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 그리고 늦깍기 공부

雪泥鴻爪 (설니홍조)-기러기는 자신의 발자국을 따지지 않는다.

甘冥堂 2011. 1. 31. 10:20

     鴻 爪 (홍조)

                                                   蘇軾

人生到處知何似     (인생도처지하사)     인생이 여기저기 떠 도는게 무엇 같은가?

應似飛鴻踏雪泥     (응사비홍답설니)     기러기가 눈 진흙 밟는 것 같겠지.

泥上偶然留指爪     (니상우연류지조)     진흙위에 우연히 발톱자국 나겠지만

鴻飛那復計東西     (홍비나부계동서)     기러기 날아가면 동쪽서쪽 따지겠나.

老僧已死成新塔      (노승이사성신탑)     늙은 스님 이미 죽어 새로운 탑이루었고

壞壁無由見舊題     (괴벽무유견구제)     벽 허물어져 옛날 적어 놓은 시 볼 수 없게 되었네.   

往日崎嶇還記否     (왕일기구환기부)     난날 험한 산골길 아직도 기억하는가

路長人困驢嘶      (노장인곤건려시)    길 멀어 사람 지치고 절름거리는 나귀 울었었지.

                                                                                                     

이 시는 북송때 시인 소동파가 그의 아우 蘇轍의 詩 <池懷舊>에 화답한 것입니다. 

옛날 과거시험 보러 가던 길에 머물던 절에 묵으며 이 시를 지었다 합니다.

당시 스님도 돌아가시고 벽에 써 놓았던 싯구도 없어졌습니다.

 

사자성어 雪泥鴻爪 (설니홍조)가 여기에서 생겨났습니다.

雪泥鴻爪는 무상과 허무를 나타내는 말로도 쓰이지만

그보다는 꿋꿋이 길을 나서는 사람의 의지를 말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내 느낌은 무상과 허무한 것이 더 맘에 듭니다.

기러기 발자국이 어떻게 찍히던  그게 기러기에게 무슨 의미가 있나요?

사람의 발자취는 그렇게 간단치가 않겠지요?

여기에서 인간의 고달픈 삶이  시작되는 게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생각해 보면 논둑 밭길을 걸어가던 평탄대로를 걸어가던 그 목적지에 이르는 길은

한가지 길이 아니가요?  인생의 종착역 말입니다.

열차의 앞 칸의 일등석이나 맨 뒷칸 3등 칸이나 앞뒤만 다를 뿐

결국은 같은 목적지에 도착하는것 처럼.

 

어떤 모양의 발자국을 남겼나요?

선명한가요?  흐릿한가요?

앞으로 올 날들은 어떤 모양으로 찍히길 원하시나요?

 

내일 모래면  설날입니다.

갈 年은 가고 올 年은 또 어떤 年(?)이 올지 기대됩니다.

웃어 봅니다.

나를 희망차게 하라. 혼자 다짐도 해 보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