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1구 논어 365편

繪事後素

甘冥堂 2023. 2. 12. 09:32

................................................................................................................... 212

 

43. 子曰 繪事後素니라

       (회사후소)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

그림 그리는 일은 흰 비단을 마련하는 것보다 뒤에 하는 것이다.” (八佾 8)

 

회사(繪事)는 그림 그리는 일이다. 후소(後素)는 흰 비단을 마련하는 것보다 뒤에 하는 것이다.

<주례(周禮)> 고공기(考工記)그림 그리는 일은 흰 비단을 마련한 뒤에 한다.’ 하였으니,

먼저 흰 비단으로 바탕을 삼은 뒤에 오색(五色)의 채색을 칠하는 것이니,

마치 사람이 아름다운 자질이 있은 뒤에야 문식(文飾)을 가()할 수 있음과 같은 것이다.

 

양씨(楊氏)가 말하였다. “단맛은 조미(調味)를 받아들이고, 흰 것은 채색을 받아들이며,

충신(忠信)한 사람이라야 예()를 배울 수 있는 것이다.

만일 그 바탕이 없다면 예()가 헛되이 행해지지 않으니,

이것이 그림 그리는 일은 흰 비단을 마련하는 것보다 뒤에 한다는 말씀이다.

 

공자(孔子)께서 그림 그리는 일은 흰 비단을 마련하는 것보다 뒤에 한다.’고 말씀하시자,

자하(子夏)()가 뒤이겠군요라고 말하였으니, 그 뜻을 잘 계승하였다고 말할 만하다.

 

이것은 말 밖의 뜻을 터득한 자가 아니라면 가능하겠는가?

()[자하(子夏)]과 사()[자공(子貢)]가 함께 시()를 말할 만했던 것은 이 때문이었다.

만약 장구(章句)의 지엽적인 것에만 마음을 몰두한다면 그 시()를 배움이 고루할 뿐이다.

이른바 기여(起予)라는 것은 또한 <스승과 제자(弟子)가 서로 학문(學問)이 진전된다는>

교학상장(敎學相長)의 뜻이다.”

 

 

'1일1구 논어 365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獲罪於天이면 無所禱也니라  (0) 2023.02.14
祭如在하시며 祭神如神在러시다.  (0) 2023.02.13
禮 與其奢也 寧儉  (0) 2023.02.11
人而不仁 如禮何  (0) 2023.02.10
是可忍也 孰不可忍也  (0) 2023.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