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 그리고 늦깍기 공부

단종애사

甘冥堂 2024. 4. 24. 13:31

子規詩 / 端宗

一自寃禽出帝宮 (일자원금출제궁)  
孤身隻影碧山中 (고신척영벽산중)  
假眠夜夜眼無假 (가면야야면무가)  
窮恨年年恨不窮 (궁한년년한불궁)  

한 마리 원한맺힌 새가 궁중을 떠난뒤로
외로운 몸 짝없는 그림자가 되어 푸른 산속을 해맨다
밤이가고 밤이와도 잠을 못 이루고
해가가고 해가와도 한은 끝이 없구나

聲斷撓岑殘月白 (성단효잠잔월백)  
血流春谷落花紅 (혈류춘곡낙화홍)  
天聾尙未圓哀訴 (천롱상미원애소)  
胡乃愁人耳獨聰 (호내수인이독총)

두견새 소리 끊어진 새벽 멧부리엔 달빛만 희고
피를 뿌린 듯한 봄 골짜기에는 지는 꽃만 붉구나
하늘은 귀머거리인가? 애달픈 하소연 어이 듣지 못하는가
어찌하여 수심 많은 이 사람의 귀만 밝은고.


비운의 왕 단종의 애절함과 권력의 비열한 속성이 공존하는 단종의 자규시.


단종(端宗)이 밤이면 누각에 올라 읊조리는 자규시(子規詩)가 너무

애절하여 이곳을 지나며 들은 사람들이 이 누각 이름을

자규루(子規樓)라 하였다고 한다.


端宗 1441~1457, 재위1452~1455
초명은 홍위(弘偉) 1141년(세종 23) 당시 세자이던 문종(文宗) 과
현덕왕후(顯德王后) 권씨(權氏)사이에서 태어났다.

세종 30년인 1448년 왕세손(王世孫)에 책봉(冊封)되고
1450년 문종이 즉위하자 세자에 책봉되었으며
부왕인 문종이 1452년 승하하자
12살의 어린 나이로 조선 제 7대왕에 등극하였다.

즉위 초 황보인(皇甫仁), 김종서(金宗瑞)등의 보필을 받아 정사에 임했으나
1453년 숙부인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이른바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김종서 황보인 등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하자
2년후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이후 성삼문(成三問)등 사육신의 단종 복위계획이 실패하자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되고 영월로 유배되었으며
순흥에 유배되었던 숙부 금성대군(錦城大君)의 복위 계획이 실패하자
서인(庶人)으로 또 다시 강등되었고

1457년(세조3) 영월에서 열 일곱의 어린 나이로 한많은 생을 마감하였다.
시신은 동강에 버려졌는데 영월 호장(戶長) 엄흥도(嚴興道)가 목숨을 걸고 수습하였다.

이후 200여년이 지난 1681년(숙종 7) 노산대군(魯山大君)으로 추봉(追封)되고
1698년(숙종 24) 왕으로 복위되었다.

묘호(廟號)는 단종(端宗), 시호(諡號)는 순정안장경순(純定安莊景順)이며

능호(陵號)는 장릉(莊陵)이고 강원도 영월에 있다.

'한문 그리고 늦깍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원히 작용하는 우주의 섭리를 깨우쳐라  (0) 2024.05.05
挽歌 / 陶淵明  (1) 2024.05.01
戒子書 / 諸葛亮  (0) 2024.04.23
敬次尊姑只一堂韵  (0) 2024.04.21
李山海의 시  (1) 2024.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