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학
01.언어교육과 한국어 교육
1.한국어 교육학의 제 영역
인접학문 |
내용학 |
교수학 |
인접학문 |
언어학 (국어학) 응용언어학 (대조분석 사전학 연구방법론) |
음운론 어휘론 문법론 담화론 문화론 |
영역별 교수방법론(발음, 어휘문법, 담화. 문화) 기능별 교수방법론(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한국어 교육과정론 평가론 교수. 학습론 교재론 등 |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
02. 한국어교육과정론
교육과정: 교육프로그램의 계획.운영.평가.관리를 위한 원리이며 일련의 절차
교육과정개발 절차: 요구분석->상황분석->교육과정의 목표기술->교수요목설계->수업절차제공 ->교육자료의 개발->평가.
⚬개별교수요목의 특성
.상황중심교수요목: 의사소통 장면들 즉, 거리. 버스. 시장. 집. 가게. 식당 등에서
.문법적 교수요목: 목표언어의 문법이나 구조를 강조. 1990년대 이전
.개념(의미)-기능중심교수요목: 시간 수량 공간 거리 위치 등 개념범주를 교수대상으로 한다. 의미위주의 내용을 우선적으로 고려.
.과정중심교수요목: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과정자체가 중요. 학습내용이 미리 정해지지 않음.
.절차중심교수요목: 언어구조가 의미에 초점이 맞추어질 때 가장 잘 학습된다.
.과제중심교수요목: 주문하기 물건사기. 집구하기 등 특정목적을 갖는 활동과제. 이들 총체적 으로 결합된 덩어리로 제시.
.내용중심교수요목: 언어 형식보다는 언어내용에 초점. 특정분야의 내용에 초점을 두므로 유의 미한 의사소통 기회를 제공.
학습자가 교수요목 결정에 참여. 학습자 중심적 교수요목.
⚬한국어교육과정 연구
1960~1980. 주로 일반목적의 교육과정이 주를 이루었다. 1980 중반 이후 수요가 급격히 증가
1990 중반이후 폭발적 증가된 시기.
2000 학문목적 학습자가 더욱 증가.
최근 문체부. 국제통용 표준교육과정 (7등급) 논의 시작
⚬ACTFL의 숙달도별 등급체계와 비교
최상급: 광범위한 일반적 관심사. 전문. 구체적 추상적 친숙하지 않은 주제
상급 : 개인적 공공적 관심사 중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주제
중급 : 간단한 질문 대답으로 일대일 대화를 유지할 수 있다. 일부 비격식적 상황.
초급 :정 형화된 발화, 목록, 나열. 일상생활의 보편적인 분절요소.
03. 발음교육론
한국어의 모음 21개
단모음-> 혀의 높낮이: 고.중.저모음//혀의위치: 전설. 후설모음// 입술모양: 원순. 평순모음
이중모음->ㅣ계 : ㅑ ㅕ ㅛ ㅠ ㅖ ㅒ
ㅗ/ㅜ 계 : ㅘ ㅝ ㅙ ㅞ ㅚ ㅟ 기타: ㅢ
|
전설 |
후설 | ||
평순 |
원순 |
평순 |
원순 | |
고(폐모음) |
ㅣ |
ㅟ |
ㅡ |
ㅜ |
중 |
ㅔ |
ㅚ |
ㅓ |
ㅗ |
저(개모음) |
ㅐ |
|
ㅏ |
|
⚬한국어의 음절
.초성에는 단 하나의 자음만 올수 있다. /ㅇ/를 제외한 모든 자음. /ㄹ/는 외래어 외에 처음 에 올 수 없다.
.중성에는 단 하나의 모음만 올 수 있다.
.종성에는 단하나의 자음만 올수 있는데. /ㄱㄴㄷㄹㅁㅂㅇ/의 7자만 가능하다.
⚬한국어의 음운현상
.중화현상: 끝소리 7가지 소리로만 발음되는 현상. 부엌[부억] 낚시[낙시] 옆[엽] 숲[숩]
.곁받침의 단순화: ㄱㅅ [ㄱ] 넋[넉] ㄴㅈ[ㄴ]앉다[안다]
.연음규칙: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이어 나오면 앞 음절의 받침이 다음 음절의 초성 으로 옮겨 발음되는 현상. 국이[구기],
무릎을[무르플]. 한자어를 포함하는 단일어에도 적용. 국어[구거], 적용[저굥]
.음운동화현상: 자음동화.밥만[밤만] 유음의 비음화: 심리[심니]. 유음화비음:난로[날로]
구개음화:같이[가치]. 격음화:입학[이팍]. 모음축약: 보-+-아->봐, 주-+-어->줘.
자음탈락:솔+나무[소나무] 바늘+질[바느질], 모음탈락:바쁘-아서->바빠서, 쓰-었다->썼다.
보내-어->보내. 보내었다->보냈다.
경음화: 국밥[국빱] 할 것을[할꺼슬] 신다[신따] 갈등[갈뜽] 냇가[내까]. ㄴ첨가:솜이불[솜니불]
모음조화: 좋다[좋아서/좋았다. 먹다: 먹어서/먹었다. 모락모락, 무럭무럭.
.초분절음소: 소리의 강세, 장단. 고저 등의 운율적 자질을 말한다.
장단: 눈보라[눈:보라] 말씨[말:씨] 첫눈[천눈] 참말[참말]
축약: 보아->봐[봐:] 기어->겨[겨:] 되어-돼[돼:]
⚬발음교육의 단계: 도입-제시설명-연습-사용-마무리
발음교육의 활동유형 중 최소대립쌍 연습 달/딸/탈, 불/뿔/풀.
04. 어휘교육론
⚬°°한국어 단어 형성법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책 손 떡. 머리
복합어: 접두파생어: 헛+손질. 드+높다. 풋+과일
접미파생어: 선생+님. 멋+쟁이. 국가+적. 공부+하다.
명사합성어: 밤낮. 봄비
동사합성어: 들어가다. 살펴보다
병렬합성어: 남북. 돌다리
융합합성어: 밤낮(언제나, 항상 등의 의미)
어휘 의미 관계에 따른 어휘교수 – 유의어. 반의어. 상위어. 하위어.
.유의어: 전통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된 방법.
.어휘간의 의미차이가 드러날 수 있도록, 관련어 관계를 이용하면 효과적임.
.나는 개를 [기르고, 키우고] 있다.
.정도의 차이: 자주-종종-때때로/때로, 가끔./이따금/간간이/더러/간혹/
.연어 관계의 차이-연관되는 단어와 관련이 깊으므로. (영화)관객, (미술관)관람객.(스포츠)관중
용언: 유의어간의 선택제약이나 격틀의 차이로 변별되는 경우도 있다.
커피에 우유를 타서 주세요. 커피와 설탕의 섞은 뒤 물을 넣었다.
.반의어의 유형: 극성대립(죽다<->살다) 비극성대립(덥다<->춥다) 방향대립: 위<->아래
.상위어와 하위어는 계층적 관계->어휘 확장을 시도하는 것도 바람직.
.어휘장:
(의미장) 웃옷. 치마. 점퍼. 윗도리. 셔츠. 원피스 등.
.다의어: 오른손, 손이 부족하다. 손을 빌리다.
⚬°구로 나타나는 어휘교수는 왜 중요한가?
.어휘덩어리를 훈련하는 것이 유용성면에서 중요.
.어휘관계에 대한 귀납적 지식을 얻게 된다.
.유창성 증진.
.학습자의 모국어 전이에 따른 오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어휘선정의 기준 : 빈도. 중복도. 주제와 관련된 기본어휘. 파생력 있는 어휘. 문법이해를 위한 어휘. 교수현장에서 필수적인 단어는
저빈도 언어라도 선정할 수 있다.
05.문법교육론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위한 문법사용을 전제로 한다.
.문법교육의 단계
도입(목표인식.흥미유발)->제시(문법규칙)->연습(구조적.유의적연습)->사용(실제적용.반복학습)->정리(정리. 평가. 차시 예고)
⚬°문법교수방법
PPP모형: 기존문법에 대한 지식적인 부분만 제시한 뒤 연습(Practice)를 통해
생성(production)하는 정확성을 강조하고 유창성을 가미하는 교수방법.
TTT모형 (Task->Teach->Task) 과제를 기반으로 하며 과제해결을 통해 유창성을 익힌 후 정확성을 가미.
OHE모형:(Observation-Hypothesis-Experiment 어휘적 접근법을 제시하여
관찰- 발견.가설-탐구.시도의 방법을 통해 문법항목의 위계화 없이 어휘적 접근법으로 교 수하는 모형.
NDAE모형: ( Noticing-Discovering ..)문법현상에 주목하고 문법의식을 고양하여 탐구학습의 방법을 복합한 교수모형.
°⚬문법교육의 새로운 방향
.단계적 순환적 문법 교수.
.절충적 문법교수.
.외현적 문법교수.:문법항목들이 전체교과과정 틀 안에서 체계화 되어야 한다는 것. 범주접근 적 문법제시가 이루어 져야한다. 어휘접근적 문법제시가 이루어져야. 흥미 유발해야. 유사문 법 항목간의 변별이나 다양한 쓰임에도 주의해야. 급별 등급화가 주로 난이도에 기대고 있 다는 문제가 있음.
.통합적 문법교수법: 어휘와 문법이 서로 경계가 없이 넘나들게 되었음.
06.문화교육론
문화의 개념
⚬(Brooks)-1960이전에는 bigC. 의사소통기능이 강조됨에 따라. little c.
.big C: 고전음악.문화 무용. 예술. 건축. 정치제도. 경제제도 등 문화적 관례를 일컫는 것.
.little C: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행동양식. 태도.신념. 가치 등 집단이 공유하는 인간생활 면.
⚬Hammerly(1986)
정보문화-사회 지리, 역사 영웅등에 대하여 알고 있는 정보와 사실
행동문화-일상생활의 총체를 지칭. 한 사회에서 행동하는 양식으로 기본적 인간의 욕구.
성취문화-목표언어 문화에서 성취된 업적.
목표문화에 대한 태도가 학습의 효율성과도 연계됨.
⚬Hammerly 10가지 문화교육의 목표 제안-학습자가 어려움을 느끼는 순서에 따라
단어와 구절에 대한 문화적 함축 이해. 행도. 제2문화에 대한 이해관심. 문화간 차이 이해.
감정이입과 같은 공감대형성. 제2문화에 대한 학술적 연구.
°문화교육 내용선정의 준거
유용성: 의사소통에 도움
학습성: 교수환경고려
교수성: 교수능력 고려
일반화 가능성: 해당문화요소에 대한 선행연구의 일반화 가능성
학습자의 기대: 학습자의 요구. 기대 필요
문화적 유표성: 목표문화의 차별성.
07.한국어 교수법
1.문법번역식 교수법
2.직접식교수법.-모국어 사용을 철저하게 통제하고 목표어만 사용.
3.청각구두식교수법: 2차대전. 구어의사소통 배양. 모방과 암기 반복.
4.인지주의교수법:인지적 활동에 의한 규칙 습득.
5.침묵식교수법:학습의 주체는 학습자 자신이며 교사는 조력자.
6.공동체언어학습법:인본주의적 접근법. 교육과정이나 교재가 미리 정해지지 않음.
7.암시교수법: 최적화된 상태에서 교사의 권위와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수업.
8.전신반응교수법:교사의 명령과 학습자의 신체적 동작.
9.자연교수법: 5가지 小가설 습득학습가설.
모니터 가설. 자연순서 가설. 입력가설. 정의적 여과기 가설.
10.의사소통교수법: 종합적인 의사소통능력 배양.
11.과제중심교수법: 의사소통접근법에 기반을 둠. 결과보다는 과정자체를 중시.
08.듣기 교육론
듣기는 이해 영역. 다른 기능으로의 전이 능력이 크다. 수동적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처리함
°⚬듣기교육의 흐름.
문법번역식 교수법
직접식 교수법-말하기를 위해서
청각구두식 교수법-모방과 암기를 수단. 완벽한 발음을 추구
전신반응 교수법-이해중심의 교수법. 듣기가 말하기에 우선.
의사소통적 교수법-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한 듣기전략. 이해영역으로서의 듣기.
°⚬듣기자료의 구성: 실생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실제적인 자료로 구성.
.담화유형이 실제 자료와 유사한 것. 광고문 광고방송특성을 그대로 갖추어야.
.실제적인 언어생활을 반영한 자료.-중복.생략.머뭇거림. 휴지등 한국인의 정상발화와 같이
.자연스러운 담화로 이루어져야-화제전환. 맞장구. 순서교대들 한국인의 대화와 유사하게구성.
°⚬수업활동 유형
상향식 모형: 음 식별하기. 단어억양 식별하기. 문장 듣고 어휘 문법에 중점을 두어 내용 이해 하기, 짧은 대화 듣고 특정 어휘 표현을 근거로
정보파악 하기.
하향식 모형: 중심내용 세부내용 파악하기. 듣고 논평하기. 화자의 어조파악. 부연되거나 의견 의 근거듣기. 이유결과 등 추론하기. 듣고 내용
요약하기.
09. 읽기 교육론
읽기는 문어를 대상으로 하는 이해영역으로 학습효과가 가장 오래 지속되는 기능을 가짐.
Goodmanm 읽기란 심리언어학적인 추측게임이다.
°⚬읽기모형
.상향식 모형-텍스트중심의 이해. 낭독하거나 문장단위로 분석. 빠짐없이.
.하향식모형. 텍스트부터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상위적인 정신단계에서 시작하여 텍스트로 이동하는 것.
.상호적인 모형-순환적인 것으로 본다는 차이가 있다.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글의 내용을 예측한 후 묵독하면서 정보를 찾고, 자신의 예측이
틀린 경우 수정하면서 다시 정보를 찾아 반복.
°⚬숙달도에 따른 읽기자료의 예
초급 |
중급 |
고급 |
메모, 편지글 일기. 영수증. 명함. 초대장. 포스터. 간단한 안내문. 학생증. 여권 |
간단한 기사. 만화. 이메일.제품설명서. 서술문. 비즈니스편지. 팸플랫. 요리책. |
기사.광고문. 서평. 시. 소설.수필.보고서. 인터냇자료. 사설. 평론. 선거유세. 연설문 |
°⚬낭독과 묵독/ 정독과 다독/ 훑어읽기와 정보찾기
낭독- 초급단계. 문자와 소리의 관계를 익힐 수 있다.
묵독-글의 의미파악에 중점. 초급이후 낭독보다 더 많은 비중을 두어야.
정독-세부적인 내용까지 파악. 정확히 읽는 방법.
다독-전체내용 파악. 다량의 정보를 얻기 위해. 수업시간외에 개인학습방법으로.
훑어읽기-글 전체를 빠르게 훑어보고 요점 파악하는 연습.
정보찾기- 글을 빨리 읽고 필요한 정보(날짜, 목록 등)을 찾는 방법으로 공영장소. 가격 찾을 때 적절.
⚬°읽기수업 구성 원칙
목적성 있는 읽기.
배경지식 활용한 읽기 활동
담화 이해를 위한 읽기/ 언어기능간의 통합./낭독방법활용/묵독기술 활용한 중고급 단계.
표면적의미와 함축된 의미의 이해.
⚬°수업구성단계
1)읽기 전 단계-주제소개. 주제에 흥미유발.
길잡이 질문 답하기./ 시각자료보고 생각하기.토론하기. /글의 주제와 관련된 떠오르는 생각 말하기. /의미망 작성하기.
훑어 읽기/ 특정정보 찾기./ 핵심어휘 찾기./ 질문. 진술문 가설 작성하기.
2)읽기 단계
훑어읽기/ 읽기전 단계의 질문에대한 답 확인하기 / 자료내용의 일부에 표시하며 읽기/글의
구조 파악하기/
메모하기/ 정보 메우기./ 이야기 구성하기
3) 읽은 후 단계
읽은 내용 확인하기/ 어휘표현 학습하기/글의 내용 토론하기.
글의 내용을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과 연결하기/ 글의 내용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해 보기/
읽은 내용을 구어, 문어로 전이하기.
10. 말하기 교육론
일상언어활동에서 말하기 30%, 듣기 45% 읽기 16% 쓰기 9%
°말하기교육목표
초급: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친숙한 주제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중급: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능. 격식과 비격식을 구분
고급: 다양한 추상적 주제 및 전문 주제에 대해 , 논리적으로 자신의 견해를 주장.
°말하기교육내용
문법적 능력: 발음 어휘 문장. 음운 어휘 통사 지식
사회언어학적 능력: 한국어 관습. 문화를 알 수 있도록. 특정표현의 기능포함.
격식.비격식 표현.
담화적 능력: 문장을 유의미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문법체계에 지식을 사용. 응집성 있는 담 화구성.
전략적능력: 의사소통이 실패할 경우 반복.주저함. 비언어적 의사소통행위등 전략을 사용하 는 능력
°말하기교육원리
1)정확성과 유창성의 균형
2)듣기와 말하기의 연계
3)학습자 동기부여. 적극적 참여
4)상호작용 촉진
5)실제적인 과제수행
6)문장. 담화 단위의 발음 연습
°말하기 수업 구성
문법과 말하기 활동을 통합한 PPP(Presention-practice-production)모형 사용
5단계->도입-제시-연습-활용(사용)-마무리로 구성.
11.쓰기 교육론
Brown.H.D 읽기 쓰기교육에서 고려할 문어의 특성 7가지
불변성. 산출시간의 소요. 글쓴이와 독자의 거리.철자. 복잡성. 다양한 어휘. 형식성.
°쓰기 수업 활동
통제된 쓰기: 베껴 쓰기. 받아쓰기. 바꿔 쓰기. 문장연결. 빈칸 채우기
유도된 쓰기: 이야기 재구성하기. 그림도표 통계자료 등을 보고 서술하기. 담화완성하기
자유로운 쓰기: 자유 작문. 글 읽고 의견쓰기. 기타, 가아의 메모, 일기쓰기 등.
°쓰기수업구성
쓰기 전 단계 활동: 주제과제 선정. 생각 끌어내기. 계획하기
쓰기단계 활동: 초고작성. 피드백주고받기. 교정하기.
학습자간 피드백. 교사의 피드백-학습자가 표현하려고 했던 원래의 의미에 맞게도와.
쓰기 후 단계: 다른 언어기능과 통합활동. 교사의 최종피드백. 학습자의 패드백 활용.
12. 교재론
교재의 기능: 교수-학습 내용을 규정/ 학습목표설정의 구체화/ 교수전략, 학습전략/평가의
대상과 자료를 제공
°교재개발절차와 방법
1.학습자요구조사 2.교육목표설정 3.교육과정설정 4.교수요목설계 5.단원모형구상 6.단원내용 구체화 7.시험사용 8.교재출간.
°교재 개작절차 및 방법
교재평가 및 선정 / 교재내용 및 방법점검 / 교재개작
구체적 교재개작 방법: 첨가. 삭제와 생략. 수정. 재배열
°한국어 교재개발현황
.교재개발의 흐름: 1990후반 의사소통교수법에 기반.
.교재의 외적 특징
학습자 성향 학습목적을 고려한 다양한 교재 개발.
통합교재. 기능별. 범주별교재의 균형 있는 개발
현지화 교재의 증가
웹 가반 교재 개발
쉽고 재미있는 교재. 가볍고 편리하 srywo.
.교재의 내적특징
혼합교수요목의 활용
의사소통 교수이론의 적용
13. 평가론
°한국어 평가의 유형
성취도 평가와 숙달도 평가-한국어능력시험.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진단시험과 배치시험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좋은 평가의 요건
신뢰도: 시험신뢰도. 채점신뢰도
타당도: 가도구가 평가목적에 맞게.
내용타당도. 構因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안면 타당도.
실용도: 경비 시간 노력 둥이 경제적인가
역류효과: 평가결과가 교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말한다.
°한국어 평가도구 개발절차
1.평가설계 2.문항개발 3.예비시험(사전평가) 4.평가실시 및 결과 분석.
한국어 능력시험의 유형
한국어능력시험(TOPIK): 재외동포.외국인대상. 년4회. 4개영역(어휘.문법.쓰기.듣기.읽기) 각 100점씩 400점만점.
4지선택형. 서담형. 문장/문단완성하기.작문1문항. 고급은5.6급
세계한국말인증시험(KLPT):2001년 시행. 한국어로 기본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지.실제적 의사소통 능력 판별. 500점 만점.
TLPT IV 한국어 시험. 고용허가제 한국어 능력시험. SATII 한국어 시럼. 한글능력검정시험
14.특정목적 한국어교육
학습초기에는 언어의 일반적 특성을 학습하고. 목적에 따라 특정분야를 학습.
°특정목적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법
내용중심교수-주제중심교수. 내용보호 교수. 병존언어교수(언어교사와 내용교사가 팀티칭)
15.어문규정과 한국어 교육
°한글맞춤법: 소리 나는 대로 적되 어법에 맞게. 각 단어는 띄어 씀. 외래어는 외래어표기법
자모의순서-이해차원에 머무는 것이 바람직
°규정에 맞게 발음하기
된소리: 앞음절의 끝소리가 ㄱ,ㅂ일 경우 된소리로 적어서는 안됨. 깍두기는 몹시 맵다.
구개음화: ㄷ,ㅌ 뒤에 -이-히는 ㅈ,ㅊ으로. 같이[가치]핥여[할쳐]
모음: 게시판. 휴게실. 게송.
두음법칙: 어두에 ‘녀뇨뉴니’가 올 때 ‘여요유이’로 적는다. 다만, 모음이나 ‘ㄴ’뒤의 렬,률은 ‘열,율’로 적는다. 연간, 남녀. 정답률. 백분율.
°조사의 띄어쓰기
조사는 앞에 오는 말에 붙여 적어야. 밖에, 처럼-->공부밖에, 엄마처럼. 교문에서처럼.
- 이는 초급수준부터 인지하게 해야 한다.
°의존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의 띄어쓰기
것. 수. 바. 지 등 의존명사와. 개. 마리. 켤레 등 수를 세는 단위성 의존명사는 띄여 쓴다.
예: 온 지, 사과 한 개. 만 단위로 띄어 쓴다. 오십구만 사천원. 겸, 내지. 및 도 마찬가지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보조용언은 본용언과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쓰는 것도 허용한다.
그러나 ‘달려들다’와 같이 앞말이 함성동사어거나 앞말에 조사가 붙는 경우에는 띄어 쓰도록 한다. ‘달려들어 버렸다.’ ‘올 듯도 하다‘
°고유명사 및 전문용어의 띄어쓰기
성과 이름은 붙여 쓰고, 직함이나 호칭명 등은 띄어 쓴다. 김진호. 수잔 씨.
°혼동하기 쉬운 규정들
전화할게. 좋을꼬?
지난일 회상: 더, 던으로- 춥더라. 깊던 물이. 좋던가? 잘하던데! 놀랐던지 몰라.
선택의 의미: -든지로 한다. - 먹든지 말든지.
끝
'학술.논문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희곡론 2014 (0) | 2014.11.17 |
---|---|
성.사랑.사회 -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0) | 2014.11.15 |
국문학연습-한국문학사 속에서의 사랑. 죽음과 여성의식 분석 (0) | 2014.11.14 |
한국어 교육론- 교육과정의 구성요인, 개발절차 및 구체적인 과정 (0) | 2014.11.14 |
언어와 의미 2014 (0) | 201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