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훈민정음이란?
‘훈민정음’이라고 불리는 대상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1443년(세종25)에 세종이 창제한 문자의 이름 곧 ‘한글’을 가리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이 새로운 문자에 대하여 해설을 붙여서 백성들에게 반포한 책의 이름이다.
새로운 문자 체계인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로서의 ‘훈민정음’은 1446년(세종28)에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는데, 한문으로 쓰여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해례본’이라고도 한다. 국보 제 70호이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2. 체언과 용언의 비자동적 교체
체언의 비자동적 교체
|
체언 종류 |
단독형 |
역동 보조사 |
공동격 조사 |
속격 조사 |
주격 조사 |
대격 조사 |
특이 처격 |
구격 조사 |
주제 보조사 |
-도 |
-와/과 |
/의/ㅅ |
-이 |
-/을 |
-/의 |
-로/으로 |
-/은 | |||
1 |
나모~남ㄱ |
나모 |
나모도 |
나모와 |
나못 |
남기 |
남 |
남 |
남로 |
남 |
2 |
~놀ㅇ |
|
도 |
와 |
|
놀이 |
놀 |
|
|
놀 |
3 |
~ㄹ |
|
도 |
와 |
|
리 |
|
|
|
|
4 |
아~ㅇ |
아 |
아도 |
아와 |
아 |
이 |
|
|
|
|
용언의 비자동적 교체
|
용언 |
연결어미 |
명사형 |
오+ 관형형 |
연결어미 |
|
감탄종지 |
|
-아/어 |
-옴/움 |
-온/운 |
-며/으며 |
샤/으샤 |
-오라 |
게/고/디 | ||
1 |
시므-~심ㄱ- |
심거 |
심굼 |
심군 |
심그며 |
심그샤 |
심고라 |
시므게 |
2 |
-~ㅇ- |
아 |
옴 |
온 |
며 |
샤 |
오라 |
게 |
3 |
모-~몰ㄹ- |
몰라 |
몰롬 |
몰론 |
몰며 |
몰샤 |
몰로라 |
모게 |
4 |
-~ㅇ- |
아 |
옴 |
온 |
며 |
샤 |
오라 |
게 |
5 |
니르-~니를- |
|
|
|
|
|
|
|
(고문자를 쓸 줄 몰라 그냥 올립니다. 필요하신분은 수정해서 읽으셔야 합니다. )
3. 의미변화의 예
☀교재 180p 어엿비: 불쌍히. 가엾게. 어엿브(憐)+이(부사파생접미사); ‘어엿브-’는 중세국어에서 ‘가엽다’는 뜻이나, 후대에
‘예쁘다’는 뜻으로 의미 변화.
☀교재 179p 어릴씨라 참조하세요
愚는 어릴 씨라: 愚는 어린 것이다.
어리-(어리석다)+-ㄹ(관형사형어미)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다, 종결어미)
☞ ‘어리-’는 나이가 적다(少)는 것과 어리석다(愚)는 뜻을 동시에 지녔었다. 그러던 것이 나이가 적다는 뜻만을 가지게 되고
‘愚’의 뜻은 ‘어리석다’가 담당하게 되었다.
의미 변화 의미의 축소: 즁(유정물 전체, 불교 용어) → 짐승 // 놈, 계집 → 卑稱 의미의 확대: 영감(堂上官, 正三品 이상 從二品 이하) → 남자 노인 // 사장님, 선생님 의미의 변화: 어엿브다(가엾다) > 예쁘다, 온(百) → 全 |
4. 형태소 분석, 현대어 번역
1)製ㄴ 글 지ᅟᅳᆯ씨니: 製는 글 짓는다는 것이니
글 지-+-ㄹ(관형사어미)√ ㅅ(형식명사/의존명사)+이(계사/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2)御製ㄴ 님금 지으샨 그리라: 御製는 임금께서 지으신 글이다.
지으샨 그리라: 지으신 글이다.
시으샨: 지-+으시-(주체존대선어말어미)+-오-(의도법어미)+-ㄴ(관형사형어미)√ 글+이(계사/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3)·이런 젼··로 어·린 百·姓··이 니르·고·져 · ·배 이·셔·도
이런 젼로 어린 百姓이 니르고져 배 이셔도: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이런: 이렇-+-ㄴ(관형사형 어미)
어리(어리다)+ㄴ(관형사형어미) 백성+이(주격조사) 니르(말하다)+고져(연결어미)
: -(하다)+-오-(의도법의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ㆆ(以影補來, 이영보래)
배: 바(의존명사)+ㅣ(조사)
이셔도: 이시-(+모음어미 ~ 잇-+자음어미, 有)+-어도(연결어미, 가정, 양보)
☞ 「以影補來」式 入聲末音表記: ‘ㄹ + ᅙ’ 방식을 취하여 입성의 ‘ㄷ’음이 ‘ㄹ’로 변화한 것을, ‘ᅙ’음을 보충하여 ‘ㄷ’음에 가깝게
나타내 보이려고 한 것이다.
4)어느다 ㄹㅸ리 : 어찌 다 사뢰겠습니까?(사뢰리오?)어느(어찌) (부사). 다
ㅸ리: 사뢰겠습니까? : +(ㅇ)리; ‘-(ㅇ)리’는 의문형 종결어미의(수사의문)
‘-리잇가/리잇고’의 생략형.
5)너기ㅿㅸ쇼셔: 여기십시오; 너기+ㅿ+(ㅇ)쇼셔; ‘ㅿ-’은 겸양법(또는 객체존대법)선어말어미.
-쇼셔‘는 ’ㅎ쇼셔’체의 명령형 어미인데, 현대국어에서는 의고적 표현인 ‘-소서’로 남아 있음.
** 존대법
주체존대: 서술어의 주어가 ? -시-
객체존대: 대상이 누구냐? ㅅ, ㅿ, ㅈ.
상대존대: 듣는 사람이 누구냐?
해라. 해 하게. 하오. 해요. 합쇼.
문제3. 의미변화의 예
p.179. 어릴씨라: 어리석다는 것이다. 어리(愚)=ㄹ씨라; ‘어리-’는 중세국어에서 ‘어리석다’는
뜻이었으나, 근대국어 이후 ‘(나이가)어리다’는 뜻으로 의미가 변화하였음.
p.180. 어엿비: 불쌍히, 가엾게: 어엿브(憐)+이(부사파생접미사); ‘어엿브-’는 중세국어에서
‘가엾다’는 뜻이나, 후대에 ‘예쁘다’는 뜻으로 의미 변화.
문제4. 형태소 분석/현대어 번역
1)製ㄴ 글 지ᅟᅳᆯ씨니: 製는 글 짓는다는 것이니
글 지-+-ㄹ(관형사어미)√ ㅅ(형식명사/의존명사)+이(계사/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2)御製ㄴ 님금 지으샨 그리라: 御製는 임금께서 지으신 글이다.
지으샨 그리라: 지으신 글이다.
시으샨: 지-+으시-(주체존대선어말어미)+-오-(의도법어미)+-ㄴ(관형사형어미)√ 글+이(계사/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3)이런 젼ㅊ로 어린 백성이 니르고져 ㅭ 배 이셔도.: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이런(이렇)-+ㄴ(관형사형어미) 젼ㅊ(까닭)+?
어리(어리다)+ㄴ(관형사형어미) 백성+이(주격조사) 니르(말하다)+고져(연결어미)
ㅎ(하다)+오(의도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ㆆ(以影報來) 바(의존명사)+ㅣ(주격조사)
이시(있다)+어도(연결어미)
4)어느다 ㄹㅸ리 : 어찌 다 사뢰겠습니까?(사뢰리오?)어느(어찌) (부사). 다
ㅸ리: 사뢰겠습니까? : +(ㅇ)리; ‘-(ㅇ)리’는 의문형 종결어미의(수사의문)
‘-리잇가/리잇고’의 생략형.
5)너기ㅿㅸ쇼셔: 여기십시오; 너기+ㅿ+(ㅇ)쇼셔; ‘ㅿ-’은 겸양법(또는 객체존대법)선어말어미.
-쇼셔‘는 ’ㅎ쇼셔’체의 명령형 어미인데, 현대국어에서는 의고적 표현인 ‘-소서’로 남아 있음.
** 존대법
주체존대: 서술어의 주어가 ? -시-
객체존대: 대상이 누구냐? ㅅ, ㅿ, ㅈ.
상대존대: 듣는 사람이 누구냐?
해라. 해 하게. 하오. 해요. 합쇼.
6)세존하 마방부인인 엇던 인연으로 여래 나ㅆㅸ시니잇고.
-->세존이시어 마야부인께서 어떤 인연으로 여래를 나으셨읍니까?
잇 : 상대높임--> 세존
시 : 주체높임--> 마야부인
-ㅅ : 객체높임--> 여래
문제5. 기타
1)공손급 p.124
ㅎ쇼셔 체: ㆁㅣ다.(-습니다. -습니까?) 예) 나모 아래 무두이다. 찬탄 ㅎ시ㄴ니잇고
ㅎ야쎠 체:(-아쎠) 다. ᅟᅵᆺ가/ᅟᅵᆺ고. - 예) 몰라 ㅎ댕다. 내 보아켜 ㅎㄴ다 쎠
ㅎ라 체: 다. 가/고. -ㄴ다. 라. 예) 소리 ㅽ 듣노라. 네 기집 그러 가던다. 엇뎨ㅎ료
2)어미
-선어말어미- 시재
-어말어미 –종결어미 - 평서 의문 청유 명령. // 해라 해 하게 등
-비종결어미-연결어미-대등적 연결어미
종속적 연결어미
-전성어미-부사형 전성어미
명사형 전성어미
관계사형 전성어미
3)품사
관계언 |
조사 |
서술어와의 관계. 명사와의관계 |
용언 |
동사. 형용사 |
서술어 기능 |
체언 |
명사. 대명사. 수사 |
주어. 목적어 |
수식어 |
부사, 관형사 |
서술어 수식/ 체언 수식 |
독립언 |
감탄사 |
대답. |
4)의도법 어미
p.92/135
1.주어가 1인칭일 경우 사용됨: 인칭법. 의도법
2.수식명사가 관형절 안의 목적어나 부사어일 경우 사용됨(대상활용법)
ㄴ+오=노. 더+오=다. 거+오=과(혹은 과). 시+오=샤. 이+오=이로.
(1)선행음절이 아/어, 오/우 인 경우 : 0(영형태소)
(2) ㅇ/으 인 경우 : ㅇ/으가 탈락함.
(3) ‘이’ 인 경우 : 합음이 되어 ‘요/유’로 실현.
(4) ‘ㅣ’ 인 경우 : 요/유 로 됨.
(5)계사 뒤에서는 ‘-로’ 교체
(6)선어말어미 ‘ㄴ. 더. 거’ 와, 어미 ‘ㅎ-’와 통합되면 ‘노, 다, 거, 호’가 됨.
1)製ㄴ 글 지ᅟᅳᆯ씨니: 製는 글 짓는다는 것이니
글 지-+-ㄹ(관형사어미)√ ㅅ(형식명사/의존명사)+이(계사/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2)御製ㄴ 님금 지으샨 그리라: 御製는 임금께서 지으신 글이다.
지으샨 그리라: 지으신 글이다.
시으샨: 지-+으시-(주체존대선어말어미)+-오-(의도법어미)+-ㄴ(관형사형어미)√ 글+이(계사/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3)이런 젼ㅊ로 어린 백성이 니르고져 ㅭ 배 이셔도.: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이런(이렇)-+ㄴ(관형사형어미) 젼ㅊ(까닭)+?
어리(어리다)+ㄴ(관형사형어미) 백성+이(주격조사) 니르(말하다)+고져(연결어미)
ㅎ(하다)+오(의도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ㆆ(以影報來) 바(의존명사)+ㅣ(주격조사)
이시(있다)+어도(연결어미)
4)어느다 ㄹㅸ리 : 어찌 다 사뢰겠습니까?(사뢰리오?)어느(어찌) (부사). 다
ㅸ리: 사뢰겠습니까? : +(ㅇ)리; ‘-(ㅇ)리’는 의문형 종결어미의(수사의문)
‘-리잇가/리잇고’의 생략형.
5)너기ㅿㅸ쇼셔: 여기십시오; 너기+ㅿ+(ㅇ)쇼셔; ‘ㅿ-’은 겸양법(또는 객체존대법)선어말어미.
-쇼셔‘는 ’ㅎ쇼셔’체의 명령형 어미인데, 현대국어에서는 의고적 표현인 ‘-소서’로 남아 있음.
** 존대법
주체존대: 서술어의 주어가 ? -시-
객체존대: 대상이 누구냐? ㅅ, ㅿ, ㅈ.
상대존대: 듣는 사람이 누구냐?
해라. 해 하게. 하오. 해요. 합쇼.
'학술.논문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과 그 교육적 시사점 (0) | 2013.10.30 |
---|---|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 (0) | 2013.10.27 |
문학사 서술에서 고려해야 할 외재적 요소와 1930년대 중후반의 문학 (0) | 2013.09.05 |
<금오신화>의 고소설에서의 위치와 박지원의 人物性同異論 (0) | 2013.09.05 |
로마 건국신화 - 아이네이스 (0) | 2013.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