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 사군자 24

군자 문인화에 많이쓰는 화제모음

군자 문인화에 많이쓰는 화제모음 1.매화 2.난초 3.국화 4.대나무 5.목단 6.목련 7.연꽃 8.파초 9.포도 10.소나무 11.감 12.비파 13.동백 14.수선화 15.조롱박 16.장미 17.진달래 18.석류 19.복숭아 20.물고기 21.백로 22.등나무 23.수세미 1. 매 화 ⓵梅花 늙은 등걸 성글고 거친 가지 꽃도 드문드문 여기하나 저기 둘씩 허울 다 털어버리고 남은 것만 남은 듯 (曺雲선생시/古梅) ⓶玉盆에 심근 梅花 柯枝 것거내니 곳도 됴커니와 暗香이 더욱죠타 두어라 것근 곳이 릴줄이시랴. ⓷半窓明月數株梅(반창명월수주매):반쯤 열린 창에는 밝은 달이 비치고 몇 그루 매화사 피어있다. ⓸竹裏梅花淡泊香(죽리매화담박향):대나무 속에 핀 매화는 담박 한 향기가 있다 ⓹獨有梅花白(독유매화백):..

서예 사군자 2023.01.15

詠黃白二菊

詠黃白二菊 /高敬命 正色黃爲貴 (정색황위귀) 전통색인 황국화만 귀하다고 여기지만 天姿白亦奇 (천자백역기) 하늘 내린 백국화도 진기하고 특별하네 世人看自別 (세인간자별) 세인들은 처음부터 구별하여 보지마는 均是傲霜枝 (균시오상지) 서릿발에 꿋꿋한 건 한결같이 똑 같다네 자체 빛깔인 황색을 귀하게 여기지만 타고난 모습 흰 빛도 기이하구나. 사람들은 보고서 구별할지라도 모두 서릿발 속에서도 굴하지 않는 가지라네. 여기서 노란 국화는 양반 사회지도층. 흰 국화는 백성이나 피지배층. 서릿발은 임진왜란과 같은 국난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시인 고경명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다. 나라에 어려움이 닥치면 양반이나 평민이나 다 같이 굳센 마음으로 국난극복을 위해 충성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닐까?

서예 사군자 2022.12.16

사군자

매화·난초·국화·대나무 등 네 가지 식물을 일컫는 말로 고결함을 상징하는 문인화의 화제. 매화는 이른 봄의 추위를 무릅쓰고 제일 먼저 꽃을 피운다. 난초는 깊은 산중에서 은은한 향기를 멀리까지 퍼뜨린다. 국화는 늦은 가을에 첫 추위를 이겨내며 핀다. 대나무는 모든 식물의 잎이 떨어진 추운 겨울에도 푸른 잎을 계속 유지한다. 각 식물 특유의 장점을 君子, 즉 德과 학식을 갖춘 사람의 인품에 비유하여 사군자라고 부른다. 사군자라는 총칭이 생긴 시기는 확실하지 않으나 명대(明代)에 이르러서이다. 그 가운데 대나무가 ≪시경 詩經≫에 나타난 것을 비롯하여 그림의 소재로도 제일 먼저 기록되었다. 매·난·국은 화조화(花鳥畫)의 일부로 발달하기 시작하다가 북송(北宋) 때 문인화의 이론과 수묵화의 발달과 더불어 차츰 문..

서예 사군자 2022.11.14

四句書題

四句書題(사구서제) 家貧樂道(가빈락도) 가난함을 편안해 하며 도 닦는 것을 즐거워 함. 家傳忠孝(가전충효) 집에 충성과 효도를 전한다. 剛健中正(강건중정) 강하고 건장하여 중심이 바르다. 岡談彼短(강담피단)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라. 江山如畵(강산여화) 강산이 그림과 같이 아름답다. 江山淸和(강산청화) 강과 산이 맑고 조화롭다. 改過不吝(개과불인) 허물을 고치는데 인색하지 않다. 改過遷善(개과천선) 허물을 고쳐 착하게 됨. 居安思危(거안사위) 편안히 살 때 위타함을 생각해야 한다. 居必擇隣(거필택린) 사는데 반드시 이웃을 가린다. 見利思義(견리사의) 이를 보거든 의를 생각하라. 堅持雅操(견지아조) 굳게 맑은 지조를 잡고 있다. 見賢思齊(견현사제) 어진 이를 보거든 가지런할 것을 생각하라. 經國濟民(경국제..

서예 사군자 2022.09.25

3. 서예심법

3. 서예심법 ◎ 의선필후(意先筆後) 운필을 할 때 붓 보다 뜻이 먼저 가야 한다는 뜻으로 미리 점획과 결자를 마음속으로 결정하여 함을 말함. 의재필선(意在筆先) 또는 의재필전(意在筆前)이라고도 함. ◎ 자거심후(字居心後) 글자는 마음이 결정하고 난 다음 이루어져야 한다는 뜻으로 의선필후와 같은 의미임. 낙필할 때 붓의 기점을 얻는다는 것은 작자하기 전에 붓을 들어 허공에서 행보를 시작함에 뜻이 붓의 앞에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물론 이 때 결자와 필의까지 결정되어있어야 한다. 구상이 낙필에 앞서야 필의를 구사할 수가 있다. ◎ 득지우심 응지우수(得之于心 應之于手) 필법은 마음으로 터득하여 손으로 응하게 한다는 뜻으로 마음으로 필법을 터득하는 것을 중시한 말임. ◎ 임서시 유의사항 1. 법첩을 자세하게 ..

서예 사군자 2022.09.24

용필

2. 용필 ◎ 침착통쾌(沈着痛快) 침착통쾌는 용필법을 말한다. 글자를 쓰는 과정에서 행필은 침착하고 안온하나 더디고 막히지 않아야 하고, 상쾌하나 나부끼고 매끄럽지 않도록 함을 말한다. 침착과 통쾌는 서로 대립하는 필법이지만 뛰어난 서예가는 자연스럽게 이것들을 통일시켜 필력은 굳세고 필세는 유창하면서, 웅혼하고 장엄한 가운데 통쾌하게 신채가 날아오르는 작품을 표현한다. 침착 통쾌가 용필법이지만 용심법(用心法)이기도 하다. 붓을 잡고 서사를 할 때 침착 통쾌한 마음이 충만하여야 용필이 이에 응하고, 그런 용필이 있고 나서야 이에 응하는 필획과 글자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사를 할 때는 잡념이 없이 오직 침착 통쾌한 정신의 삼매경에 도달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서예가 예술 창작이지만 심성을 수련하는..

서예 사군자 2022.09.24

서법비결 1

서법비결 1. 점획 및 결자 ◎ 곡이유직체(曲而有直體) 필획이 곡선이면서도 곧은 형체가 있어야 함. ◎ 직이유곡치(直而有曲致) 필획이 직선이면서도 굽은 필치가 있어야 함. ◎ 인우참치(鱗羽參差) 점획이 순서대로 엮어서 일률적으로 가지런하고 평평함이 없이 고기의 비늘과 새의 깃과 같이 들쭉날쭉하면서도 균형을 이루는 것. ◎ 밀불투풍 소능주마(密不透風 疎能走馬) 결자는 균등하고 평정해야할 뿐만 아니라 또한 기울고 치우치고 성글고 조밀한 변화가 있어서

서예 사군자 2022.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