送賊(송적)도둑을 보내며 / 鄭板橋/정판교
細雨濛濛夜沈沈
(세우호호야침침)
가랑비 내리는 밤이 깊어가는데,
梁上君子進我門
(양상군자진아문)
양상군자(도둑)가 우리 집 문으로 들어오네.
腹内詩書有千卷
(복내시서유천권)
뱃속에는 시와 글이 천 권이나 있지만,
床頭金銀無半文
(상두금은무반문)
책상머리에 금은은 반 푼어치도 없네.
出門休驚黄尾犬
(출문휴경황미견)
문으로 나가려면 누렁이에게 놀라지 말고,
越墙莫損蘭花盆)
(월장막손난화분
담을 넘으려면 난 화분은 깨뜨리지 말게나.
天寒不及披衣送)
(천한불급피의송)
날씨가 추워 옷 걸치고 배웅하지는 못하지만,
趁着月亮赶豪門)
(진착월량간호문)
달 밝은 틈을 이용해 서둘러 부잣집에 가보게나.
'한문 그리고 늦깍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愛蓮說(애련설) (0) | 2024.01.14 |
---|---|
定風波 / 蘇軾 宋 (1) | 2024.01.06 |
盆菊 (0) | 2023.12.04 |
楓橋夜泊 / 장계(張繼) (2) | 2023.11.29 |
漁父四時詞 (0) | 2023.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