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5. 九日登望仙臺呈劉明府 / 崔曙
중양절에 망선대에 올라 유명부에게
漢文皇帝有髙臺 (한문황제유고대) 한나라 문제에겐 높은 누대가 있었는데
此日登臨曙色開 (차일등임서색개) 이날 올라가 굽어보니 새벽 동이 훤하게 튼다.
三晉雲山皆北向 (삼진운산개북향) 삼진의 구름산은 모두 북쪽을 향하고
二陵風雨自東來 (이릉풍우자동래) 이릉의 비바람은 동쪽에서 불어오네.
闗門令尹誰能識 (관문영윤수능식) 관문의 영윤을 누가 알아보나
河上仙翁去不回 (하상선옹거불회) 하상공은 떠난 후 돌아오지 않는다.
我欲近尋彭澤宰 (아욕근심팽택재) 나는 가까이 있는 팽택령을 찾아가
陶然共醉菊花盃 (도연공취국화배) 국화주 함께 마시며 거나하게 취하련다.
九日:9월9일 중양절. 옛날에는 높은 곳에 올라 국화를 감상하는 습속이 있었다.
<西京雜記> 권3에는 “9월9일, 국화주를 마시며, 장수하게 했다".
望仙臺(망선대):한 문제가 축조했다. 지금의 섬서성 섬현에 있다. <神仙傳>에 기재되기를,
“하상공이 文帝에게 <老子>를 주고 떠났으나 있는 곳을 알지 못하여,
황제가 서산에 대를 쌓고 바라보았다."
明府(명부):현령을 존칭하는 말. 劉明府(유명부):불상.
三晉(삼진):전국시대에 晉나라가 韓, 趙, 魏 삼국으로 나누어져, 이 세 나라를 삼진이라고 불렀다.
지금의 산서, 하남북부, 하북 서부 지역이다.
二陵(이릉):남릉 북릉을 합해서 이릉이라 칭한다. 지금의 하남 낙령현 북쪽에 있다.
<左傳. 僖公13년>에 기재되기를, 남릉은 夏后(하후)의 묘이고 북릉은 周文王(주문왕)이
비바람을 피하던 곳이다.
闗門令尹(관문영윤):여기서는 관을 지키던 관리 尹喜(윤희)를 가리킨다. 함곡관을 지키던 관리였다.
老子가 관문에 이르렀을 때, 關尹子(윤희)가 그를 머물게 하여 <道德經>을 지어 그것을 받았다.
후에 관윤자도 노자를 따라 떠났다.
河上仙翁(하상선옹):즉 하상공. 진나라 사람 葛洪(갈홍)이 그를 <神仙傳>에 써 넣었다.
彭澤宰(팽택재):도연명을 가리킨다. 그는 일찍이 팽택 현령을 지냈으나,
五斗米에 허리를 굽히는 것을 원치 않아, 관대를 걸어놓고 떠났다. 여기서는 유명부를 가리킨다.
共醉菊花盃(공취국화주):<南史. 隱逸傳>에 기재되어 있기를, 도연명이 관직을 사직한 후,
9월9일이 되었어도 술이 없어, 집 근처의 국화꽃 속에 오래 앉아 있던 중,
王弘(왕홍)을 만나 그가 술을 보내주니, 이에 취하여 돌아갔다.
【해설】이 시는 증정시이나 내용은 회고시에 가깝다. 시에는 결코 소위 기탁하는 것이나 감개하는 바가 없다.
그러나 시는 切時切地切人하여, 오히려 최고도에 이른다.
중양절에 높은 곳에 오를 때, 망선대가 높이 오르는 곳이 되었다. 높은 곳에 오르는 습속과 신선의 전설이
서로 연관되었으며, 유명부가 시를 증여하는 대상이 된다.
시를 감싸고 있는 때, 곳, 사람 3개의 점이 전개되어 “一氣轉合하여 就題有法"하다.
머릿구는 직접 망선대를 그렸고, 함련은 臺앞의, 북쪽으로 삼진을 바라보고,
동쪽으로는 이릉을 누르는 형세를 썼다.
경련은 망선대는 하상공을 위하여 축조하였으며, 이로 인해 선인을 관윤자가 배웅하게 한 것이다.
미련에서는 도연명으로 유명부를 비유하였다.
시 전편에 높은 곳에 올라 통음하는 것을 설명하고자하는 뜻이 있으며,
먼 곳에서 신선을 구할 필요 없이 바로 근처에 劉明府(유명부)를 찾으면 된다는 것이다.
시의 뜻하는 바가 개방되고 넓으며, 구조가 엄숙하고 신중하다.
[작자] 崔曙(최서: ?~739) 지금의 하북 안평 사람으로 宋州(하남 상구)에 살았다.
개원26년(738) 진사에 급제하여 하내위가 되었다.
시로써 이름이 났으며, 薛據(설거)와 사이가 좋았다.
殷璠(은번)의 <河岳英靈集>에 “曙(서)의 시는 탄식이 많고 사가 절묘하고,
맑은 뜻이 슬프고 처량하여, 送別, 登樓, 모두 눈물짓게 한다."
'새로운 해석 당시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7. 登金陵鳯凰臺 / 李白 (1) | 2024.07.13 |
---|---|
166. 送魏萬之京 / 李頎 (0) | 2024.07.12 |
164. 望薊門 / 祖詠 (1) | 2024.07.12 |
163. 行經華陰 / 崔顥 (0) | 2024.07.12 |
162. 黄鶴楼 / 崔顥 (0) | 2024.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