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월6일
[微子] 第十八. 이편은 성현의 출처를 많이 기록하였으니 모두 11장이다.
341. 殷有三仁
은(殷)나라에 세 인자(仁者)가 있었다
微子는 去之하고 箕子는 爲之奴하고 比干은 諫而死하니라
(미자 거지 기자 위지노 비간 간이사)
미자(微子)는 떠나가고 기자(箕子)는 종이 되고 비간(比干)은 간(諫)하다가 죽었다.
(微子 1)
미(微)와 기(箕)는 두 나라 이름이다. 자(子)는 작위(爵位)이다.
미자(微子)는 주왕(紂王)의 서형(庶兄)이고,
기자(箕子)와 비간(比干)은 주왕(紂王)의 제부(諸父)[숙부(叔父)] 이다.
미자(微子)는 주왕(紂王)이 무도(無道)한 것을 보고 떠나가서 종사(宗祀)를 보존하였으며,
기자(箕子)와 비간(比干)은 모두 간(諫)하니 주왕(紂王)이 비간(比干)을 죽이고
기자(箕子)를 가두어 종을 삼았다.
기자(箕子)는 인하여 거짓 미친 체하고 욕을 받았다.
孔子曰 殷有三仁焉하니라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은(殷)나라에 세 인자(仁者)가 있었다.
세 사람의 행동은 같지 않으나 똑같이 지성스럽고 측달(惻)[비우(悲憂)]한 뜻에서
나왔다. 그러므로 사랑의 이치〔仁〕에 어긋나지 않아 마음의 덕(德)을 온전히 할 수 있었다.
양씨(楊氏)가 말하였다. “이 세 사람은 각각 그 본심(本心)을 얻었다.
그러므로 똑같이 인자(仁者)라고 이르신 것이다.”
'1일1구 논어 365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體不動 五穀不分 (1) | 2022.12.08 |
---|---|
往者는 不可諫이어니와 來者는 猶可追니 (0) | 2022.12.07 |
年四十而見惡焉이면 其終也已니라. (0) | 2022.12.05 |
女子與小人 爲難養 (0) | 2022.12.04 |
義以爲上 (0) | 2022.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