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 和賈至舍人<早朝大明宮>之作 / 岑參
가지 사인의 <대명궁의 아침조회>작품에 화답하며
雞鳴紫陌曙光寒 (계명자맥서광한) 닭 우는 수도의 길가에 새벽빛 차가운데
鶯囀皇州春色阑 (앵전황주춘색난) 꾀꼬리 우는 경성에 봄빛은 끝나가네.
金闕曉鐘開萬户 (금궐효종개만호) 금대궐의 새벽 종소리에 중궁문이 열리고
玉堦仙仗擁千官 (옥계선장옹천관) 옥계단의 의장대는 백관을 호위한다.
花迎劍佩星初落 (화영검패성초락) 꽃은 검패 찬 고관들 맞이하고 별은 비로소 지는데
栁拂旌旗露未乾 (유불정기로미건) 깃발에 스친 버드나무 가지는 이슬 아직 덜 말랐네.
獨有鳳凰池上客 (독유봉황지상객) 홀로 봉황지 가에 있는 나그네
陽春一曲和皆難 (양춘일곡화개난) <양춘> 한 곡조에 화답하기 어렵다하네.
和(화):시를 가지고 서로 노래하며 시문으로 응답하다.
賈至(가지):字 幼隣(유린). 낙양인. 천보말년 현종을 따라 촉으로 갔으며, 숙종이 즉위하여, 중서사인이 되었다.
舍人(사인):즉 중서사인으로 관명. 조서의 초고를 쓰는 것을 전문으로 하며,
조칙을 내리며, 표를 올리는 등의 일을 하여, 문사로서의 임무를 다한다.
大明宮(대명궁):당 나라 때의 東內. 봉래궁. 이 제목은 또 <奉和中書賈至舍人早朝大明宮>으로 지어졌다.
건원 원년(758), 가지가 시를 지은 후, 杜甫, 王維, 岑參 모두 和詩가 있다.
紫陌(자맥):수도의 길가.
鶯囀(꾀꼬리 앵, 지저귈 전). 皇州(황주):경성.
阑:(늦을 란). 다 끝나가다.
金闕(금궐):金殿 금 대궐. 여기서는 대명궁을 가리킨다.
萬户(만호):황궁의 중궁문. 玉堦(옥계):황궁 안 대명궁의 계단,
仙仗(선장):천자의 의장.
劍佩(검패):허리에 차는 검. 인수 끈을 늘어트린, 높은 고관의 장식물.
鳳凰池(봉황지):鳳沚라고도 부르며, 중서성을 가리킨다.
鳳凰池上客(봉황지상객):賈至(가지)를 가리킨다.
陽春(양춘):옛 곡명. 즉 宋玉<對楚王問>중에 <陽春><白雪>에 언급되기를
“國風(국풍)에 속해 있어 시문으로 對句하는 사람이 불과 수십 인이다".
후에 이를, 작품이 매우 뛰어나 알아듣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을 비유한다.
【해설】이 시는 아침에 조회에 참배하는 장엄하고 화려한 것을 묘사한 唱和詩(창화시)다.
내용은 취하기에 어렵지 않다.
그러나 이른 아침 전, 중, 후 세 개의 층이 대명궁 아침의 분위기와 황제의 권위를 묘사하였다.
이 시는 和詩(화시)로서 운이 맞지 않으나, 단지 그 뜻은 和한다.
'새로운 해석 당시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0. 和賈至舍人<早朝大明宮>之作 / 王維 (1) | 2024.07.13 |
---|---|
附錄:<早朝大明宫>呈兩省僚友 / 賈至 (1) | 2024.07.13 |
168. 送李少府貶峽中王少府貶長沙 / 髙適 (1) | 2024.07.13 |
167. 登金陵鳯凰臺 / 李白 (1) | 2024.07.13 |
166. 送魏萬之京 / 李頎 (0) | 2024.07.12 |