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9. 已涼 / 韓偓
이미 서늘한데
碧闌干外繡簾垂, 푸른 난간 밖으로 수놓은 발 내리고,
猩色屏風畫折枝. 선홍색 병풍엔 절지화가 그려져 있다.
八尺龍須方錦褥, 여덟 자 용수초로 짠 네모난 비단 요,
已涼天氣未寒時. 이미 서늘한 날씨인데 아직 춥지는 않다네.
이 제목으로는 원래 2수가 있는데 여기서는 그 첫 번째 수다.
시는 가을에 실내를 장식하는 여자의 생각을 부각시킨 것이다.
猩色(성색): 진홍색. 원숭이 피 같은 안색.
折枝(절지): 화분을 그리는 일종의 기법으로 가지는 그리지만 뿌리와 함께 그리지는 않는다. 즉 꽃이 피어 있는 가지의 일부분을 그린 그림으로 마치 잘린 꽃을 그린 것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큰 화면에 꽃나무 전체를 그린 그림과 구별된다.
龍須(용수): 여기서는 용수초로 짠 좌석을 가리킨다.
方: 네모나다.
錦褥(금욕): 비단 요.
淸. 陳婉俊(진완준)은 “이 시 역시 전편에 걸쳐 경관을 묘사했을 뿐 결코 감정을 드러내지 않았지만 그럴수록 정이 더욱 심원하다"고 했다.<唐詩三百首補註>
[작자] 韓偓:(약842~약915) 자 致堯(致光), 스스로 玉山樵人이라 했다. 京兆 萬年(지금 섬서 서안)사람. 龍紀 원년(889) 진사. 좌습유, 한림학사, 중서사인, 병부시랑 등을 지냈으며 당 昭宗의 신임을 받았다. 후에 주전충에게 배제되어 복주사마, 등주사마로 폄적되었다. 만년에 閩으로 가서 王審知에게 의탁 했다.
한악은 10세에 능히 시를 했고, 그 이모부 李商隱에게 일찍이 贈詩하기를 “雛鳳廳于老鳳聲"의 句가 있다. 시는 다수의 상심 嘆世하는 작품을 지었으며 “충성스런 기운이 때때로 語外에 넘친다. 성정이 진지하고 풍골이 절로 강건하였다". <四庫全書總目>
457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隴西行 / 陳陶 (0) | 2013.05.02 |
---|---|
金陵圖 / 韋莊 (0) | 2013.05.02 |
馬嵬坡/ 鄭畋 (0) | 2013.05.01 |
瑤瑟怨 / 温庭筠 (0) | 2013.05.01 |
賈生 / 李商隱 (0) | 2013.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