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화와 동서양
<4장> 바이마르공화국과 파국을 향한 독일의 길
(바이마르공화국 파국은 2차세계대전으로 이어짐)
1. 바이마르공화국 성립 이전 독일의 정치적 상황
2. 바이마르공화국의 특징과 붕괴 요소(국민 공감대)
3. 세계대공황과 베르사유 조약 등 국제적사건이 바이마르공화국에 미친 영향
4. 나치가 정치적 주도권을 갖게 되는 과정
5. 독일만의 ‘특수한 길‘ 역사관
6. 주요용어 : 특수한 길, 비스마르크, 자유주의 부르주아지, 융커, 사회민주당, 슈트레제만, 베르사유조약, 힌덴부르크, 민족사회주의
7. 연표 :
1914년 - 1차 세계대전 (4년간)
1918년11월 9일 - 황제의 퇴위, 공화국 선포 (혁명적 봉기가 독일 전역으로 확산, 독일제국 붕괴)
1919년 6월 28일 - 베르사유 평화조약 체결
1919년 8월 21일 - 바이마르공화국 출범 (독일 최초의 공화국 출범)
1923년 1월 11일 - 프랑스와 벨기에 군대의 루르지방 점령 시작
1930년 3월 30일 - 하인리히 브뤼닝의 대연정 정부 출범 (의회민주주의 붕괴의 시작)
1933년 1월 30일 - 히틀러수상 임명 (나치당이 합법적으로 권력 인수)
<5장> 1945년 이후 독일의 민주적 정치문화 발전과 민족문제(평범한 민족을 향한 길?)
1. 2차세계대전 이후 연합군 점령기동안 동일에 나타난 변화
2. 전후 독일의 서구사회 편입 시도에 영향을 미친 요소
3. 냉전과 분단, 탈냉전과 통일의 일련의 사건들이 독일민족 개념에 미친 변화
4. 민족주의와 탈민족주의에 대한 논의가 전후 독일에서 전개되는 과정
5. 아데나워 집권기 독일이 가입한 국제기구
6. 주요용어 : ‘0시’, 연합군 점령, 마셜플랜, 독일분단, 베를린 봉쇄, 독일연방공화국(서독),
독일민주공화국(동독), 기독교민주연합, 할슈타인독트린, 역사가논쟁, 탈민족
7. 연표 :
1939년 ~ 1945년 - 2차 세계대전
1945년 6월 5일 - 독일을 4개 점령지구로 분할(미,영,프랑스,소련 4개연합국 독일분할 점령)
1949년 5월 23일 - 기본법 공표와 독일연방공화국(서독,BDR) 건설
1949년 10월 7일 - 독일민주공화국(동독,DDR)건설
1961년 8월 13일 - 동독의 베를린장벽 구축 시작(국경폐쇄, 분단체제가 확고해짐)
1969년 10월 22일 - 빌리브란트 사민당(SPD) 정부 구성(변화하는 당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줬 던 사민당이 처음으로 다수당이 됨.)
1982년 10월 1일 - 헬무트 콜의 기민련(CDU) 정부 구성(민족적, 전통적 가치에 대한 요구가 거론되기 시작함.)
1989년 - 베를린장벽 붕괴
1990년 - 독일 통일
6장 미국의 다문화주의
1. 미국의 다문화주의가 시작된 과정
2. 문화 융화주의와 문화 다원주의의 개념과 차이점
3. 미국 다문화주의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던 요소
4. 현재 미국사회 내에 잔존하는 인종갈등문제
5. 주요용어 : 다문화주의, 와스프, 반 이민운동, 토착주의운동, 도가니문화, 문화융화주의,
샐러드접시, 문화 다원주의, 흑백 갈등
6. 연표 :
1776년 - 미국 독립 선언(영국의 식민지였던 13개 주의 대표 독립선언문 발표)
1816년 - 아일랜드 이민 시작과 반아일랜드 운동 발발
1830년 - 토착주의(nativism)운동 시작 - 기존 와스프들은 이민자들이 미국적 가치를 훼손한 다며 문화적 역공인 ‘토착주의’운동 감행.
1861년 ~ 1865년 - 미국 남북전쟁
1863년 - 노예해방선언 (링컨, 정식으로 흑인노예 해방선언 공포)
1882년 - 중국인이민금지법 제정(미국 역사상 최초로 특정 민족 전체에 대한 노동이민금지법 통과)
1864년 - 민권법제정 (흑인을 포함 소수민족 법 앞에서 진정한 자유와 권리를 누릴수있게 됨)
7장 탈냉전 시대 미국의 외교정책
1. 탈냉전 직후 클린턴 행정부가 채택한 ‘선택적 개입주의’ 외교정책과 국제기구
2. 부시 정권 9.11테러 전후의 외교정책의 변화
3. 오바마 정권의 ‘다자주의 외교’의 성격
4.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가 미국 국민의 지지를 얻은 이유
5. 주요용어 : 탈냉전, 확대(enlargement), 선택적 개입주의, 9.11테러, 일방주의 외교,
다자주의외교, 스마트외교, 미국우선주의, 신고립주의와 신개입주의
6. 연표 :
1929년 - 세계대공황
1964년~1975년 - 베트남 전쟁
1991년 - 소련연방 붕괴
1995년 - 보스니아 평화협정(클린턴이 인도주의적 개입을 통해 평화협정을 성사시킴)
2001년 9월 11일 - 9.11테러 (뉴욕과 워싱턴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테러 발생,
조지W부시‘테러와의 전쟁’ 선포)
2001년 - 미국/ 나토의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탈레반 정권의 붕괴
2007년 -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 합의, 2월13일 부시행정부, 6자회담 합의 도출
(한국, 북한,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2011년 - 이라크주둔 미군 철수 완료 (미군특수부대, 오사마 빈 라덴 사살)
2013년 - 이란/미국 우호적인 관계로 전환 (오바마와 로하니 이란대통령과의 전화 통화 성사)
2016년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8장 소련의 근대화와 스탈린
1. 소련의 근대화에서 공업화가 갖는 의미, 신경제정책
2. 스탈린 집권 과정을 공업화 계획과 관련지어 파악
3. 스탈린 시기 경제개발5개년계획을 통한 소련의 공업화 단계별 과정
4. 소련 공업화의 성과와 한계
5. 러시아혁명과 볼세비키 정권의 수립
6. 주요용어 : 사회주의, 볼세비키, 공업화, 곡물조달의 위기, 신경제정책(네프), 네프맨,
스탈린, 국민경제최고회의, 국가계획위원회, 5개년 계획, 대숙청, 계획경제, 1인 권력체제
7. 연표 :
1917년 10월 - 러시아 소비에트연방사회주의공화국 선포(레닌이 주도하는 볼세비키의 무장봉 기를 통해 혁명 성공)
1918년 - 내전발발 및 전시공산주의(War Communism)체제 등장(체코슬로바키아군의 반란으 로 시작돼 서방 자본주의 국가들과
일본의 공격 등으로 이어짐)
1921년 3월 - 신경제정책(NEP) 도입 (기간산업 등 핵심부문들은 국유화의 틀 유지, 자본주의 적 방식 부분적으로 혼용)
1928~1941년 - 5개년 계획 추진(소련의 경제 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국가주도의 계획으로
제1차(1928-32년),제2차(1933-37년)제3차91938년-41년)로 추진)
1936년 12월 - 스탈린 헌법 채택 (제8차 소비에트 대회에서 채택, 소련사회주의 체제의 확립, 스탈린 1인 독재체제 수립)
1941년 6월 - 독일의 소련 침공(독일은 소련과의 불가침조약을 파기하고 소련 침공)
9장 탈 냉전기 러시아의 체제 전환
1.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소련 해체 과정의 연관성과 실패원인
2. 러시아연방이 시도한 시장경제로의 전환 과정
3. 체제 전환 과정에서 러시아가 겪은 정치, 경제, 사회적 갈등 파악 및 현재 과제
4. 소련에서 러시아연방으로의 체제 전환 경험이 갖는 인류사적 의미
5. 러시아와 중국의 체제 전환 과정 비교
6. 주요용어 ; 고르바초프, 페레스트로이카(재건), 글라스노스트(개방), 브레즈네프 독트린,
옐친, 독립국가연합, 소련해체, 러시아 연방, 충격요법, 체첸전쟁, 주가노프,
푸틴, 바우처 사유화(대중 사유화), 노멘클라투라(특권층), 올리가르히(신흥재벌)
7. 연표 :
1985년 3월 - 고르바초프, 총서기로 선출(개혁세력 등장의 신호)
1991년 6월 - 옐친, 러시아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강력한 정치적 입지 구축)
1991년 8월 - 공산당 보수파 쿠데타 실패(옐친 보수파 쿠데타지지로 민주주의 상징으로 부상)
1991년 12월 - 소련의 해체 및 러시아 연방 등장
1993년 10월 - 옐친대통령 명령으로 의회건물 포격(군대동원 국회의사당 포격 뒤 강제점령)
1995년 -2차 사유화 시작(심각한 재정부족과 선거자금 고갈로 국영기업 추가 민영화 추진)
1998년 8월 - 러시아, 외채 지불 중단 선언(불완전한 체제전환이 국가부도사태로 귀결)
1999년 - 정보기관수장 푸틴 차기총리로 임명→대통령권한대행지명→옐친 사임
10장 스웨덴의 중립정책과 홀로코스트
1. 스웨덴 중립정책의 기원과 발전상(2차세계대전 당시 중립국:스위스,스페인,아일랜드,스웨덴)
2. 2차 세계대전에서 스웨덴 중립정책의 실질적 모습
3. 스웨덴 정부의 유대인에 대한 태도 변화 과정
4. 스웨덴의 유대인 보호를 현실주의적 측면과 인도주의적 측면
5. 주요용어 : 중립정책, 최종 해결, 엥젤, 노르웨이 유대인 강제이송, 유대인 구조, 긴급여권, 보호증, 발렌베리(스웨덴의 쉰들러)
6. 연표 :
1818년 - 칼14세의 스웨덴 중립 선언(소국으로서 국가독립을 지키기 위해 중립 선언)
1938년 - J여권 등장 (나치독일, ‘유대인도장’인 ‘J'자가 찍힌 여권 발급으로 유대인 식별이 가 능해지자, 스웨덴은 유대인 난민의 입국 통제
1942년 - 반제 회의에서 ‘유대인 문제’의 최종 해결 결정(대량 학살을 통해 유대인을 체계적 으로 절멸시키는 ‘최종 해결’ 결정
1942년 - 총리 페르알빈한손, 노르웨이유대인 수용의사 독일에 전달
1944년 - 라울 발렌베리, 부다페스트 스웨덴 공사관에 파견(라울은 보호증 발급, 협상 등을 통해 헝가리 유대인 구조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침)
1945년 - 소련군 헝가리 부다페스트 점령(헝가리 유대인 절멸 작전 종결)
11장 중국 근대 민족주의형성과 황제(皇帝)
1. 사마천‘사기’ 제일 앞부분‘오제본기’를 둔 이유와 중국 민족주의 형성과정
2. 공자기년설과 황제기년설의 기년논쟁 배경 및 학파인물(개혁파/혁명파)
3. 중국 역사에서 중화와 이적의 구별- 시대 상황에 따라 배타성과 포용성이라는 양면성을
지니며 탄력적으로 기능해 온 배경(중국 역사상 ‘황제’의 위치), 청나라/쑨원
4. 1990년대 이후 부상한 중국 민족주의가 공자와 황제를 활용한 목적과 그 한계
5. 주요용어 : 황제, 공동조상, 중국 근대 민족주의, 혈연, 황제기년설, 공자기년설, 한족,
황인종, 인종주의, 중화민족, 소수민족, 사회진화론, 황제기년 혁명파 류스페이, 공자기년 개혁파 캉유웨이
6. 연표 :
1895년 - 캉유웨이, ‘공자기년설’ 발표 (개혁파의 캉유웨이는 공자기년 주장)
1903년 - 류스페이 ‘황제기년론’ 발표 (혁명파의 류스페이, 황제탄생을 기점으로 한 황제기년 주장)
1911년 - 신해혁명(‘황제’를 한족의 배타적 조상으로 내세운 신해혁명 성공)
1912년 3월 - 위안스카이 임시대총통에 취임(위안스카이의 베이징정부 ‘중화민국임시약법’
제5조 “중화민족의 인민은 일률적으로 평등하며 종족 계급 종교에 의해 구별되지 않 는다.” 공포)
1949년 -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공자와 황제를 ‘반동’, ‘봉건잔재’의 대표로 지목)
1978년 - 덩샤오핑 복권 ( 덩샤오핑, 개혁개방 정책 추진)
12장 근대 중국의 아나키즘
1. 청말 중국 아나키즘이 소개된 과정(아나키즘의 어원)
2. ‘천의’와 ‘신세기’에 나타난 아나키즘의 차이(도쿄-천의, 파리-신세기, 국내-류스푸)
3. 신문화운동 시기 아나키즘의 형태와 그 시기 청년들이 아나키즘에 열광했던 이유
4. 아나키즘의 사상적 생명력 쇠퇴 과정(마르크스주의에 급격히 기우는 과정)
5. 주요용어 : 아나키즘, 무정부주의, 전통사상, 반강권 테러리즘, 천의, 신세기, 민성,
류스페이, 허진, 리스쩡, 스푸, 톨스토이, 크로포트킨(진리,정의,사람 간의 평등 을 위한 투쟁, 삶에서 그보다 더 아름다운 것을
당신은 찾을 수 있겠는가?“), 상호부조론, 신문화운동, 아나.볼 논쟁, 마르크스주의
6. 연표 :
1907년 - 천의, 신세기 창간 (중국 최초로 아나키즘을 체계적으로 소개)
1907년 - 도쿄에서 사회주의강습회, 아주화친회 조직 (류스페이, 중국 최초의 아나카즘 단체 ‘사회주의 강습회“ 조직 및
반제국주의 아시아 연대 ’아주화친회‘ 결성)
1911년 - 신해혁명(1912년-쑨원 대총통으로 하는 중화민국 탄생)
1913년 - 류스푸, ‘회명록’ ‘민성’ 창간 (회명학사의 기관지 ‘회명록’을 광저우에서 출판한 후 폐간 당하자, 마카오에서 ‘민성’ 출판, 그 후 폐간 당함.)
1919년 - 5.4애국운동 (1920년 초반까지 90여개 아나키즘단체와 70여종의 관련 간행물 등장)
1920~1921년 - 아나.볼 논쟁(마르크스주의자들과 아나키스트 간 전개된 논쟁)
1921년 - 중국공산당 창당(중국공산당 창당 후 아나키즘 쇠퇴 가속화)
13장 근대 중국인의 해외 인구이동
1. 시대 상황에 따른 명.청 시대 해금조치의 변화 양상
2. 글로벌한 시각에서 중국인의 동남아와 미국 이민의 배경
3. 노예제 폐지가 중국인 노동력의 해외 이동에 미친 영향
4. 해외중국인의 활동에 중국과 외국의 법적조치가 미친영향(벌링게임조약,중국인배척법안 등)
5. 주요용어 : 도시화, 인구이동, 노예제 폐지, 화교, 화공, 쿨리, 저자, 저화, 골드러시, 대륙 횡단철도, 동향조직, 신국, 벌링게임 조약,
중국인배척법안, 신이민
6. 연표 :
1371년 - 명태조, 해금(海禁)령 선포(해상봉쇄정책으로 중국인의 해외 도항 금지)
1757~1842년 - 광동무역체제 (광저우에서 공행(公行)을 통해 교역하는 것만을 허락)
1868년 - 벌링게임 조약 (중국인과 미국인의 자유로운 상호 입국 허가)
1882년 - 미국, 중국인 배척법안(Chinese Exclusion Act) 반포. (미국의회가 특정 국가의 전 체 국민에 대해 제정한 이민제한법)
1893년 - 해금령 완전 폐지(중국정부, 법적으로 ‘해금’의 완전한 폐지 선언)
1943년 - 미국, 중국인 배척방안 폐지(중국이 연합국의 일원이되면서 중국인이민금지법 폐지)
제14장 왜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좌절했을까
1. 전후 일본의 역사학가 역사수정주의
2. 1차 세계대전 이후 악화된 일본의 경제적 상황이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실패와의 연결
3. 농촌의 도시에 대한 상반된 감정이 어떤 식으로 발현되는지 설명(도시여성과 농촌여성)
4. 농촌여성과 무산정당의 만주사변에 대한 반응이 어떻게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실패와 연결 되는가
5. 고노에 신체제 등장과 실패한 원인
6. 주요용어 : 다이쇼 데모크라시, 제1차 세계대전, 정우회, 민정당, 이에노히카리, 만주사변, 국방부인회, 무산정당, 고노에 신체제, 파시즘,
대정익찬회
7. 연표 :
1912년 - 다이쇼천황즉위(다이쇼 원년) 민주주의적 개혁을 요구하는 ‘다이쇼데모크라시’ 시작
1914년 - 제1차 세계대전 발발(유럽의 공장이 멈추고 군수품 주문 등 일본 수출 급증)
1925년 - 보통선거법 공포(25세 이상 남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하는 보통선거법 제정)
1931년 - 만주사변(일본의 만주침략에 반대하는 중국인 응징 목적으로 일본 군부의 주도로 일어난 사건→데모크라시에서 파시즘으로 변화해 가는
사상 전환의 계기)
1937년 - 고노에 1차 내각 수립(수상에 취임한 고노에 후미마로, 동아협동체론과 신체제론 주 장, 노구교사건으로 중일전쟁 발발)
1940년 - 고노에 2차 내각 수립(신체제운동 전개 및 대정익찬회 발족)
1941년 - 아시아태평양전쟁 발발
제15장 일본의 상징천황제와 전후 민주주의
1. 상징천황제가 도립된 배경
2. 전후 일본의 보수세력과 진보세력의 안보문제 갈등
3. ‘55년 체제’ 수립 이후 일본의 정치적 상황의 전개
4. 냉전체제의 붕괴, 북핵문제, 중국의 부상 등 대외적 요소가 보수우경화에 미친 영향
5. 냉전체제의 붕괴 후 아시아와의 협력관계과 아키히토천황의 행보
6. 주요용어 : 천황, 평화헌법, 황실전범 개정, 상징천황제, 아키히토 천황, 비무장 중립외교, 재군비, 미일동맹, 55년 체제, 안보투쟁, 무라야마 담화, 고노 담화
7. 연표 :
1946년 - 천황 인간 선언(천황은 신이 아닌 인간임을 선언)
1947년 - 평화헌법 시행(천황을 일본의 상징으로 규정)
1951년 -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미일 안보조약 체결(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으로 일본 주권회 복, 그러나 미일 안보조약으로 일본 내 미군 주둔)
1955년 - 보수세력 통합으로 ‘55년 체제’ 출현(자유민주당 결성으로 보수일당 우위체제인 ‘55 년 체제’ 수립
1959년 - 황태자 아키히토 결혼(천황제의 대중적 기반 확대)
1993년 - ‘55년 체제’붕괴, ‘고노 담화’발표(일본군‘위안부’의 강제동원 인정, 사과)
1995년 - ‘무하야마 담화‘ 발표(전쟁범죄 인정, 사죄 담은 담화 발표)
2016년 - 아키히토 천황 생전 퇴위 표명(천황의 생전 퇴위 요청이 개헌을 노리는 보수파에 대한 공격이라는 해석 등장)
'학술.논문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철학산책 (0) | 2019.11.19 |
---|---|
성리학(性理學)과 주희(朱熹) (0) | 2019.11.19 |
전통사회와 생활문화-강원도 고성 왕곡마을 (0) | 2019.11.02 |
열린사회와 21세기- 거버넌스 사례 (0) | 2019.11.02 |
공연예술의 이해- 장한몽에 대하여 (0) | 2019.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