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해석 당시삼백수

164. 望薊門 / 祖詠

甘冥堂 2024. 7. 12. 08:15

164. 望薊門 / 祖詠

계문을 바라보며

 

燕臺一望客心驚 (연대일망객심경) 연대에 올라 바라보니 나그네 마음이 놀라운데

簫鼔喧喧漢將營 (소고훤훤한장영) 통소와 북소리가 한나라 장군 진영에서 떠들썩하다.

萬里寒光生積雪 (만리한광생적설) 만 리 차가운 빛은 쌓인 눈에서 생기고

三邉曙色動危旌 (삼변서색동위정) 변방의 새벽빛은 높이 단 깃발을 움직인다.

沙場烽火侵胡月 (사장봉화침호월) 모래벌판의 봉화는 변방의 달을 침범하고

海畔雲山擁薊城 (해반운산옹계성) 바닷가의 구름 낀 산은 계성을 에워쌌다.

少小雖非投筆吏 (소소수비투필리) 젊어서 붓을 던진 벼슬아치는 아니었지만

論功還欲請長纓 (논공환욕청장영) 공적을 논하고파 다시 긴 끈을 청하려 하네.

 

 

薊門(삽주 계), 계문관. 지금의 북경시에 있다. 이 시는 조영의 유일한 변새시다.

燕臺(연대)幽州臺(유주대). 일명 계북루. 燕昭王(연소왕)이 이곳에 황금대를 축조하여

천하 현사를 끌어 모았다고 전해진다.

簫鼔(소고)퉁소 소. 북 고.

喧喧(훤훤)떠들썩할 훤.

漢將營(한장영)당나라 장군의 군영.

三邊(삼변)옛날에는 , , . 삼주를 삼변이라고 칭했다.

危旌(위정)높이 매단 깃발.

胡月(호월)변방의 달.

海畔(해반)계문관 근처에 발해가 있는데, 옛날에는 해반이라 칭했다.

薊城(계성)즉 계문관.

 

投筆吏(투필리)출전<後漢書. 班超傳> 班超는 원래 문서를 쓰는 小吏였으나, 하루는 붓을 던지며 한탄하기를.

대장부가 뜻과 계략으로 이역 땅에서 공을 세워야 한다.

張騫(장건)은 이역에서 공을 세워, 봉후를 얻었는데, 어찌 오래 붓과 벼루 사이에서 일할 수 있는가?

 

論功(논공)논공행상. 請長纓(청장영)出典<漢書. 從軍傳> “원 하건데 긴 갓끈을 받아,

반드시 南越王(남월왕)을 대궐 아래로 끌고 오겠다." 즉 긴 포승줄로 남월의 왕을 끌고 오겠다는 말이다.

이 구절은 군대를 따라가 보국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다.

 

 

[해설시는 옛 것을 회고하며 지금을 느끼는 것이다.

처음 두 구절은 북쪽 계문을 바라보니 가슴이 놀랍다. 슬며시 전고를 써서, 郭隗(곽외),

樂毅(악의) 등 선비들이 떠난 후, 바로 진에 의해 멸망하니, 나그네 마음이 어둡고 놀랍다.

 

시 전체를 한 개의 "자로 얽어, 烽火에서 危旌(위정)으로, 雲山에서 積雪로 이어진다.

은 본 바의 것이고, 으로 소감을 서술하여 격조가 고양된 시다.

종군 중에 붓을 던져, 산천 형세를 가슴에 그리니, 意象이 웅대하고 넓고 크다.

사람들로 하여금 읽어 감개가 깊게 한다.

 

 

[작자] 祖詠(조영: 생졸년 불상. 699?~746?) 낙양 사람으로 자가 和生.

개원 12(724) 진사에 급제하고 가부원외랑에 올랐다.

어려서 부터 문명으로 이름났으며, 王維와 절친하게 지내며 詩友로서 서로 唱和했다.

<全唐詩>에 시 1권이 있는데 모두 36수다.

'새로운 해석 당시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6. 送魏萬之京 / 李頎  (0) 2024.07.12
165. 九日登望仙臺呈劉明府 / 崔曙  (0) 2024.07.12
163. 行經華陰 / 崔顥  (0) 2024.07.12
162. 黄鶴楼 / 崔顥  (0) 2024.07.12
161. 章臺夜思 / 韋莊  (1) 2024.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