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해석 당시삼백수

113. 過香積寺 / 王維

甘冥堂 2024. 6. 18. 23:04

113. 過香積寺 / 王維

향적사를 지나며

 

不知香積寺 (부지향적사) 향적사가 어디인지 알지 못하여

數里入雲峰 (수리입운봉) 몇 리를 구름 낀 봉우리 속으로 들어갔네.

古木無人徑 (고복무인경) 고목 숲엔 오솔길도 없는데

深山何處鐘 (심산하처종) 깊은 산 어디선가 들리는 종소리,

泉聲咽危石 (천성열위석) 샘물 소리는 우뚝 솟은 바위에서 흐느끼고

日色冷青松 (일색냉청송) 햇빛은 푸른 소나무를 싸늘하게 비춘다.

薄暮空潭曲 (박모공담곡) 해질녘 인적 없는 못 굽이진 곳에서

安禪制毒龍 (안선제독룡) 좌선하며 망령된 생각(독룡)을 누르리.

 

 

이 시는 왕유가 향적사에 유람한 느낌을 쓴 것이다.

香積寺(향적사)섬서성 장안현 산중에 그 유적지가 있다.

危石(위석)높아서 험준한 산석. 이 구는 본래 孔稚珪<北山移文>石泉咽而下愴(석천인이하창)" 에 있다.

()목이 메도록 흐느껴 울다. 샘물이 암석에 부딪쳐 소리를 내며 흐르는 것을 가리킨다.

潭曲(담곡)못의 굽이진 곳. 숨어 피하는 곳.

安禪(안선)불가의 말. 불도들은 좌선하며, 텅 비고 깨끗하게 하나를 지켜 어느 경지에 이른다.

毒龍(독룡)사람 마음속에 있는 망령된 생각을 비유하는데 사용된다.

 

 

해설이 시는 유람하며 쓴 시다. 주요한 것은 경물의 묘사에 있다.

시제는 산사에 있으나 결코 정면으로 묘사하지 않고, 그 환경을 측면에서 쓰고 산사가 깊은 곳에 있음을 표현했다.

雲峰 古木 深山 危石 青松 空潭 . 글자마다 사원의 신분에 맞는다.

마지막 구절에 이르러, 깊은 소는 이미 텅 비어 있다고 한 것은,

<涅槃經(열반경)>에 설한 바 있는 그 성질이 暴烈(폭렬)한 독룡이 이미 制服(제복)되었다는 것을 상상하게 하고,

스님의 망령된 생각이 이미 억제되고 복속되었음을 비유하여, 의 이치의 높고 깊음을 느끼게 한다.

 

시 전편에 寺院을 그리지는 않았으나, 사원은 이미 그 안에 있다.

구도가 기묘하고 정련된 글자가 정교하다.

泉聲咽危石, 日色冷青松" 역대로 이름을 날린 정련된 글의 전범이다.

'새로운 해석 당시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5. 漢江臨眺 / 王維  (0) 2024.06.19
114. 送梓州李使君 / 王維  (0) 2024.06.19
112. 酬張少府 / 王維  (0) 2024.06.18
111. 終南山 / 王維  (0) 2024.06.18
110. 歸嵩山作 / 王維  (1)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