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6. 賈生 / 李商隱
가생
宣室求賢訪逐臣, 선실전에서 현자를 찾아 쫓겨난 신하에게 물었으니,
賈生才調更無倫. 가생의 재주 더욱 비길 데 없다.
可憐夜半虛前席, 가련하다, 한밤중에 헛되이 다가앉아서
不問蒼生問鬼神. 백성일은 묻지 않고 귀신 얘기만 묻다니.
賈生(가생): 賈誼(기원전 200~168)를 가리킨다. <史記. 屈原賈生列傳>에 의하면, 西漢 가의는 재능이 뛰어나고 뜻이 커서, 일찍이 대중대부를 지냈다. 한 문제가 그를 불러 귀신의 일을 묻고는 십분 감탄하더니, 오히려 백성의 생계지사에 관한 가르침을 청하지 않았다.
이상은이 이 고사를 빌어 오늘날을 풍자하고, 唐王이 신선과 귀신을 숭배하는 것을 풍자하고, 현자를 알아보지 못하고 현자를 임명하지도 못하며, 백성의 입장도 동정하지 못하는 것을 풍자했다.
宣室: 漢 未央宮의 정실. 한 무제는 이곳에서 가의를 불러서 접견했다.
訪: 묻다. 자문을 구하다.
逐臣(축신): 가의가 일찍이 장사로 폄적되었기에 축신이라 칭했다.
才調(재조): 才氣. 재주.
前席: 좌석을 앞으로 옮겨서 가까이 앉다. 한 문제는 가의가 귀신의 일을 얘기하는 것을 듣고, 한밤중이 되자, 귀신에 홀린 듯 들으니, 이로 인해 앉은 좌석이 賈誼 근처로 움직이는 것도 알지 못했다.
451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馬嵬坡/ 鄭畋 (0) | 2013.05.01 |
---|---|
瑤瑟怨 / 温庭筠 (0) | 2013.05.01 |
姮娥 / 李商隱 (0) | 2013.04.29 |
瑶池 / 李商隱 (0) | 2013.04.29 |
隋宫 / 李商隱 (0) | 2013.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