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寒食寄京師諸第 / 韋應物
한식날 경성의 여러 아우들에게 부친다
雨中禁火空齋冷 (우중금화공제냉) 비 내려 불기운 없는 빈 서재는 냉냉한데
江上流鶯獨坐聽 (강상유앵독좌청) 강변에 날아다니는 꾀꼬리소리 홀로 앉아 듣는다
把酒看花想諸弟 (파주간화상제제) 술을 들고 꽃을 바라보다 여러 아우들을 생각나니
杜陵寒食草青青 (두릉한식초청청) 고향 두릉의 한식날에 풀은 우거져 푸르겠지
【注釋】
⑴寒食:한식절. 민간에서는 불 피워 음식 하는 것을 금지하는 습속이 있다.
⑵空斋:텅 빈 서재
⑶流莺:울음소리가 구성진 꾀꼬리. 날아다니고 있는 꾀꼬리
⑷杜陵:서안 남쪽 교외 두릉 고원에 있으며 안에 황제 능이 있다.
【譯文】
한식에는 불을 금지하고 또 봄비까지 내리니. 텅 빈 집안은 더욱 더 냉랭하다.
홀로 앉아 강가에서 날고 있는 꾀꼬리의 낮은 노랫소리를 듣고 있다.
손에 술을 들고 몇몇 아우들을 생각하니,
이때가 고향 두릉 땅은 마땅히 방초들이 푸르른 시절이겠지.
'小笨熊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塞下曲 / 盧綸 (0) | 2020.06.16 |
---|---|
淮上喜會梁州故人 / 韋應物 (0) | 2020.06.16 |
滁州西澗 / 韋應物 (0) | 2020.06.14 |
秋夜寄丘員外 / 韋應物 (0) | 2020.06.14 |
少年行 / 令狐楚 (0) | 2020.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