <맥베스>를 멕베스 부인의 관점에서 전면 해체
-살인을 저지른 맥베스 부인의 무의식속 죄책감을 시청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무대를 통해 표현
-빈 무대에서 진행, 상징적 오브제(붉은 천, 얼음, 물, 밀가루반죽 등), 악사들의 연주소리
-긴장감 넘치는 역동적 공연공간인 된 무대, 물체극, 오브제연극이란 별칭 획득
-공연평(물체극이라는 행위예술로 맥베스의 무의식을 보강하여 극의 정서 고양)
(**objet: 미술우수작. 일품. 진품)
▶사례 3: <한여름 밤의 꿈>, 양정웅 연출: 세익스피어의 원작을 재해석
-한국 전래의 귀신이야기와 해학을 더해 한국식 낭만희극, 마당극으로 재탄생시킨 것이 특징
-원작의 요정은 도깨비로 전환(두두리, 돗과 가비), 별자리 이름 사용(항·벽·루·익)
-무대는 가옥의 뜰 안, 사물악기를 연주하는 악사들이 연주하며 등장인물과 놀이
-한국식 운율에 맞춘 대사와 노래, 무용, 신체 연기를 통해 마당극처럼 관객과 흥겨운 교감 형성
【2】 부조리극의 등장: 현대인과 부조리한 현대인의 삶을 표현하여 희곡 발전에 기여
1. 전후 절망적인 인간의 실존적 상황을 해체된 형태의 희곡인 부조리극으로 표현
-비논리적인 대사와 맥락 없는 상황의 반복 =>부조리극의 의의(언어에 대한 비판)
-비논리적 구성이 특징인 부조리극에서 언어에 대한 연극의 비판적 입장 고조
-베케트, 이네스크, 아라발, 주네, 아다모프, 핀터 등에 의해 다양하게 발전
2. 부조리극을 대표하는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1953), 하염없는 기다림만으로 진행
-고독과 소외, 불안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탁월하게 표현했다고 평가
【3】 수행적(performative) 미학의 등장
1. 퍼포먼스적 요소의 수용: 1960년 이후 발전, 미술의 설치작업이 공연적 행위와 만남으로 시작
-연극은 텍스트보다 공연과 관객과의 소통을 통해 존재하는 현장으로 공연의 의미 부각
①연극예술을 완성된 작품이 아니라 진행되는 과정, 행위 자체로 이해
②무대는 설치 공간으로 변화하여 행위의 설치, 오브제의 설치가 극적 요소로 등장
▶칸트로의 <죽음의 교실>: 폴란드의 불행한 역사를 기억하고자 공연
-인형처럼 움직이는 배우들과 실재인형들이 함께 진행
2. 감각적 교류의 연출: -감각적 체험의 상황 = 퍼포먼스적 상황(수행적 상황)
①무대 위에서 표현된 대상들이 이성적인 이해 차원을 넘어 감각적으로 체험되는 상황에 주목
-대상의 물체성, 인체성이 갖는 감각적 특징을 연출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
②감각적 체험은 무대와 관객의 감각적 교류를 통해 실현, 이 과정에서 공연이 온전히 실현
-20세기 말부터 현대연극을 포스트드라마 연극, 드라마 이후의 연극시대라고 표현
¶. 제4장 우리시대의 연극 2
【1】 서론: 뉴미디어 등장, 미디어적 전환의 시대에 직면한 연극
-배우와 관객의 만남 강조, 뉴미디어를 이용한 융합의 무대 창출
-문자 언어와 논리적 구조 해체한 연극,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경향으로 발전
-새로운 방식의 희곡 개발, 주체와 주체적 집단의 각성을 통해 사회적·정치적 영향력 발휘
【2】 그로토프스키와 ‘가난한 연극’: 배우와 관객 사이에서 벌어지는 근본적 상황에 주목
1. 가난한 연극의 개념은 몸의 연극, 분장·의상·무대장치·조명의 도움 없이 배우 홀로 존재
-거대규모의 무대장치를 자랑하는 서구연극에 저항, 연극의 원형에 기반한 연극
2. 몸을 만들기 위해 신체훈련법 개발(신체연기술 =>요가·호흡법, 동양연극의 연기요소 활용)
-시인·화가처럼 창조적으로 작업할 것을 배우에게 요구, 자기발견 훈련 필요(종교적 훈련과 유사)
3. 그로토프스키의 연극실험실 작업은 1960년 이후 실험연극의 모태로 작용
▶그로토프스키 연출 <영원한 왕자>: 반나체의 연기자가 가난한 연극의 상징
-미국의 연극 작업(제의적 동기), 영국의 브룩, 덴마크의 바르마 등에 영향
【3】 탈경계의 연극
1. 탈경계 현상은 전통적 사고와 형식의 틀을 벗어나려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주요 특성
-1960년 대 해프닝, 플럭서스 등의 행위예술에서는 미술 분야 예술가들이 탈경계 작업 주도
2. 미술의 탈경계 작업은 음악· 문학· 영상· 연극· 무용과 결합하여 공연의 성격으로 진행
▶1966년 카프로의 <마당>은 폐타이어를 활용한 설치작업, 관객 직접 체험하는 행위마당
-관객과 함께 작품 제작, 일상의 오브제를 활용한 행위공간을 관객에게 제공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의 행위예술작업
3. 20세기 후반 수학적 미학 수용, 감각적 요소 활용 극대화로 장르· 예술형식 간 경계 모호
【3-1】 춤연극(댄스시어터): 달경계 공연예술의 전형적인 사례
▶바우슈의 <카페 뮐러>: 카페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실제 카페 오브제를 이용한 콜라쥬 형식
(*콜라주:여러가지 것들의 모음)
-춤연극의 특징은 일상을 표현한다는 점, 인상과 감정을 표현
-퍼포머는 몸·동작·음악, 말과 말소리, 일상적 오브제인 물·흙·나무, 영상 이용하여 연기
▶1970년 대 크레스닉의 <올리케 마인호프>: 일상과 정치 문제에 구체적으로 접근
-춤은 사실적 성격, 서사적 기능을 지니며 춤과 연극은 역사상 유례없는 결합을 성취
-춤연극은 1960년 후반 유럽을 중심으로 발전, 바우슈와 발츠 등
▶안은미의 <新춘향>, <바리>는 한국식 춤연극의 신기원을 열었다고 평가
【3-2】 시각적 이미지와 연극: 연출의 핵심은 시각적 이미지
1. 문자언어의 메시지와 시각적 연출을 융합하여 연극적 표현의 다양화 형성
-시각적 이미지만 활용하는 연극은 이미지 연극 =>윌슨과 프라이어(창극 <수궁가>)가 작업
▶윌슨 연출 세익스피어의 <소네트>
2. 짐한들이 정리한 이미지 연극의 특징
①움직이는이미지를 늘어놓고 연상하도록 연결
②예술체로서의 인물과 오브제가 무대를 주도
③독자적인 시공간적 현실과 원리가 지배
④전체적인 이미지 전달
⑤이미지로 구성되는 무의식의 차원과 인식의 교환과정이 중요
-시각적 이미지의 연극은 ‘보기’의 지각을 체험하도록 하는 연극으로 지각을 유도한다.
【3-3】 영상과 연극: 서사극에서부터 영상 활용
-다양한 세계를 표현하기 위한 영상, 20세기 후반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연극적 표현요소
①시간과 공간을 확대해 주는 역할
②연극 안에서 연극을 드러내는 서사적 기능
③보이지 않는 잠재적 세계를 보여주는 기능
▶K.미첼의 <노란 벽지>와 오스터마이어가 연출한 세익스피어의 <햄릿> 뒷면 배경에 영상등장
【4】 연극과 정치: 드라마의 귀환을 둘러싼 논의 형성
-해설 등의 서사극적 기술을 활용한 신서사극 등장, 심멜페니히와 마엔부르크 등의 작품
-개인과 사회의 주체적 표현, 현실에 주목, 문제의식을 포함하여 관객과의 소통 시도
▶2016년 <세월호 이후의 연극, 그리고 극장>, 검역각하 시리즈 <검열언어의 정치학: 두 개의 국민>
▶마엔부르크와 3명의 작가가 쓴 <콜 미 갓>: 미국의 연쇄살인 사건이 소재로 등장
-미국의 인종문제, 자본주의의 비인간적인 사회를 표현, 4명의 연기자가 40여개의 역할을 연기
'학술.논문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동양의 행복론 (0) | 2019.12.21 |
---|---|
공연예술의 이해와 감상-워크북 연습문제 (0) | 2019.11.29 |
동양철학 산책 문제 유형 (0) | 2019.11.21 |
동양철학산책 (0) | 2019.11.19 |
성리학(性理學)과 주희(朱熹) (0) | 2019.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