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자절사 무의 무필 무고 무아) 공자께서는 네 가지를 절대로 하지 않으셨다. 사사로운 뜻을 갖는 일이 없으셨고, 기필코 해야 한다는 일이 없으셨으며, 무리하게 고집부리는 일도 없으셨고, 자신만을 내세우려는 일도 없으셨다. * 絶四(절사): 네 가지를 끊다, 네 가지를 전혀 하지 않다.* 毋意(무의): 자의(恣意)로 결정하는 일이 없다. 확실하지 않은 일을 마음대로 단정하지 않다. - 毋(무): 부정을 표시하는 부사. 無(무)·不(불)과 같다.* 我 (아) : 자신을 내세우려 하거나 자신이 아니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아집. 논어 제9편 자한 4장 孔子는 네 가지가 완전히 없으셨으니, 사사로운 뜻이 없으셨으며 기필함이 없으셨으며 집착(고집)함이 없으셨으며 사사로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