唐詩 300首 飜譯

塞下曲四首 其一 / 盧綸

甘冥堂 2013. 4. 12. 13:17

248. 塞下曲四首 (其一) / 盧綸

새하곡 1

 

其一

鷲翎金僕姑, 독수리 꼬리로 만든 금복고 화살,

燕尾繡蝥孤. 제비 꼬리로 수놓은 모호 깃발.

獨立揚新令, 홀로 서서 새 명령을 내리자,

千營共一呼. 모든 군영 일제히 호응한다.

 

 

塞下曲(새하곡): 당 신악부시로 <橫吹曲>에 속해 있다. 源出 <出塞曲><入塞曲>. 한 제목으로<張僕射塞下曲>을 지었다. 이 제목으로 원래 6수가 있는데 여기서는 앞 4수만 선택했다.

 

(독수리 취): 매의 일종으로 체형이 비교적 크다.

(깃 령): 새의 꼬리 위 긴 날개털로 화살 깃을 만들 수 있다.

金僕姑(금복고): 활 이름. <左傳. 庄公11>: “공은 금복고로 南宮 長萬을 쏘았다" 여기서는 활을 가리킨다.

 

燕尾(연미): 깃대의 띠. 제비꼬리 띠. 옛날 군중의 깃발을 장식한 넓은 띠.

蝥孤(모호): 깃발 이름. 여기서는 보통의 깃발을 가리킨다. <左傳. 隱公11> “潁考鄭伯의 기 모호를 가지고 먼저 올라갔다."

(): 전달하다.

 

이 시는 시인이 渾瑊의 막부에 있을 때 지은 것으로 中唐의 명장 혼감을 칭송한 것이다.

 

淸 黃叔灿: 이 시는 먼저 그 裝備 등속의 기개를 썼다. 아래 2구는 차라리 白夫長이 될지언정, 일개 서생이 되는 게 낫다.” 의미와 상통한다. <唐詩笺. 7>

 

淸 章燮: 새로이 말이 시작 되는 것과 같다. 장수가 장대에 혼자 서서, 그 호령을 내리니, 수많은 군영의 병사들이 모두 그 부름을 듣고, 응답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 이 말은 출병하는 날, 호령이 엄하고 밝은 것이다.<唐詩三百首 注疏. 6>

 

 

 

384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塞下曲四首 其三 / 盧綸  (0) 2013.04.12
塞下曲四首 其二 / 盧綸  (0) 2013.04.12
玉階怨 / 李白   (0) 2013.04.11
長干行 二首 其二 / 崔顥  (0) 2013.04.10
長干行 二首 其一 / 崔顥  (0) 2013.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