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 月夜憶舍弟 / 杜甫
달밤에 아우를 그리며
戍鼓斷人行, 수루의 북소리에 사람들 왕래 끊어지고,
邊秋一鴈聲. 가을 언저리에 외로운 기러기 우는 소리.
露從今夜白, 이슬은 오늘밤부터 하얗게 내리고,
月是故鄉明. 달은 고향의 달 같이 밝다.
有弟皆分散, 동생들 있으나 모두 흩어져,
無家問死生. 집도 없으니 생사를 물을 수도 없다.
寄書長不達, 소식을 보내도 늘 받아 볼 수 않는데,
况乃未休兵. 하물며 전쟁마저 그치지 않는구나.
이 시는 건원 2년(759) 가을 秦州에 머물 때 지은 것이다.
이때 두보는 동생 杜占과 같이 머물다가 각각 헤어져 하남, 산동 등지에 떨어져 살았다.
그 생각을 시로 읊은 것이다.
舍弟: 자기의 동생을 사람들에게 그렇게 불렀다. 두보는 杜潁, 杜觀, 杜豊, 杜占 등 4명의 동생이 있었다.
戍鼓: 수루위의 북. 북이 울린 후에는 행인들의 왕래를 금했다.
一鴈: 외로운 기러기. 형제가 분산된 것을 비유한다.
無家: 두보의 낙양근처의 오래된 집은 안사의 난에 훼손되었다.
書: 소식. 不達: 받아 볼 수 없다.
未休兵: 당시에 반군 史思明과 장군 李光弼이 격전 중이었다.
시는 건원 2년(759), 이때에는 안사의 난이 아직 평정되지 않아 전란 중에 이 시를 지었으며, 나라는 어렵고 가족은 근심스러운데, 마음속에 비분이 넘쳤다. 가을 달을 바라보니 수족과 같은 동생들이 생각나고, 간절한 家國之情을 기탁해 본다.
“露從今夜白, 月是故鄉明" 이 구절은 造句의 기묘하고 웅건함을 볼 수 있는 명구이다.
202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奉齊驛重送嚴公四韻 / 杜甫 (0) | 2013.01.19 |
---|---|
天末懷李白 / 杜甫 (0) | 2013.01.19 |
至徳二載, 甫自京金光門出, 道歸鳳翔.../ 杜甫 (0) | 2013.01.18 |
春宿左省 / 杜甫 (0) | 2013.01.18 |
月夜 / 杜甫 (0) | 201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