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3.小松 / 杜荀鶴
어린 소나무
自小刺頭深草裏 (자소자두심초리) 작은 소나무 풀숲에서 자라다가
而今漸覺出蓬蒿 (이금점각출봉고) 어느새 쑥대를 뚫고 솟아오르네.
時人不識淩雲木 (시인부지능운목) 당시 사람들 구름위로 솟을 나무인줄 모르다가
直待淩雲始道高 (직대능운시도고) 구름위로 솟은 후에야 비로소 그 높음을 말한다.
【注釋】
①刺头:솔잎이 가득 자란 작은 소나무를 가리킨다.
②蓬蒿(pénghāo):쑥과 다북쑥.
③直待:곧게 이를 때에 이르러
④凌云:높이 솟아 구름으로 들어가다.
【譯文】
소나무가 작을 때에 깊은 초목 속에서 자라, 매몰되어 사람들에게 보이지 않다가,
지금에 이르러 비로소 쑥대에 비해 높이 솟아난 것이 발견된다.
당시 높이 솟아 구름을 뚫는 나무인줄 모르다가, 바로 높이 솟아 구름 속으로 들어가니.
사람들은 비로소 그것의 높음을 말하기 시작한다.
【作家】
杜荀鶴(846~904), 자 彦之, 호 九華山人, 지주 석체(지금의 안휘 석대)人.
저명한 현실주의 시인이다. 그는 시가는 풍아전통을 계승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浮華에 반대하고, 그의 시는 평이 자연스럽고 朴實하고 밝았으며 청신하고 뛰어났다.
'小笨熊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蜂 / 羅隱 (0) | 2020.08.01 |
---|---|
蠶婦 / 杜荀鶴 (0) | 2020.08.01 |
山亭夏日 / 高騈(고변) (0) | 2020.07.29 |
商山早行 / 溫庭筠 (0) | 2020.07.29 |
憶楊州 / 徐凝 (0) | 2020.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