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 그리고 늦깍기 공부

短歌行 - 橫槊賦詩-달은 밝아 별은 드문데, 까막까치 남으로 날아가네

甘冥堂 2011. 10. 13. 19:56

 

短歌行(단가행) / 曹操

 

對酒當歌 人生幾何 (대주당가 인생기하)

                                                             술에 대해 노래나 하세  인생은 덧없구나.

譬如朝露 去日苦多 (비여조로 거일고다)

                                                             비유하면 아침 이슬  지난날이 괴로워라.

慨當以慷 憂思難忘 (개당이강 우사난망)

                                                             슬프고 처량하다  시름하여 못잊겠다.

何以解憂 唯有杜康 (하이해우 유유두강)

                                                             무엇으로 시름 풀랴  다만 이것 술이로다.

靑靑子衿 悠悠我心 (청청자금 유유아심)

                                                             칭칭한 자네 옷깃  길고 긴 내 마음.

呦呦鹿鳴 食野之苹 (유유녹명 식야지평)

                                                             화하게 우는 사슴  들풀을 먹는구나.

我有嘉賓 鼓瑟吹笙 (아유가빈 고슬취생)

                                                            아름다운 손님 왔네  풍악으로 맞이한다.

皎皎如月 何時可掇 (교교여월 하시가철)

                                                            교교한 밝은 달은  어느 땐들 안 비추랴.

憂從中來 不可斷絶 (우종중래 불가단절)

                                                            마음속 오는 설움  끊으려야 아니 되네.

越陌度阡 枉用相存 (월맥도천 왕용상존)

                                                            천만리 헤어지나  마음만은 서로 있다.

契闊談曣 心念舊恩 (계활담연 심념구은)

                                                            오랜만에 잔치하며  옛 은정을 생각한다.

月明星希 烏鵲南飛 (월명성희 오작남비)

                                                            달은 밝고 별 드문데  까마귀 남으로 나네

繞樹三匝 何枝可依 (요수삼잡 하지가의)

                                                            나무를 세 번이나 둘러 돌아보니  의지할 가지 없다.

山不厭高 海不厭深 (산불염고 해불염심)

                                청산은 높을수록 높은 것을 싫다 않고, 옥수는 깊을수록 깊은 것을 싫다 않네.

周公吐哺 天下歸心. (주공토포 천하귀심)

                                  주공은 어진말 들으려 밥먹다 세번이나 일어났네. 이리하여 

                                  천하 인심 그 한테로 돌아갔네.

 

 

삼국지의 영웅 조조(155~220).  장차 적벽대전을 앞두고 읊은 시다.

 

이때, 날은 저물고 동산엔 달이 휘영청 솟아올랐다. 마치 대낮같이 밝았다.

홀연 까마귀 한 마리가 훤한 달빛을 바라보고 까옥까옥 울면서 남쪽 하늘로 날아간다.

조조는 취했다. 삭(槊:크고 긴 창)을 번쩍들어 뱃머리에 세우고 술을 강에 끼얹어 奠을 드린 후에

다시  큰잔에 술을 가득부어 연거푸 석 잔을 마신 후에 큰 창을 가로 잡고 즉흥 노래를 부른다.

유명한 橫槊賦詩 이다. 영웅다운 기개가 아닐 수 없다.

 

* 일곱번째의  한구절이 여기서는 빠진것 같음.

但爲君故 沈吟至今 (단위군고 침음지금)

다만 그대 때문에 나직이 읊조리며 오늘에 이르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