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주식

주식에 1억 투자한 직장인, 30년 후…한국 4억 vs 日 23억

甘冥堂 2024. 4. 17. 21:21

주식에 1억 투자한 직장인, 30년 후한국 4vs 23

 

지난 10년간 국내 증시의 연평균 수익률(시세차익, 배당 등)5%에 그쳤지만 일본 증시는 11%, 미국 증시는 13%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대로라면 한국의 30대 직장인이 1억원을 주식시장에 투자했을 때 30년 후 은퇴할 때쯤 4억원을 벌지만, 일본과 미국 직장인들은 각각 23억원, 39억원을 손에 쥔다. 코스피지수가 15년 넘게 2000~3000의 박스권에 갇혀 있는 동안 미·일 증시는 사상 최고치 행진을 벌인 결과다.

 

© 제공: 한국경제

각국 증시의 성적 차이는 은퇴생활자들의 부() 격차로 이어졌다.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 60대 가구주의 평균 순자산은 2022년 기준 5억원 남짓이다. 반면 미국 60대 가구주의 자산은 지난해 현재 25억원에 달한다. 지난 5년간 한국의 60대 자산이 1억원 느는 동안 미국은 5억원 넘게 불었다. 불어난 미국의 주식 가치는 연금도 더 윤택하게 바꿨다. 미국의 연금 소득대체율(생애 평균 소득 대비 노후 연금액 비율)은 최근엔 85%에 육박한다. 반면 한국은 50% 선에 머물고 있다.

투자업계에선 고령화와 노후 대비가 글로벌 현안으로 떠오르면서 한국 증시의 고질적 저평가를 해소하려는 정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동시에 중장년층의 과도한 부동산 자산 비중을 줄여 금융 투자 확대를 유도하고, 개인퇴직연금 시장을 활성화하는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우리보다 앞서 초고령화 시대를 맞은 일본도 해법을 증시에서 찾았다. 2016일본인들이 현재 자산으로 노후를 보내기엔 2억원이 부족하다는 금융청 보고서가 나오자 일본이 발칵 뒤집혔다. 그러자 정부가 나서 주가순자산비율(PBR) 개혁등의 조치를 통해 증시 부양을 주도했다. 그 결과 올해 닛케이225지수가 사상 처음 40,000선을 돌파해 34년 만에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일본 정부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올해부터 소액투자 비과세제도(NISA)’를 대폭 확대해 국민의 노후 자금을 증시로 유도하고 있다.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국가의 미래를 위해 저출산 고령화만큼이나 심각한 문제라며 증시 밸류업과 국민 노후 문제 해결을 위해 초당적 협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 이제는 저축 아닌 '투자의 나라'"젊은층도 서점서 NISA 열공"

'닛케이 활황' 가계 주식가치 27%↑…정부 파격 세제혜택

주식에 1억 투자한 직장인, 30년 후한국 4vs 23

 

지난 14일 일본 도쿄 시부야구 다이칸야마에 있는 쓰타야 서점. 중앙에 있는 매대 한쪽이 노후 자금 준비와 ()소액투자비과세제도(NISA)’에 대한 책으로 빼곡했다. 점심시간을 맞아 이곳을 찾은 30·40대 직장인들이 책을 고르느라 열중하는 모습이다. 이 중 한명인 스가노 고 씨(44)는 요즘 연금 재테크에 빠져 있다고 했다. 닛케이225지수 상승에 힘입어 지난해 그의 개인연금 수익률은 50%를 넘었다. 스가노씨는 일본의 30·40대 부모 세대보다 자산이 적은데 집값 상승을 기대하기도 힘들어 NISA를 통해 노후 자금을 마련해야 한다주변 직장동료들 사이에선 NISA 앱 활용이 필수라고 말했다.

 

 

국민 노후 자산 2배 만들겠다

 

현금과 저축의 나라이던 일본이 달라지고 있다. 1990년대 거품 붕괴 트라우마와 디플레이션 수렁에서 벗어나면서 안전자산을 고집하던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었다. 닛케이225지수가 4만 선 근처까지 올라 지난해 일본 가계가 보유한 주식과 채권 가치는 약 2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을 붙인 건 일본 정부다. 기시다 후미오 정부는 국민의 노후 자산을 2배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자산소득 배증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올해 1월 파격적인 신NISA 혜택을 도입했다. 비과세 기간을 평생으로 연장했고 연간 납입 한도액을 120만엔에서 360만엔으로, 누적 한도를 600만엔에서 1800만엔까지 3배씩 늘렸다.

 

투자 바람은 수치로 나타났다. 일본증권업협회에 따르면 NISA 계좌 개설 건수는 2023년 한 달 평균 18만 건이었는데 올 들어 53만 건으로 2.9배 증가했다. 올해 들어 가입한 사람만 200만 명을 훌쩍 넘어선 것이다. 우리나라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가입자가 출시 8년 만인 지난달에야 누적 기준 500만 명을 넘어선 것을 감안하면 상당한 열기다.

 

 

성장형 투자 계좌에 유입된 금액은 5000억엔에서 15000억엔으로 세 배 늘었다. 이 중 91%는 국내주식, 9%는 해외주식에 투자됐다. 해외로 떠나던 돈이 일본 국내 증시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도루 야마노이 다이와자산운용 운용본부장은 오랜 재팬 디스카운트’(일본 증시 할인)의 원인으로 장기 디플레이션 기업들의 내재 중심 경영 개인투자자들의 현금 중시 경향 등 세 가지를 꼽았다. 그는 최근 세 가지 부분 모두에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정부의 적극적인 증시 부양책과 기업의 실적 향상이 선순환 구조의 물꼬를 텄다고 설명했다.

 

2월 일본을 방문한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도 니혼게이자이와의 인터뷰에서 일본 경제는 본격적인 선순환에 들어섰고 일본 증시는 여전히 상승 여지가 있다며 특히 “NISA를 통해 들어오는 돈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쪽짜리 혜택도 가로막힌 한국

도쿄증권거래소는 지난해 3월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 미만 기업에 자기자본이익률(ROE)과 성장성을 높이기 위한 계획서를 내라는 지침을 공식화했다. 이른바 PBR 개혁이다. 닛케이225지수가 34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한 데는 기업의 실적 개선도 있지만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규성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선임연구원은 한국의 ISA 가입률은 10%대 수준으로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저조하다“ISA 장기 투자를 유도하는 새로운 세제 혜택 방식을 모색하고 청년층을 유인할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쿄=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