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6. 長相思(其二) / 李白
못 잊어 2
其二
日色欲盡花含煙 (일색욕진화함연) 햇빛은 다하여 지려는데 꽃은 안개를 머금고
月明如素愁不眠 (월명여소수불면) 비단 같은 밝은 달빛에 수심으로 잠 못 이룬다.
趙瑟初停鳯凰柱 (조슬초정봉황주) 봉황새긴 기러기 발 슬을 타다 이제 막 멈추고
蜀琴欲奏鴛鴦弦 (촉금욕진원앙현) 거문고의 원앙 현을 연주하려 한다.
此曲有意無人傳 (차곡유의무인전) 이 곡에 뜻이 있으나 전해줄 사람 없으니
願隨春風寄燕然 (원수춘풍기연연) 봄바람에 실어 연연산에 보냈으면.
憶君迢迢隔青天 (억군초초격청천) 하늘 너머 먼 곳에 계신 님 그립구나.
昔時横波目 (석시횡파목) 지난날 추파 던지던 눈
今為流淚泉 (금위류누천) 오늘은 눈물 샘 되었네.
不信妾腸斷 (불신첩장단) 저의 단장의 슬픔 믿지 못하시면
歸來看取明鏡前 (귀래간취명경전) 돌아와서 거울 앞의 내 얼굴을 보시라.
日色欲盡(일색욕진):햇빛이 곧 없어지려 한다.
花含煙(화함연):꽃이 저녁 안개에 싸여 있는 모습.
素(소):백색의 비단. 달빛을 형용한다.
趙瑟(조슬):전국시대 조나라 여인들이 슬을 잘 타기 때문에 조슬이라고 불렀다.
初停(초정):이제 막 멈추다.
鳯凰柱(봉황주):봉황 모양을 조각한 슬의 기러기 발.
蜀琴(촉금):거문고. 촉 출신 사마상여가 거문고를 잘 타기 때문에 촉금이라고 했다.
사마상여는 빼어난 거문고 솜씨로 당시 과부이던 성도 지방의 卓文君(탁문군)을 유혹하였다.
燕然(연연):연연산. 지금의 몽고 중부지방에 있는 산. 여기서는 남편이 있는 변방을 가리킨다.
憶君(억군):당신을 그리워하다. 迢迢(초초):아득히 먼 모양.
横波目(횦파목) : 가로로 흘겨보는 눈. 연정을 품고 눈길을 보내는 것이다.
明鏡(명경):빛나는 거울.
【해설】
고대 악부시 중 <잡곡가사>에 속하는데 거의가 長相思로 시작하여 마지막에는 3자로 끝을 맺는다.
제2수는 규방 소첩이 춘풍에 잠 못 이루며 낭군을 그리워하는 시로 구성되어 있다.
長相思란 의미는"不能說他別有寄托" 를 제대로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1~6구에서는 봄밤에 적적함을 이기지 못하고 금슬 가락에 그리움을 실어보내는 애절한 사연을 담았는데,
금슬. 봉황. 원앙 등 서로 짝을 이루는 시어를 연이어 배치하여 고독한 심사를 더욱 부각시켰다.
이러한 서글픔은 제 7구의 아득히 떨어진 남편과의 거리를 상기시키는 과정을 거쳐
제8~11구에 이르러 크게 드러난다.
생기발랄하고 명랑했던 지난날의 모습과 눈물 마를 날이 없을 정도로 초췌해진 지금의 모습이 대조를 잘 이루고 있다.
또 마지막의 ‘못 믿겠으면 와서 보면 될 것 아니냐’는 말투는 오랜 기다림에 지친 삶의 분노 어린 투정이면서고
간절한 애원으로 악부시의 솔직하고 질박한 풍격을 느끼게 한다.
'새로운 해석 당시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8. 將進酒 / 李白 (0) | 2023.02.17 |
---|---|
077. 行路難 / 李白 (0) | 2023.02.14 |
075. 長相思(其一) / 李白 (0) | 2023.02.10 |
074. 蜀道難 / 李白 (0) | 2023.02.07 |
073. 桃源行 / 王維 (0) | 2023.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