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사는 이야기

盜拓之犬

甘冥堂 2024. 12. 21. 15:05

도척지견 (盜拓之犬)

앞 집의 숫 닭은 아침에 "꼬꼬댁" 하고~ 활개를 치고,
뒷 집 진돗개는 외부 사람이 접근하면 짖어 대는 것이 그네들 일과(日課)였지요.

그런데, 언제인가부터 닭(酉)과 개(犬)가 조용해졌습니다.
그래서 하루는 개가 닭에게 물었습니다.
"넌 왜 새벽에 왜 울지 않니?"

그 물음에 닭이 대답했습니다.
"우리 집 아저씨가 백수가 됐는데 새벽
잠을 깨워서야 되겠냐?

그런데,
"넌 왜 요즘 짖지 않고 조용한 거야"?
닭의 물음에 진돗개가 대답했습니다.

요즘, 앞을 봐도 도둑놈이요,
뒤를 봐도 도둑놈들 판인데 짖어 봐야 뭐 하냐?
내 입만 아프지!! 그래서 입 다물고 산다~~"

허허 그래요,
요즘은 부정, 부패하는 도둑놈들의 천국이니 개가 짖지 않을 수도 있겠지요.

옛 말에 "도척지견" 이란 말이 있는데,
이는 '도척의 개' 라는 뜻으로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밥을 주는 자에게 무작정 굴종(屈從)하며,
맹종(盲從)하는 얼뜨기를 이르는 말입니다.

이는 중국의 춘추전국시대
"도척(盜拓)" 이란 악명 높은 큰 도둑이 있었는데,
그 졸개가 2 천여 명이나 되었습니다.
"도척"은 앞, 뒤를 가리지 않고 닥치는 대로 유린(蹂躪) 하고,
약탈하는 악마와도 같았다고 한다.

이러한 도척의 집에 있는 개(犬)는
도척이 어떤 놈인지 알지도 못하고,
그저 먹다 남은 밥 찌꺼기나 던져주는, "도척" 에게만 꼬리를 흔들어 대며,

"도척" 에게 반(反)하는 사람은
그가 누구냐를 가리지 않고 옳고, 그름을 헤아리지 못하고
무작정 짖어대고, 물어뜯었다고 합니다.
"도척" 이 짖어라 하면 짖고, 물어라 하면 물었지요.

그 더러운 밥 찌꺼기 한 덩이를 얻어먹고자
"도척"의 눈치를 보면서 연신 꼬리를 흔들었습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말이 "도척지견",
도척(악명 높은 큰 도둑 )의 개라는 뜻입니다.

사람답게 사는 길을 모르는 채
"도척" 의 개(犬)처럼 앞도, 뒤도 가리지 못하고
그저 먹다 남은 밥 찌꺼기 한 덩이 던져주는 자에게 굴종하며,
비열하고도 악랄한 개 노릇을
하는 인간 이하의 존재(畜狗)를 빗대어 "도척의 개" 라고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정치인들 가운데 여기에 해당하는 자가 누구인지를
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멍멍...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날 찬술을 마시는 핑계  (2) 2024.12.23
내란은 무슨?  (0) 2024.12.22
동지에 팥죽  (0) 2024.12.21
戒嚴(계엄)  (0) 2024.12.21
龜旨歌(구지가)  (0) 2024.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